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언적(李彦迪)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언적 (李彦迪)
[1491 ~ 1553] 조선 왕조 중종 때의 문신, 성리학자.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 또는 자계옹(紫溪翁)이다.
이언적 (李彦迪) [1491 ~ 1553] 조선 왕조 중종 때의 문신, 성리학자.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 또는 자계옹(紫溪翁)이다. 1514년(중종 9년)에 문과에 급제 김안로의 등용을 반대하여 관직에서 쫓겨나자 성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김안로 등이 제거되자 다시 등용 윤원형 등의 모함으로 유배되어 그 곳에서 죽었다. 조선 전기의 뛰어난 성리학자 특히 이황의 사상에 많은 영향 이황은 그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와 함께 동방 4현이라 불렀다.
◈ 지식지도 관계
이언적 (李彦迪) 1491 1501 이황 (李滉) 성리학 (性理學) 기호 학파 (畿湖學派) 사림파 (士林派) 실학 (實學) 양명학 (陽明學) 영남 학파 유교 (儒敎) 정주학 (程朱學) 주기론 (主氣論) 주리론 (主理論) 주자학 (朱子學) 1545년 1547년 1450 정여창 (鄭汝昌) 1454 김굉필 (金宏弼) 1481 김안로 (金安老) 1482 조광조 (趙光祖) 1515 윤원형 (尹元衡) 1017 주돈이 (周敦燎) 1032 정호 (程顥) 1033 정이 (程伊) 1130 주희 (朱熹) 1243 안향 (安珦) 1431 김종직 (金宗直) 1464 김일손 (金馹孫) 1478 김안국 (金安國) 1480 이자 (李耔) 1484 정순붕 (鄭順朋) 1484 이연경 (李延慶) 1485 김정국 (金正國) 1488 김구 (金絿) 1493 성수침 (成守琛) 1496 임백령 (林百齡) 1497 백인걸 (白仁傑) 1501 문정 왕후 (文定王后) 1513 유희춘 (柳希春) 1515 노수신 (盧守愼) 1526 정탁 (鄭琢) 1536 이이 (李珥) 1538 김성일 (金誠一)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구 (鄭逑) 1545 위사공신 (衛社功臣) 훈구파 (勳舊派) 1609 화곡서원 (花谷書院) 도산십이곡 1547 정미사화 (丁未士禍)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74 도산 서원 (陶山書院)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임거십오영 林居十五詠 한시 이언적(李彦迪) (18) 신설 新雪 한시 이언적 (2)
◈ 참조 원문/전문
독락당 獨樂堂 가사 박인로 (18)
◈ 조회순
2020.01.09
천년 고도 경주의 옥산서원(慶州 玉山書院)
【문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서원(조선 중기 이후 학문 연구와 선현제향 先賢祭享을 위하여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에 대해 적습니다. 영주의 "소수서원"에 이어 오늘은 경주 "옥산서원"에 알아봅니다. 경주 옥산서원은 1572년 세워졌고 1574년 "옥산(玉山)"이란 편액을 받은 사액(賜額,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음)서원으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1491~1553)을 모시는 서원입니다. 특히 회재가 머물던 독락당은 아름다운 주변 경관과 잘 어울립니다.
2019.07.17
【학습】 이 작품은 노계 박인로(1561∼1642)가 만년에 회재 이언적(1491∼1553)이 살던 경주 옥산의 독락당을 찾아갔을 때인 광해 11년(1619)에 지은 모현가사이다.
 
◈ 최근등록순
2020.01.09
천년 고도 경주의 옥산서원(慶州 玉山書院)
【문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서원(조선 중기 이후 학문 연구와 선현제향 先賢祭享을 위하여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에 대해 적습니다. 영주의 "소수서원"에 이어 오늘은 경주 "옥산서원"에 알아봅니다. 경주 옥산서원은 1572년 세워졌고 1574년 "옥산(玉山)"이란 편액을 받은 사액(賜額,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음)서원으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1491~1553)을 모시는 서원입니다. 특히 회재가 머물던 독락당은 아름다운 주변 경관과 잘 어울립니다.
2019.07.17
【학습】 이 작품은 노계 박인로(1561∼1642)가 만년에 회재 이언적(1491∼1553)이 살던 경주 옥산의 독락당을 찾아갔을 때인 광해 11년(1619)에 지은 모현가사이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성리학 (7) 백과 이황 (7) 백과 류성룡 (6) 백과 기대승 (5) 백과 김성일 (5) 백과 이이 (5) 백과 박인로 (4) 백과 옥산 서원 (4) 백과 1545년 (3) 백과 1619년 (3) 백과 기호 학파 (3) 백과 동인 (3) 백과 서원 (3) 백과 영남 학파 (3) 백과 유교 (3) 백과 을사사화 (3) 백과 (3) 백과 이기 (3) 백과 이덕홍 (3) 백과 장현광 (3) 백과 정구 (3) 백과 초당두부 (3) 백과 가사 (2) 백과 경주시 (2) 백과 곽종석 (2) 백과 (2) 백과 김굉필 (2) 백과 김안국 (2) 백과 김장생 (2) 백과 김전 (2) 백과 김흥락 (2) 남명학파 (2) 노계집 (2) 백과 도산 서원 (2) 백과 도산십이곡 (2) 백과 독락당 (2) 백과 독락당 (2) 백인걸 (2) 백과 사단칠정 (2) 백과 서경덕 (2) 백과 송시열 (2) 백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2) 백과 정경세 (2) 백과 정여창 (2) 백과 조식 (2) 백과 조호맹 (2) 한시 (2) 백과 허균 (2) 백과 허난설헌 (2) 백과 허목 (2) 백과
◈ 참조 키워드
경주시 (5) 백과 가사 (2) 백과 독락당 (2) 백과 옥산 서원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제자 : 이황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