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포천시 (抱川市)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다. 동쪽은 가평군, 서쪽은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이, 남쪽은 의정부시와 남양주시, 북쪽은 강원도 철원군과 화천군이 접하고 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 포천군의 마을 (하위)
▣ 시민 참여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시민참여
◈ 보도자료
2022.07.31
국립 광릉 수목원 둘러 보았어요!
【여행】 지난 일요일 국립 광릉 수목원(최영태 원장)에 다녀왔습니다. 비가 내릴 거라는 예보가 있었지만 구름만 끼었고 비는 내리지 않아 다행이었습니다.
2024.10.24
【문화】 경기도 포천군 이동에 가면, 강원도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습니다. 예로부터 이 고개를 ‘흰구름이 머물다 가는 고개’라고 부르기도 하고 ‘맑은 물 계곡’이라고도 불렀다고 합니다. 지금으로부터 근 100년 전, 이 고개에는 맑은 물이 청아한 소리를 내면서 흐르고, 하늘에 닿을 듯 깎아지른 고개는 험하고 구불구불하여 웬만한 사람은 찾는 이 조차 없었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19.10.30
산정호수(山井湖水) 둘레길을 걷다.
【여행】 폐 채석장을 에머랄드 빛 호수와 예술 공간으로 만든 포천 아트밸리에서 명성산 억새축제장과 산정호수로 가려고 출발했다. 도로가 차량으로 차있어 명성산 억새장은 포기하고 산정호수를 돌아보려고 산정호수 하동 주차장에 주차하고 호수변을 산책하였다.
2024.10.24
【문화】 경기도 포천 송우리에는 태봉이라는 작고 아담한 산봉우리 하나가 마을을 싸 안을 듯이 다정하게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이 태봉은 고려 왕녀의 태를 묻은 곳으로, 포천 고을 여러 곳에 있는 태봉 중에서도 그 이름이 나있으며, 아름답고 정겨운 이야기를 전하고 있어 더욱더 유명합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19.10.28
에머랄드 빛 호수의 포천 아트밸리
【여행】 포천 아트 밸리는 포천 화강석을 캐던 채석장이 폐업한 곳을 문화 예술공간으로 개발한 곳입니다. 화강석은 단단해 옛부터 주춧돌, 성곽, 석상 등의 원재료부터 생활용품까지 다양하게 사용했던 돌입니다. 그러나 채석량이 점점 줄고 값싼 외산이 수입되면서 견딜 수 없어 문을 닫았지요. 그래서 환경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페 채석장의 활용방안으로 문화공간으로 변신하였답니다. 좋은 사례네요!
2024.10.24
【문화】 옛날 호랑이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뿌리고 다니던 시절에, 시골 사람들은 늘 가난 속에서 살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에 대해 효도하는 마음은 따스한 정으로 우리 선조들의 마음 속에 전해지고 이어져 내려오기도 하였습니다. 경기도 포천 기피울에는 매우 사납고 몸집이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아서, 마을 사람들에게 무서움과 두려움의 영물로서 경계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경기도 북부 지방에 자리한 포천에 가면 기피울이라는 마을이 있습니다. 이 곳은 산세가 매우 험하고 골이 깊어서 ‘기피울’이라고 불렀습니다. 왕방산의 주봉인 국수봉은 그 높이가 해발 754미터나 되는 아주 높은 산이었는데, 매우 험하여 사람들이 오르지 못하였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화현읍 지현리에 ‘육송정’이라고 있다. 여섯 육 자, 소나무 송 자, 육송정. 이 집에는 오래된 정자가 하나 있는데 판서가 하나 나면 소나무 한 그루를 심고, 판서가 또 하나 나면 또 하나 심고, 이내 여섯 그루가 되어 ‘육송정’이다. 육판서가 이 댁에서 났다는 얘기가 된다. 예산 송씨네 ‘육송정’에서 선비들이 모여서 글을 지었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관광】 옛날 운악산 밑에 ‘아들바위’와 ‘딸바위’가 있었다. 하나는 집채만한 큰 바위이고, 다른 하나는 조그만 바위였다. 동네 아낙네들이 나무를 하고 오다가, 돌 하나를 던져서 ‘아들바위에 앉으면 아들을 낳고, 딸바위에 앉으면 딸을 낳는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금주산’이 여기서는 제일 크다. 왜정 때 일본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광산을 개발하였다. 그래서 ‘금주리’가 되었다. ‘금주산’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있다. 옛날부터 ‘금주산’에는 ‘금이 아홉 덩이가 묻혀 있다’는 말이 전해진다. 그런데 ‘아들을 아홉을 둔 사람이라야 그 금을 캘 수 있다’고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는 이 곳을 ‘만금담’이라고 했는데, ‘만금이 들락날락 하는 곳’이라는 뜻이다. 장사꾼들이 금강산에서 물건을 해 가지고는 거기 와서 물물교환을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막은대미’라고도 한다. ‘더 이상 갈 데가 없는 막힌 곳’이라는 말이다. 서울 사람들이 거기 와도, 차가 못 다니는 막힌 장소여서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화현에 ‘솔치고개’가 있는데, 지도에는 ‘송재’라고 나와 있다. 옛날 거기에 솔치주막이 있었다. 장에 갔다 오거나 술을 마시거나, ‘솔치고개’를 넘을 사람들은 이 주막에서 묵었다. 다리가 아프거나 해가 지면 거기서 쉬면서 놀음들을 했다. 그게 포천에서 화현으로 넘어가는 길이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궁예가 왕건과 최후의 전투를 할 때, 현등산에 천연의 요새를 짓고 대전하였다. 왕건이 반년간이나 치열하게 공격을 해서 결국 궁예가 현등산에서 죽었다고 한다. 그런데 철원에 궁예의 무덤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철원에서 금강산 들어가는 철도 옆에 ‘삼방역’이라는 조그마한 역이 있다. 그런데 그 역 앞에는 돌담이 하나 있고, 그것이 바로 궁예의 무덤이라고도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한 마을에 장사가 태어났는데, 낳은 지 삼일 만에 절구통을 들었다. 그것을 본 부모는 나라에서 아기 장사를 죽이는지라 ‘장사가 되면 안된다’는 생각에 장사가 못되게 아이의 어깨를 뺏다. 그래서 아이는 장사가 못되었는데 하늘에서 내려온 말이 주인을 태우러 왔다가 주인이 장사가 못되니 혼자 내리 뛰고 치 뛰고 하다가 헛다리를 짚어서 말이 굴렀다. 그리하여 그곳을 말구리라 부르게 되었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 길이 없고 나무만 무성해서 숲 속에 사람이 잘 다니지 않던 고개가 있었다. 어떤 사람이 소를 하나 가지고 가서 팔았는데 여든 냥을 받았다. 도둑이 고개를 지키고 섰다가 그 사람이 지나갈 때 그 여든 냥을 빼앗았다. 그 일이 있은 후 ‘여든냥 고개’로 불려졌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500여 년 전 이 마을에 부락이 형성되기 전에는 각종 야생동물들이 모여 살았다. 그래서 전국에서 내노라하는 유명한 포수들이 사냥을 왔다. 사냥꾼들이 올 때는 혼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몰이꾼들로 소몰이 하는 사람들을 함께 데리고 왔다. 사냥꾼들은 길목을 잡고 있다가 소몰이꾼들이 짐승을 몰아오면 총을 쏘아 잡았다. 특히 이곳에는 노루가 많아서 노루 사냥을 많이 왔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사람들이 멱을 감다가 해마다 하나씩 빠져죽는 연못이 있었다. 전에 죽은 귀신이 자기가 빠져 나가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 하나를 죽여야만 했기 때문이라 해마다 하나씩 꼭 사람이 죽었다. 그런데 한 번은 무당이 굿을 하다가 넋을 건지기 위해 연못 속으로 들어갔는데 무당마저 빠져 죽어 그 이후로 그곳을 ‘무당소’라 불렀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한 사람이 약물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목이 말라 그 약물을 먹었더니 팔, 다리 쑤시는 것 등 모든 병이 다 나았다. 그래서 아플 때에 또 와서 물을 마시니 이번에도 병이 싹 낳는 듯했다. 그 소문이 한 사람 두 사람에게 퍼져 사람들이 병을 고쳐 보고자 수없이 밀려들었다. 그렇게 사람이 하나둘 자꾸 몰려드니, 그것이 싫은 몇몇 노인이 사람들이 오지 못하도록 그 약물터에서 개를 잡아 먹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부왕제 때의 일이다. 그 당시 오랑캐가 조선에 쳐들어 왔는데, 한 오랑캐가 여염집 규수를 범하려고 따라오니 그 규수가 허겁지겁 피해 달아나다 절벽에 이르렀다. 규수는 오랑캐를 피하기 위해 그 절벽에서 치마를 뒤집어쓰고 뛰어내렸다. 그 이후 처녀가 뛰어내려 죽은 그 바위를 ‘낭자바위’ 혹은 ‘낭바위’라고 불렀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포천 방향으로 약 2킬로미터 나가면 고개 하나가 있는데 예전에 그곳에 어머니가 아들 하나를 데리고 살고 있었다. 이 어머니가 딸 하나 달린 돈 많은 홀아비한테 시집을 가게 되었다. 그런데 이 아들이 보니 새아버지 재산이 많은지라 하루는 그 딸에게 양장을 해준다고 꾀어내서는 고갯길에 데리고 나가 돌로 찍어 죽이고는 몰래 묻어버렸다. 그 이후 밤이면 그곳에 귀신이 나타난다고 하여 사람들이 오가지를 못했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 궁예 왕이 왕건한테 쫓기게 되었을 때의 일이다. 그 당시에 궁예 왕의 첫 도읍지가 철원이었는데 왕건에게 쫓겨나서 관인면 ‘고남산’이라는 곳으로 도망을 쳤다. 왕건이 그 곳에까지 쳐들어오자 울음산으로 도망을 갔다. 도망을 가다가 배가 고파서 그 산에서 국수를 먹고 갔는데, 그 때문에 그 산봉우리에 ‘국수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망봉산’이라는 곳이 있는데, 그 곳은 예전에 궁예가 왕건을 피해 도망한 곳이다. 예전부터 내려오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에이, 미련한 놈! 소를 앞에서 몰면 되느냐 응? 뒤에서 몰아야지.” 이 말은 황희 정승이 맨 먼저 한 말이었다. 황희 정승이 길을 가다 보니 어느 미련한 사람이 소를 자꾸만 앞에서 몰고 있었다. 그래서 황희 정승이 그 미련한 사람에게 그렇게 말을 했다고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큰집에서 새벽 조반을 했다. 작은집은 그 옆에 살았는데, 큰집에서 함께 밥을 먹었다. 호랑이가 나타나서 밥을 먹으려고 큰집에 가는 사람을 잡아갔다. 사람을 잡아서 반은 먹고 반은 남겨 두었다. 가족들이 남은 반을 그 곳에 묻으니 호랑이가 자꾸 나타나서 파는 것이었다. 화가 난 식구들은 다른 호랑이를 잡아서 그 곳에 묻었다. 그 이후, 호랑이가 그 곳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 곳이 ‘호랑봉’이라 불려졌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어느 마을에 ‘화냥 바위’라고 있는데, 그것은 서로 맞보고 서 있는 두 개의 바위였다. ‘화냥 바위’ 때문에 그 마을에 화냥이 난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그 바위 밑에서 제단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사람들이 믿는 우스운 이야기가 있다. 만일 마을에서 백서방네 집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화냥 바위’에다 ‘백서방네’라고 말을 하며 돌을 던진다. 그러면 ‘백서방네 부인이 화냥이 났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부터 봉우리에 바위 하나가 우뚝 솟아 있었는데, 병풍모양이어서 사람들은 그 바위를 ‘병풍바위’라고 했다. 지금은 병풍모양 바위만 남아 있는데, 그 곳에 얽혀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에 개 두 마리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중국사람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서 개 한 마리를 임진강에 데려가서 빠뜨려 죽였다. 중국인이 그 개를 왜 빠뜨렸는지는 아무도 모른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한 아주머니의 꿈 속에서 부처가“난 여기서 못 살겠다. 개울 건너에 있는 굴에다 데려다 달라.” 고 말했다. 그 꿈에서 깬 후 이 아주머니가 꿈 속에서 부처가 말한 장소에 가 보니 정말로 돌 모양의 부처가 있었다. 굉장히 큰 돌부처였다. 그래서 그 돌부처를 안고 개울을 건너려고 하는데 비가 온 뒤라 개울물이 많이 올라 차 있었다. 어찌할 줄을 모르고 있는데, 갑자기 개울물이 ‘쫘악’ 갈라졌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홍수가 나서 물이 넘쳐 사람이 많이 죽었다. 많은 사람이 떠내려갔지만 몇몇 사람들은 ‘종자봉’에 올라가 살 수 있었다. 사람들은 ‘종자봉’에 올라가 살면서 씨를 퍼뜨려 사람의 씨가 퍼졌다. 그래서 그 곳을 ‘종자봉’이라 한다. 비가 올 때는 ‘종자봉’ 테두리에 구름이 낀다. 그래서 ‘종자봉’ 테두리에 구름이 끼면 비가 온다는 말이 있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애기산 봉우리에 한 엄마가 애기를 업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장수가 그 애기 엄마가 힘이 장사라는 소문을 듣고 와서 얼마나 힘이 센지 보려고 밀었다. 애기는 떨어지고 애기 엄마만 바위 끝에 서 있게 되었다. 한이 맺힌 애기 엄마는 그 자리에 앉아 돌이 되었다. 이것이 ‘애기봉’이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관인면 일대에 부곡리라는 마을이 있었다. 부곡리에는 ‘재인폭포’라는 폭포가 있었는데, 옛날에는 그 폭포에서 마을의 경사 때마다 광대가 놀았다. 왜냐하면 ‘재인폭포’의 위에는 향로처럼 생긴 향로봉이 있어서 그 경치가 매우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옛날, 그 마을에 아주 예쁜 여인이 살고 있었는데, 그 여인의 남편은 줄을 타는 광대였다. 둘은 서로 사랑하며 행복하게 잘 살고 있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용감한 총각이 깊은 산골을 넘어 가다가 해가 져서 잘 곳을 찾게 되었다. 그런데 잘 만한 곳이 쉽게 보이지 않았다. 산 속을 한참이나 헤매다가 어떤 집에 당도하게 되었다. 마침 처녀가 혼자 집을 지키고 있었다. 하룻밤 재워달라는 청에 곤란한 표정을 짓고 거절하는 처녀에게 총각은 간곡하게 사정하였다.“제발 부탁 드려요.”“하지만 안 되요.”“왜죠?” 여자는 슬픈 표정을 지으며 말하였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궁예의 군사와 왕건의 군사가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할 때였다. 어느 마을에서 양쪽의 군사들이 격전을 벌이고 있었다. 그래서 마을의 나무마다 피가 묻게 되었다. 그래서 그 마을 이름이 ‘피나무골’이 되었다. 어린 시절 비오는 날에 몇 백년 된 고목나무 옆에 서면, 고목에서 ‘아이구 아퍼. 아이구 아퍼’하는 소리가 들렸다. 그래서 마을 노인들은 ‘아이들에게 그 고목나무에 가지 말라’고 하였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제비 바위 밑에 소가 있었다. 그 전엔 ‘큰 가마소’와 ‘작은 가마소’가 있었다. 어느 신랑과 신부가 제비 바위 밑에 난 좁은 길을 지나고 있었다. 그런데 가마를 지고 가던 가마꾼이 그만 발을 헛디뎌 그만 소로 풍덩 빠지게 말았다. 그와 동시에 뒤따르던 가마도 빠지고 가마를 지던 가마꾼도 빠졌다. 또한 말을 타고 가던 신랑도 신부를 구하기 위해 달려들다가 같이 빠지게 되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관광】 어느 마을에 꼭두바위가 있었다. 그 모양이 옛날 시집갈 때 여자들이 머리에 쓰는 족두리 같았다. 그러나 양놈들이 꼭두바위에 쇠사슬로 만든 줄을 걸어 잡아 당겨서 개울에 빠뜨린 후에는 모양이 변하게 되었다. 그 후부터 그 마을을 지나갈 때, 그 개울에 대고 ‘엄마’하고 소리를 치면, 산의 메아리처럼 개울에서 ‘엄마’하고 소리가 되돌아 왔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았다. 하루는 할머니가 물을 뜨러 갔는데 돌아올 시간이 되어도 집에 오지 않았다. 할아버지가 이상히 여겨 나가 보니, 커다란 지네가 바위 밑의 올라오는 길에서 할머니를 물려고 하는 것이었다. 그 때 하늘에서 천둥번개가 치더니 벼락이 바위를 쳤다. 결국 지네는 바위에 깔려 죽었고 할머니는 살아났다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를 ‘벼락바위’라 불렀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떤 마을에 ‘자라바위’가 두 개 있는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조금 작았다. 사람들은 큰 것을 수자라, 작은 것을 암자라로 불렀다. 그 마을 사람들은 다른 지방의 사람들이 그 마을의 돌을 캐 가는 것을 자라 새끼를 가져가는 것이라 해서 못 캐가게 했다. 그 마을 이름은 자라 별(鼈), 고을 동(洞)자를 써서 ‘별동(鼈洞)’이라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6∙25때 피난민이 이 곳에 많이 모여 있었는데 홍역이 돌아서 아이들이 많이 죽었다. 이런 아이 무덤을 ‘애총(애무덤)’이라 하는데, 항상 여우가 ‘애총’을 파서 죽은 아이들을 물어가곤 했다. 그래서 여우가 못 파도록 커다란 바윗돌로 눌러놓았다. 그 다음부터는 여우가 ‘애총’을 파지 못했다. 지금도 그런 흔적이 있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12대 할아버지가 산소자리를 보러 돌아다녔다. 좋은 자리를 보았으나, 그 자리는 임금님이 전주 이씨에게 내린 땅이어서 산소를 쓸 수 없었다. 이 이야기를 들은 비복은 술 한 동이와 돼지다리를 청하여 먹고는 하룻밤만에 그 땅에다가 산소를 써버렸다. 다음 날 전주 이씨가 자기 땅에 산소가 있는 것을 보고는 할아버지와 크게 싸웠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수원산’은 원래 수원에 있는 산이었다. 그래서 수원 사람이 해마다 산(山)값을 받으러 왔다. 수원 사람이 산값을 받으러 어김없이 왔다. 어른들은 꼼짝 못하고 있는데, 열 살 먹은 아이가 나왔다. 그러더니 수원 사람에게 ‘산밑에 묻힌 땅 값을 가져오면 산값을 준다’고 말했다. 그러자 수원 사람은 아무 말도 못하고 가버렸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수원산’은 포천에 있는 산이다. ‘수원산’이란 이름 때문인지, 수원에서는 사람을 보내어 수원의 산을 빌려갔다면서 포천에 와서 해마다 세금을 받아갔다. 어느 해 포천에 똑똑한 신임군수가 들어왔다. 이제까지 수원에 세금을 냈다는 말을 들은 신임군수는 ‘올해부터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호주벌판’이라는 곳에는 밤마다 왕방산 호랑이가 내려왔다. 호랑이는 집을 향해 시끄럽게 울기도 하고, 벌판의 흙을 엎기도 하였다. 사람들은 집주인이 되기를 원하느냐고 호랑이에게 물었지만, 호랑이는 아무 대답 없이 가만히 있기만 했다. 그 뒤로도 호랑이는 밤마다 내려와 집을 향해 시끄럽게 울면서 벌판의 흙 엎기를 계속하였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떤 마을 가운데에 큰 바위가 있었다. 사람들은 이 바위를 ‘송이바위’라고 불렀다. 그 바위의 모양은 한쪽에서 보면 송이버섯 모양이고, 다른 쪽에서 보면 아무 모양도 아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송이버섯처럼 보이는 쪽 마을은 윤택하게 살았는데, 아무 모양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마을은 윤택하지 못하게 살았다.(完)【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느 집에서 소실을 두었는데, 그 소실은 욕심이 많고 행실이 바르지 못한 사람이었다. 어느 날 소실이 점을 보러 갔는데, 점쟁이가 말했다. “본처의 자식은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갈 것인데, 너의 자식은 거지가 될 것이다.” 잔뜩 시샘이 난 소실은 본처의 자식이 용이 되어 올라간다는 연못에 명주실을 걸어 두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떤 마을에 노부부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이들에게는 자식이 없었다. 그래서 노부인은 밤마다 냉수를 떠놓고 일월성신에게 자식을 얻게 해 달라고 빌었다. 20년 되는 날 밤, 노부인은 마침내 태몽을 꾸고 열 달 후 사내아이를 낳았고, 자식을 애지중지 정성들여 키웠다. 아들이 장성하고 나라에 큰 전쟁이 났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없 음
▣ 분류정보 (상위)
(C) 경기도의 마을
수원시 (水原市)
성남시 (城南市)
의정부시 (議政府市)
안양시 (安養市)
부천시 (富川市)
광명시 (光明市)
평택시 (平澤市)
동두천시 (東豆川市)
안산시 (安山市)
고양시 (高陽市)
과천시 (果川市)
구리시 (九里市)
남양주시 (南楊州市)
오산시 (烏山市)
시흥시 (始興市)
군포시 (軍浦市)
의왕시 (儀旺市)
하남시 (河南市)
용인시 (龍仁市)
파주시 (坡州市)
이천시 (利川市)
안성시 (安城市)
김포시 (金浦市)
양주군 (楊州郡)
여주군 (驪州郡)
화성군 (華城郡)
광주군 (廣州郡)
연천군 (漣川郡)
포천군 (抱川郡)
가평군 (加平郡)
양평군 (楊平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