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우리 민족의 역사가 시작하는 시대부터 향찰 표기의 향가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존재하였던 시가를 총칭한다. 「구지가(龜旨歌)」,「황조가(黃鳥歌)」,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등 이 있다.
|
|
▣ 백과사전
|
|
|
우리 민족의 역사가 시작하는 시대부터 향찰 표기의 향가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존재하였던 시가를 총칭한다. 「구지가(龜旨歌)」,「황조가(黃鳥歌)」,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등 이 있다.
작품
(1) 구지가 : 주술성을 띤 노동요로 가락국 시조인 수로왕의 강림 신화 속에 나오는 신화 중의 삽입 가요.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전한다.
(2) 황조가 : 고구려 2대 유리왕이 지은 초기의 개인적 서정시,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 전한다.
(3) 공무도하가(공후인) : 물에 "빠져 죽은 남편(백수광부)을 아내가 애도하는 내용의 노래를 고조선 때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그것을 듣고 지었다 함. '해동역사', '고금주'에 전한다.
(4) 해가(海歌) : 신라 성덕왕때, 수로 부인을 구하기 위해 부른 주술적인 노래. '구지가(龜旨歌)'의 아류. 일명 '해가사(海歌詞)' 출전 : 삼국유사
(5) 정읍사(井邑詞) : 백제의 가요. 행상 나간 남편을 걱정하며 부른 노래. 한글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노래. 출전 : 악학궤범
(6) 내원성가(來遠城歌) : 고구려의 가요. 항복한 오랑캐를 내원성에 정착시키고 지어 부른 노래. 出典 : 고려사 악지, 문헌비고
(7) 연양가(延陽歌) : 고구려의 가요. 연양현의 한 머슴이 충성을 다짐한 노래. 出典 : 고려사 악지, 증보 문헌비고
(8) 지리산가(智異山歌) : 백제의 가요. 구례현의 한 여인이 왕의 입궁 명령을 거절하며 부른 노래. 출전 : 고려사 악지
(9) 선운산가(禪雲山歌) : 백제의 가요. 남편이 돌아오지 않으매 선운산에 올라가 부른 노래. '정읍사(井邑詞)'와 관련. 출전 : 고려사 악지
(10) 도솔가(兜率歌) : 신라(유리왕 5년)의 가요. 민속환강(民俗歡康)을 노래. 최초의 정형시. 出典 : 삼국사기, 삼국유사
(11) 회소곡(會蘇曲) : 신라(유리왕)의 가요. 길쌈내기에서 진 남편이 이긴 편에게 음식을 대접하며 부른 노래. 노동요(勞動謠). 出典 : 삼국사기
(12) 치술령곡(鵄述嶺曲) : 신라(눌지왕)의 가요. 망부석의 슬픈 사연을 애도하여 부른 노래). 出典 : 증보문헌비고
(13) 대악(碓樂) : 신라 자비왕때 백결선생(百結先生). 섣달 그믐날 떡방아를 찧는 소리로 아내를 위로한 노래. 노동요. '상저가(相杵歌)'와 관련. 出典 : 고려사 악지, 삼국사기
|
◈ 조회순
|
|
2019.06.02
|
|
【학습】
고구려 제2대 유리왕이 지은 가요. 왕의 계실(후실)이었던 치희(雉姬)와 헤어진 외로운 심정을 읊은 내용으로, 《삼국사기》에 실려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요로백제시대부터 구전해온 민간전승의 가요로서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백수광부의 아내(원작자는백수 광부의 처이며, 곽리자고의 부인 여옥이 이를 노래로 정착시킨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한역가(漢譯歌)가 노래의 내력과 함께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신라 유리왕 9년 이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명 ‘회악(會樂)’이라고도 한다.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그 관련 설화가 ≪삼국사기≫ 유리왕 9년조에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현전 최고의 집단 무요, 주술성을 지닌 현전 최고의 노동요로 가락국 건국신화에 삽입되어 있는 주술적인 노래이다.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
|
|
|
|
2019.06.02
|
|
【학습】
백제의 가요로 <무등산곡(無等山曲)>이라고도 한다. 가사와 곡보는 전하지 않고, 제목과 유래만 《고려사》 <악지(樂志)>에 실려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내원성의 유래를 읊은 노래로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의 변방인 정주(靜州) 섬에 있던 성(城)에 오랑캐의 투항자들을 정착시켰는데, 그 성의 이름이 내원성이며, 이를 다시 노래로 지어서 '내원성가'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
|
|
◈ 최근등록순
|
|
2019.06.02
|
|
【학습】
경문왕 때의 화랑인 요원랑, 예흔랑, 숙종랑등이 금란굴에 놀면서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길을 노래한 3편의 가요중의 하나이다. 나머지 2편은 '대도곡', '문군곡'이다. 가사는 전하지 않고,'삼국유사' 기이편 경문왕조에 노래의 내력만이 기록되어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신라 유리왕 9년 이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명 ‘회악(會樂)’이라고도 한다.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그 관련 설화가 ≪삼국사기≫ 유리왕 9년조에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고구려 제2대 유리왕이 지은 가요. 왕의 계실(후실)이었던 치희(雉姬)와 헤어진 외로운 심정을 읊은 내용으로, 《삼국사기》에 실려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한역가(漢譯歌)가 노래의 내력과 함께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 때의 가요(歌謠)로 현재 이 노래의 내용은 전하지 않고,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1908)에 그 유래만 실려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백제 때의 가요로 작자 ·연대 ·가사는 미상으로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그 유래만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요로백제시대부터 구전해온 민간전승의 가요로서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 진평왕 때 기녀 천관녀가 지었다는 노래로《천관원사(天官怨詞)》라고도 한다. 확실한 연대와 가사는 전하지 않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그 유래와 가명(歌名)만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 제19대 눌지왕이 지었다는 가요로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에 유래만 전해지고, 가사는 전해지지 않는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 때의 가요로 제42대 흥덕왕(재위 826∼836)이 지었으나, 가사는 전하지 않고,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에 그 유래만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의 가요로 신라 말기에 장일현(長日縣)의 한 여인이 지은 것으로, 《고려사》 <악지(樂志)>에 가명(歌名)과 유래만 전하며, 가사는전하지 않는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시대 원효(元曉)가 지었다고 하는 불교가요. 제작연대는 미상이고, 가사도 현전하지 않는다. 다만, 노래의 유래가 ≪삼국유사≫ 권4 원효불기조(元曉不羈條)와 ≪파한집≫ 권하에 기록되어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백제의 가요로 <무등산곡(無等山曲)>이라고도 한다. 가사와 곡보는 전하지 않고, 제목과 유래만 《고려사》 <악지(樂志)>에 실려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작품은 전하지 않고, 그 지어진 내력만이 ≪고려사≫ 악지(樂志)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와 ≪증보문헌비고≫ 악고(樂考) 17과 ≪대동운부군옥≫ 권18에 각각 비슷한 내용으로 기록되어 전한다.
|
|
|
|
2019.06.02
|
|
【학습】
이 작품은 명주(溟州:지금의 江陵)에서 공부하던 서생(書生)과 양가의 규수 사이에 이루어진 사랑을 읊은 노래이다.
|
|
|
|
2019.06.02
|
|
【학습】
신라 제20대 자비왕(慈悲王) 때 백결선생(百結先生)이 지은 거문고곡. 사람들은 대악(방아라는 뜻)이라 하여 즐겼으나 현재 이 곡은 전하지 않는다. 학자간에는 방아타령의 기원을 여기에서 찾는 이도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내원성의 유래를 읊은 노래로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의 변방인 정주(靜州) 섬에 있던 성(城)에 오랑캐의 투항자들을 정착시켰는데, 그 성의 이름이 내원성이며, 이를 다시 노래로 지어서 '내원성가'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
|
|
|
2019.06.02
|
|
【학습】
현전 최고의 집단 무요, 주술성을 지닌 현전 최고의 노동요로 가락국 건국신화에 삽입되어 있는 주술적인 노래이다.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
|
|
|
|
2019.06.02
|
|
【학습】
백수광부의 아내(원작자는백수 광부의 처이며, 곽리자고의 부인 여옥이 이를 노래로 정착시킨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