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유인숙(柳仁淑)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유인숙 (柳仁淑)
[1485 ~ 1545] 조선 전기에, 한성부우윤, 공조판서,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유인숙 (柳仁淑) 1485 1521 신사무옥 사림파 (士林派) 1575 동·서 분당 (東西分黨) 1545 위사공신 (衛社功臣)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영남 학파 1545년 1547년 1533년 1521년 1515년 1519년 1487 윤임 (尹任) 1484 정순붕 (鄭順朋) 1484 유관 (柳灌) 1482 조광조 (趙光祖) 1476 이기 (李芑) 1462 정광필 (鄭光弼) 1545 명종 (明宗) 1544 조선 인종 (仁宗) 1536 이이 (李珥) 1515 윤원형 (尹元衡) 1501 문정 왕후 (文定王后) 1497 백인걸 (白仁傑) 1496 임백령 (林百齡) 1493 성수침 (成守琛) 1491 박세희 (朴世熹) 1488 김구 (金絿) 1486 김정 (金淨) 1486 한충 (韓忠) 1485 김정국 (金正國) 1484 이연경 (李延慶) 1482 김식 (金湜) 1481 김안로 (金安老) 1480 이자 (李耔) 1471 남곤 (南袞) 1471 심정 (沈貞) 1471 홍경주 (洪景舟) 1469 조선 성종 (成宗) 1464 김일손 (金馹孫) 1454 김굉필 (金宏弼) 1454 조위 (曺偉) 1450 정여창 (鄭汝昌) 1431 김종직 (金宗直) 1389 김숙자 (金叔滋) 1353 길재 (吉再) 훈구파 (勳舊派) 1569 동호문답 (東湖問答)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47 정미사화 (丁未士禍)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 백과사전
[1485 ~ 1545] 조선 전기에, 한성부우윤, 공조판서,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원명(原明), 호는 정수(靜叟). 유의(柳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종식(柳宗植)이다. 아버지는 사간 유문통(柳文通)이며, 어머니는 이추(李抽)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7년(중종 2) 진사시 · 생원시에 합격했고, 1510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검열 · 이조좌랑 · 직제학 등을 거쳐 1515년 홍문관부수찬 · 전한이 되었다. 이 때 사림파의 일원인 박상(朴祥) · 김정(金淨) 등이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복위를 주장하다가 유배되자, 이들의 치죄를 둘러싸고 찬반의 논란이 크게 일어났다.
 
이 사건은 단순한 신씨 복위 문제를 넘어서 신구 세력의 대립으로까지 발전했는데, 사림파를 대표해 이들의 치죄를 적극 반대하였다. 이어서 동부승지를 거쳐 1518년 11월 김정의 후임으로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나, 반대 세력인 박호(朴壕) 등의 반대로 철회되었다.
 
다음해 좌승지를 거쳐 부제학에 임명되었다. 이 때 대간이 경연에서 적임자가 아니라고 반대하고, 동지사(同知事) 조광조(趙光祖)도 불가하다고 하자 학식이 없음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당시 사림파의 핵심 인물인 조광조 · 김정 · 김구(金絿) · 김식(金湜) 등은 성균관과 홍문관을 번갈아가면서 장악해 그들의 세력을 더욱 굳히려고 하였다. 그런데 유인숙의 부제학 임명에 조광조 등이 적극 반대한 것은 사림파내의 세력 다툼 때문이었다.
 
이어서 도승지에 승진했으나, 같은 해 11월의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일시 구속되었다가 석방되었다. 이 때 영의정 정광필(鄭光弼) 등과 함께 조광조 등을 위해 적극 변명하였다. 그 뒤 호조참의가 되었으나 기묘당인(己卯黨人)으로 대간의 탄핵을 계속 받다가, 2년 뒤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사태를 관망했다는 기회주의자로 몰려 경주부윤으로 좌천되었다가 다시 파면되었다.
 
그 뒤 1537년 재서용되어 병조참의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한성부우윤 · 호조참판 · 대사헌 · 한성부좌윤 · 대사간, 형조 · 호조 · 이조 · 공조의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545년 우찬성에 올랐다가 인종이 죽고 명종이 즉위하면서 이기(李芑) · 정순붕(鄭順朋) 등의 모함으로 일어난 을사사화에서 윤임(尹任) · 유관(柳灌) 등과 함께 종사를 모위했다는 죄목으로 무장으로 귀양가던 도중 진위 갈원(振威葛院)에서 사사되었다.
 
같은 해 9월 김명윤(金明胤)의 밀고로, 윤임 · 유관 등과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의 추대를 모의했다는 죄목으로 능지처사에 처해졌다. 네 아들도 모두 교살되었고 재산도 몰수되었다.
 
선조 때 성균관 유생과 영의정 이준경(李浚慶)을 비롯한 대신들의 상소로 신원, 복관되었고, 유인숙을 모함했던 이기 · 정순붕 등은 위훈이 삭제되었다. 일찍이 김정과 함께 김정국(金正國) 등의 사림파를 조정에 추천하는 데 적극 앞장서기도 했으나, 기묘사화 때 파직되어 20여 년간 재야에 있었다.
 
다시 서용된 뒤에는 사림의 기대를 받았으나 근신하지 못하고 자주 뇌물을 받아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경연에 입시해서는 몇 차례에 걸친 사화로 부진해진 성리학의 진흥에 노력할 것을 촉구했고, 궁중 세력과 결탁한 간신배의 세력을 제거하는 데 힘썼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유문정가의 충비 柳文正家의 忠婢 근/현대 수필 차상찬 (37)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을사사화 (6) 백과 이기 (6) 백과 유관 (4) 백과 윤원형 (4) 백과 윤임 (4) 백과 김구 (3) 백과 사화 (3) 백과 위사공신 (3) 백과 이자 (3) 백과 조광조 (3) 백과 1519년 (2) 백과 1545년 (2) 백과 4대 사화 (2) 백과 갑자사화 (2) 백과 기묘사화 (2) 백과 김식 (2) 백과 김정 (2) 백과 남곤 (2) 백과 무오사화 (2) 백과 박세희 (2) 백과 박훈 (2) 사림파 (2) 백과 심정 (2) 백과 정순붕 (2) 백과 한충 (2) 백과 홍경주 (2) 백과 훈구파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