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논어팔일편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논어팔일편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동양고전 제301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1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023,02,23)
# 논어 팔일편 # 사기 주본기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1강(2023,02,23) 강의 교안
 
 
《論語》〈八佾〉 注釋
3-3. 子曰..人而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
 
1) 而 - 가정의 의미, 만약 ;
2) 仁 - a.包咸, 《論語章句》「言人而不仁, 必不能行禮樂。 人而不仁, 如禮何」 ; 또 《禮記》〈儒行〉 「禮節者仁之貌也, 歌樂者仁之和也」(禮樂是外在的, 謙讓敬人 ; 仁是内在的, 與衆和諧) ; b.朱子, 《四書集注》引程子 「仁者天下之正理。失正理,則無序而不和」 ;
3) 如禮何 - 즉 如何禮의 도치형식 ; 如와 何는 모두 부사, 禮는 동사, 예의를 준수한들 무슨 쓸모가 있겠는가? ;
4) 禮樂 - a.禮節과 音樂 ; 대략 夏, 商 시작,周-周公「制禮作樂」 成文化(?) ; b.중국을 달리 「禮樂之邦」, 「禮儀之邦」, 「禮樂文化之國」, 우리는 東方禮義之國? ; c.그러면 禮儀와 禮義 차이? 禮儀는 禮節儀式의 생략, 「禮爲個體性(行爲), 儀爲集體性(規範)」 ; 禮義는 禮法道義의 생략, 즉 「禮, 謂人所履;義, 謂事之宜」 ; 결론은 禮義=禮儀, 굳이 구별하자면 禮義〈禮儀
 
* 南開大學 교훈 「允公允能, 日新月異」-允의 풀이
1) 출처 - 《詩經》〈泮水〉「允文允武,昭假烈祖」 ;
2) 作名 - 1919, 校父 嚴修(1860-1929) 중국근대 교육가, 서예가 「尚公尚能」 ; 1934年,校長 張伯苓「允公允能, 日新月異」 ;
3) 允은 a.助詞로 사용, b)旣, 允~允은 현재의 旣~且, ~일뿐만 아니라 ~도 또한 c)大, 最 ;
4) 公 - 公共, 公德, 즉 無私無我로 국가의 富强을 도모하기 위하는 품성 ;
5) 能 - 능력, 즉 백성의 복리 증진를 위하여 智能, 体能, 技能, 才能을 갈고 닦음 ;
6) 日新月異 - 출처는 《禮記》〈大學〉「湯之盤銘曰..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
7) 允과 관련 문헌 - 北京故宫 中和殿(《禮記》〈中庸〉「中也者, 天下之本也;和也者, 天下之道也」)에 걸려있는 匾额, 清, 乾隆皇帝 御笔「允執闕中」 a.출처-《尙書》〈大禹謨〉「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b.의미-言行不偏不倚,符合中正之道 c.乾隆皇帝 채택-明·方孝儒《夷齊》「聖人之道, 中而已矣, 堯、舜、禹三聖人爲萬世法, 一允執厥中也」
 
 

 
《史記》〈周本紀〉 註釋
 
1. 旣 - 甲骨文, 본래 의미는 사람이 식기 앞에서 고개를 돌리고 있는 모양으로 배부름을 표시, 부사로 사용;又、且、也와 더불어 사용 시에는 ~뿐만 아니라 ~도 또한, 《國語》〈晉語一〉「旣無老謀, 而又無壯事, 何以事君」 ; 《說文解字》, 「小食也。從皀旡聲」 또 《說文解字注》, 「小食也。注:此與口部叽音義皆同。玉藻、少儀作禨, 假借字也, 引伸之義爲盡也、已也。如《春秋》曰有食之旣。周本紀東西周皆入於秦, 周旣不祀, 正與小食相反。此如亂訓治, 徂訓存。旣者, 終也, 終則有始。小食則必盡, 盡則復生」 ; 1) 다하다, 끝내다, 《莊子》〈應帝王〉「吾與汝旣其文, 未旣其實」 ; 2) 일식, 월식, 《春秋》桓公三年條, 「秋七月壬辰朔, 日有食之, 旣」 ; 3) 전부(끝나다), 韓愈, 《進學解》「言未旣, 有笑于列者曰..先生欺余哉!」 ; 4) 잃다, 《史記》〈太史公自序〉「不旣信, 不倍言, 義者有取焉」 ; 安定, 至, 及, 全 ;5) 모두, 《左傳》僖公二十二年條「彼衆我寡, 及其未旣濟也, 請擊之」 ; 6) 동작, 상황이 완료된 상태, 즉 이미(已經), 《尙書》〈堯典〉「克明俊德, 以親九族, 九族旣睦, 平章百姓」 ; 7) 곧(卽時), 《荀子》〈强国〉「旣, 楚發其賞。梁啓雄釋..旣, 旋, 不久之後」 ; 8) 즉(卽, 便), 《逸周書》〈克殷〉「王旣以虎賁戎車馳商師, 商師大敗」 ; 9) 그, 장차(其, 將), 《尙書》〈西伯戡黎〉「天旣訖我殷命」
# 논어 팔일편 # 사기 주본기
【학습】동양고전 제301강 강의교안
(게재일: 2023.02.23. (최종: 2023.12.01. 09:41))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