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숙자(金叔滋)
김숙자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김숙자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숙자 (金叔滋)
[1389 ∼ 1456]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다. 『소학』을 앞세우면서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 자세는 고려의 유학자 길재에게서 물려받았으며,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선산의 낙봉서원(洛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김숙자 (金叔滋) 갑자사화 남인 사림파 고려 삼은 성리학 실학 영남 학파 조의제문 1504년 1498년 길재 김굉필 김종직 이중환 권근 김안국 김일손 남곤 남효온 이색 이익 정몽주 조광조 이자 김정국 훈구파 도동 서원 화곡서원 택리지 야은집 무오사화 신임사화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장도빈 김숙자 (바다) - 나의 독립영웅 (92)
[역사 > 한국역사]     (0)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길재 (8) 백과 김종직 (7) 백과 김굉필 (6) 백과 훈구파 (5) 백과 무오사화 (4) 백과 김일손 (3) 백과 영남 학파 (3) 백과 이색 (3) 백과 정몽주 (3) 백과 정여창 (3) 갑자사화 (2) 백과 고려 삼은 (2) 백과 권근 (2) 백과 기묘사화 (2) 백과 성리학 (2) 백과 유호인 (2) 을사사화 (2) 백과 조광조 (2) 백과 조위 (2) 백과 조의제문 (2) 백과
▣ 백과사전
[1389 ∼ 1456)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려졌다.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다. 광위(光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은유(金恩宥)이고, 아버지는 김관(金琯)이며, 어머니는 유인귀(兪仁貴)의 딸, 유씨이다.
 
김숙자는 12세 때부터 길재(吉再)로부터 『소학』과 경서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역학에 밝은 당시 조선 유학자 윤상(尹祥)이 황간현감으로 내려와 있다는 소식을 듣고 걸어가서 배움을 청하자 윤상은 그 열의를 보고 『주역』의 깊은 뜻을 힘써 가르쳐주었다.
 
1414년(태종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419년(세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고령현감을 거쳐, 1436년에 경명행수(經明行修)의 선비 추천에서 첫 번째로 꼽혀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가 되었다. 그러나 얼마 후 선산의 교수관으로 나갔다가 개령현감이 되었다.
 
그 뒤에 사예(司藝)가 되었으나, 1456년 사직하고 처가가 있는 밀양으로 내려가서 그 해에 죽었다. 16세기에 사림에 의해 확립된 도통(道統)의 계보에서 길재의 학문을 아들 김종직(金宗直)으로 하여금 잇게 하였고 성리학의 계보 중, 정주학(程朱學)을 발전시켰다.
 
효성이 지극해 『소학』의 법도를 따라서 어버이를 모셨다. 그리고 남을 가르치기를 권태롭게 여기지 않아, 친상(親喪) 중에 여막 곁에 서재를 만들어 조석을 올린 뒤에 가르치기까지 해, 학업을 받는 자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가르칠 때에는 처음에 『동몽수지(童蒙須知)』 유학자설정속편(幼學子說正俗篇)을 모두 암송시킨 다음 『소학』에 들어가고, 그 다음에 『효경』·『사서오경』·『자치통감』 및 제자백가의 순을 밟았다.
 
『소학』을 앞세우면서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 자세는 고려의 유학자 길재에게서 물려받았으며,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선산의 낙봉서원(洛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영남사림의 발흥

김숙자는 스승 길재의 가르침에 확신했고, 그걸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김종직은 아버지 김숙자의 이 가르침을 평생을 두고 지켰다. 어릴 때부터 책 목록을 정해 놓고, 그 순서대로 읽는 습관을 따랐다고 한다. ‘소학’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실천 강조 학풍은 김숙자-김종직을 거쳐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될 정도로 큰 설득력을 발휘했다. 뒤에 영남사림파의 큰 학자로 드러난 김굉필은 스스로 ‘소학동자’라고 지칭하면서 30세까지 ‘소학’에만 천착했을 정도였다. 길재에서 김숙자를 거쳐 김종직에 이르는 정주학(程朱學)의 학통이 이렇게 시작되었다.
 
길재는 많은 제자를 길러 냈는데, 가장 먼저 입지를 세운 이가 김숙자였다. 이후 그의 제자들이 속속 중앙정계에 진출했다. 특히 세조 때부터 김숙자와 김종직 부자 등 여러 신진 사류가 과거 급제 등을 통해 중앙정치 무대로 진출하게 되었는데 이로써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였다. 이른바 '영남사림파'의 등장이었다.
 
이후에 이중환이 《택리지》를 통해 "조선 인재의 반은 영남에서 나왔고, 영남 인재의 반은 선산에서 나왔다"고 한 것은 김숙자 이후에 '영남사림파'의 발흥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스승 : 길재
자 : 김종직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