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4 ~ 1548]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이고 자는 이령이며, 호는 성재이다. 지평 충기의 손자이고 헌납 탁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 백붕의 동생이다.
1504년에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조광조 등의 신진 사림과 사귀었고, 1516년에는
조광조·
박상·
김정 등과 함께 사유(스승)로 뽑혔다. 그 뒤에 이조 판서 송천희의 추천으로 장령이 되었으며, 1518년에는
김정국·
신광한 등과 더불어 경연 강독관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1519년에는 좌부 승지가 되었고 이어 충청도 관찰사를 거쳐 형조 참의에 올랐다.
그러나 그 해
남곤·
심정·
홍경주 등의 훈구파가 유교의 이상 정치를 실현하려고 급진적인 제도 개혁을 꾀하던 조광조를 비롯하여, 젊은층의 사림파 무리를 죽이거나 귀양보냈던
기묘사화 가 일어나 사림들이 화를 입게 되었는데, 그는 사림들과 사귀었지만 그들 사이에 절개를 지키는 사람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었기 때문에 죽음은 면하였다.
전주 부윤으로 지위가 떨어졌다가 1520년에는 직무를 면제당하였고, 이어 이듬해에 벼슬과 품계를 빼앗겼다. 그 후 영의정 김굉필 등이 그를 다시 등용할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으나 이루어지지는 않았고, 김안로 일당이 제거되고 기묘사화에 연루되었던 사람들이 풀려나자 그도 다시 관직에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1539년에 공조 참판이 되었으며 이 때 명나라를 다녀오면서 《황명정요》와 《요동지》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어 형조 참판· 강원도 관찰사를 거쳐 다시 공조 참판· 한성부 우윤이 되었다가, 1542년에 형조 판서를 거쳐 호조 판서 에 올랐다. 1545년에는 의정부 우참찬과 내의원 제조를 겸임하고 이어 대사헌이 되었다.
그러나 인종이 왕에 오르자 대윤(大尹)이 세력을 얻게 되었고, 그는 중추부 지사로 직무가 바뀌었다. 그러나 인종은 왕위에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죽었으며, 나이가 어린 명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자 어머니인 문정 왕후가 나이 어린 임금을 도와 수렴 청정을 하게 되었다. 그러자 소윤(小尹)인
윤원형·
이기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대윤인
윤임·
유관 등을 제거하였는데, 이 때 정순붕도 이기 등과 어울리면서 많은 사람을 죽이고 귀양보내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 때 사람들은 그들을 간악하고 음흉한 사람들이라고 하면서, 이기는 악을 좋아하여 악을 행하는 악에 강한 자인 데 비하여, 정순붕은 악인 줄 알지만 위력에 겁내어 악을 행하는 악에 약한 자라고 평가하였다.
그 후 정순봉은
을사사화에서의 공을 인정받아서
보익 공신 1등에 올랐고 온양 부원군에 봉해졌으며, 관직은 우찬성 겸 경연 지사가 되었다가 같은 해에 다시 우의정에 올랐다. 1548년에 병을 얻어 죽었는데 을사사화 당시에 화를 입은 유관의 가족들을 그의 노비로 삼았는데, 그 가운데 갑이라는 여종이 주인의 원수를 갚으려고 그에게 염병을 옮겨서 죽게 하였다는 말이 전해 온다. 1570년에는 그의 생전의 죄를 논하여 관직과 훈작을 삭제하였다.
그는 학식은 있었으나 음모를 좋아하고 절개 없이 그때 그때의 형세에 맞추어 가는 성품으로, 후에
임백령·
정언각과 함께 을사삼간(乙巳三奸)으로 불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