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논어학이편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논어학이편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사기강의 제254회 보충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54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 논어 학이편 # 사기 주본기
*《論語》〈學而〉
11.子曰:父在,觀其志;父没,觀其行;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1) 其 - 아버지 ; 최근에는 아들 자신을 가리킨다는 주장도 있슴
2) 行 - 行動擧止
3) 三年 - 3년 ; 꼭 3년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가리킴
4) 道 - 부친이 행한 합리적 내용
 
**인재를 아끼는 지도자의 자세
《史記》〈魯周公世家〉「一沐三握髮, 一飯三吐哺,起以待士,猶恐失天下之賢人」; 曹操, 〈短歌行〉「山不厭高, 海不厭深, 周公吐哺, 天下歸心」 ; 康有爲《大同書》〈戊部〉第一章「握髮吐哺以求才」
 

 
1. 大 - 갑골문, 원래는 두 팔 두발을 벌리고 서있는 모습 ;《說文解字》「大,天大,地大,人亦大。故大象人形」 ; 큰,《孟子》〈盡心上〉「公孫丑曰:道則高矣,美矣,宜若登天然,似不可及也;何不使彼爲可幾及而日孶孶也?孟子曰:大匠不爲拙工改廢繩墨,羿不爲拙射變其彀率。君子引而不發,躍如也。中道而立,能者從之」;《論語》〈雍也〉「仲弓問子桑伯子。子曰:可也,簡。仲弓曰:居敬而行簡,以臨其民,不亦可乎?居簡而行簡,無乃大簡乎?子曰:雍之言然」;《史記》〈魏公子列傳〉「魏有隱士曰侯嬴,年七十,家貧,爲大梁夷門監者。公子聞之,往請,欲厚遺之。不肯受,曰:臣修身潔行數十年,終不以監門困故而受公子財。公子於是乃置酒,大會賓客。坐定,公子從車騎,虛左,自迎夷門侯生。侯生攝敝衣冠,直上載公子上坐,不讓,欲以觀公子。公子執轡愈恭。侯生又謂公子曰:臣有客在市屠中,原枉車騎過之。公子引車入市,侯生下,見其客朱亥,俾倪,故久立與其客語,微察公子,公子顔色愈和」
# 논어 학이편 # 사기 주본기
【학습】사기강의 제254회 보충설명
(게재일: 2020.01.30. (최종: 2020.11.25. 18:23))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