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정음청(正音廳)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정음청 (正音廳)
조선 세종 때 훈민정음 창제를 위하여 대궐 안에 설치했던 기관. 언문청(諺文廳)이라고도 한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정음청 (正音廳) 1443 물시계 (--時計) 아악 (雅樂) 한글 해시계 (--時計) 1441 측우기 (測雨器) 1433 혼천의 (渾天儀) 1506년 1443년 1446년 1420년 1418 조선 세종 (世宗) 15C초 장영실 (蔣英實) 1526 정탁 (鄭琢) 1450 조선 문종 (文宗) 1418 성삼문 (成三問) 1417 강희안 (姜希顔)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09 최항 (崔恒) 1403 황보인 (皇甫仁) 1400 조선 태종 (太宗) 1396 정인지 (鄭麟趾) 1395 소헌 왕후 (昭憲王后) 1378 박연 (朴堧) 1376 최윤덕 (崔潤德) 1375 심온 (沈溫) 1362 이직 (李稷) 1360 맹사성 (孟思誠) 관습 도감 (慣習都監) 1420 집현전 (集賢殿)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세종실록 (世宗實錄) 영녕릉 (英寧陵)
1450년
▣ 백과사전
조선 세종훈민정음 창제를 위하여 대궐 안에 설치했던 기관. 언문청(諺文廳)이라고도 한다.
 
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온갖 사업과 불경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일들을 맡아 보던 기관이다.
 
1506년(중종 1년)에 폐지되었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최항 (3) 백과 관습 도감 (2) 백과 박연 (2) 백과 성삼문 (2) 백과 신숙주 (2) 백과 영녕릉 (2) 백과 장영실 (2) 백과 조선 문종 (2) 백과 조선 태종 (2) 백과 집현전 (2) 백과 훈민정음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