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원봉(金元鳳)
김원봉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about 김원봉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원봉 (金元鳳)
[1889 ~ ?] 독립 운동가.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약산이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김원봉 (金元鳳) 1889 ~ ?] 독립 운동가. 경남 밀양 생 호는 약산 1919년 11월 독립 운동 단체인 의열단을 조직 1935년에는 민족 혁명당을 설립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군무부장 역임.
◈ 지식지도
김원봉 (金元鳳) 조선혁명선언 대한 민국 황상규 김상옥 김시현 김익상 나석주 박재혁 안창호 이동녕 이범석 이승만 이시영 조소앙 지청천 최수봉 김달하 한봉근 곽재기 이성우 이종암 황옥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신흥 무관 학교 의열단 대한 민국 정부 서로 군정서 광주학생독립운동 황옥 경부 폭탄사건 밀양경찰서폭탄투척의거 종로경찰서투탄의거 서상락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6.07
【정치】 [브리핑] 최석 대변인, 대통령 추념사 '김원봉' 언급에 보수세력 반발/사립유치원장 에듀파인 행정소송/한기총 시국성명 관련 한국당 논평 【정의당 (정당)】
2019.06.06
【정치】 귀를 의심케 하는 대통령의 추념사였다.【】
2019.03.28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과 독립
【--】 2019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100주년을 맞이해 항일 독립운동가와 대한민국 임시정부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는가?라는 질문 조사 결과 1위는 백범 김구(金九) 선생으로 발표됐다. 올해는 백범일지를 쓴 김구선생 사망 70주기이다.
 
◈ 등록순
2019.06.07
【정치】 [브리핑] 최석 대변인, 대통령 추념사 '김원봉' 언급에 보수세력 반발/사립유치원장 에듀파인 행정소송/한기총 시국성명 관련 한국당 논평 【정의당 (정당)】
2019.06.06
【정치】 귀를 의심케 하는 대통령의 추념사였다.【】
2019.03.28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과 독립
【--】 2019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100주년을 맞이해 항일 독립운동가와 대한민국 임시정부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는가?라는 질문 조사 결과 1위는 백범 김구(金九) 선생으로 발표됐다. 올해는 백범일지를 쓴 김구선생 사망 70주기이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총 19 개) [모두보기]
【K】무장항일투쟁, 천녕사 (중국 / 난징)
[여행 > 해외여행]     (0)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의열단 (25) 백과 신흥 무관 학교 (8) 백과 조선 의용대 (8) 대한 민국 임시 정부 (6) 백과 이종암 (6) 백과 최수봉 (6) 백과 김익상 (5) 백과 이성우 (5) 백과 곽재기 (4) 백과 김규식 (4) 백과 김상옥 (4) 백과 김상윤 (4) 백과 김시현 (4) 백과 나석주 (4) 백과 박재혁 (4) 백과 1923년 (3) 백과 광복군 (3) 백과 근현대 (3) 김지섭 (3) 백과 윤세주 (3) 백과 한봉근 (3) 백과 김구 (2) 백과 김구 (2) 서상락 (2) 백과 안창호 (2) 백과 이성우 (2) 조선혁명선언 (2) 백과 충칭 (2) 백과 한국광복군 (2) 한용운 (2) 백과 항일무장투쟁 (2) 화베이 (2) 황상규 (2) 백과 황옥 (2) 백과 황옥 경부 폭탄사건 (2) 백과
▣ 백과사전
[1889 ~ ?] 독립 운동가.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약산이다.
 
국권을 빼앗기자 중국으로 망명하여, 1919년 11월 독립 운동 단체인 의열단을 조직하여 의백으로 활약하였다.
 
1935년에는 민족 혁명당을 설립하였으며,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군무부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아호는 약산(若山)이고, 중국에서는 진국빈(陳國斌) 등의 가명도 썼다. 1898년 음력 3월 14일 밀양군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901번지에서 김주익의 9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0년 밀양공립보통학교 재학 중 일장기 모독의 의거를 벌여 퇴학당하고 을강 전홍표가 교장인 동화학교를 거쳐 서울의 중앙학교와 중국 천진의 덕화학당 등에서 수학했다.
 
1919년 만주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 간부인 고모부 황상규의 지도대로 유하현 고산자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배우면서 동지들을 규합하고, 졸업 후 길림으로 데리고 가 11월 10일 의열단을 창립하고 단장이 되었다. 그로부터 1926년까지 사이에 상해·북경·천진 등지에 거점을 두고 세 차례 추동한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를 비롯하여 23차례의 크고 작은 대일거사를 의열단이 기획하고 벌여나간 과정을 총지휘하였다. 1926년 의열단의 노선을 군사·정치운동으로 전환시키면서 단원들과 함께 광동성 광주의 황포군관학교에 들어가 수학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1929년 북경에서 레닌주의정치학교를, 1932년에는 남경에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이 되고, 근 150명의 항일투사 겸 장래의 민족간부를 양성해냈다. 1935년 7월 5일 남경에서 국외지역 9개 독립운동단체들의 일대 통합체로 ‘민족혁명당’이 창립됨을 주도하여 의열단을 해체하고, 당 서기부장을 거쳐 총서기가 되어 실권을 쥐었다. 중일전쟁 발발 1년 후인 1938년 10월 무한에서 중국관내 최초의 한인부대인 ‘조선의용대’를 창설하여 총대장이 되었고, 그 후로 중국군의 대일항전을 지원하면서 대적선전공작에서 탁월한 성과를 올려갔다. 1941년 조선의용대 병력의 상당수를 북상시켜 화북지역에서 대일작전을 벌여가도록 했으며, 화중·화남지역의 잔여 부대원을 한국광복군 제1지대로 재편하고 광복군 부사령 겸 제1지대장이 되었다. 임시의정원 의원을 거쳐 1944년에는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군무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조국과 고향을 떠난 지 29년 만인 1945년, 8.15 해방을 맞으니 부인 박차정의 유골을 안고 12월 2일에 환국하였다. 그 후 통일독립국가 건설을 위해 진력하다 미군정의 탄압이 심해지자 1948년경 북으로 갔고, 언제 생을 마쳤는지는 미상이다.
 
아직 독립유공자로 서훈 받지 못했으나, 영화 로 그의 이름이 다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인용】밀양의열기념공원 > 인물자료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