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안중근(安重根)
안중근
자 료 실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2020년 6월
2020년 6월 23일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20년 5월
2020년 5월 8일
국가보훈처
2020년 3월
2020년 3월 25일
국가보훈처
2019년 10월
2019년 10월 25일
국가보훈처
2019년 10월 21일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19년 10월 14일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19년 9월
2019년 9월 30일
국가보훈처
2019년 5월
2019년 5월 28일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년 3월
2019년 3월 28일
문화재·역사·전
2019년 3월 25일
국가보훈처
2018년 12월
2018년 12월 27일
국가보훈처
2018년 10월
2018년 10월 25일
국가보훈처
2018년 8월
2018년 8월 15일
문화재·역사·전
2018년 3월
2018년 3월 26일
국가보훈처
2017년 11월
2017년 11월 15일
국가보훈처
2017년 10월
2017년 10월 25일
국가보훈처
2017년 6월
2017년 6월 30일
국가보훈처
2017년 3월
2017년 3월 27일
국가보훈처
2017년 2월
2017년 2월 13일
문화재·역사·전
2016년 3월
2016년 3월 26일
문화재·역사·전
2016년 3월 25일
문화재·역사·전
2016년 3월 24일
문화재·역사·전
2016년 3월 23일
문화재·역사·전
2016년 3월 22일
문화재·역사·전
2016년 3월 21일
문화재·역사·전
안중근 의사 1편(출생~ 연해주)
about 안중근


내서재
추천 : 0
안중근(安重根)
최근 3개월 조회수 : 8 (4 등급)
(게재일: 2016.03.21. (최종: 2019.11.21. 19:07)) 
◈ 안중근 의사 1편(출생~ 연해주)
오는 3월 26일(토)은 안중근 의사 순국 106주기 날이다. 그 날을 맞이하여 오늘부터 안중근 의사의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잘 아시다시피 안의사는 1879년 9월 2일 황해도 해주에서 출생하여 1909년 10월 26일 9시 30분 하얼빈역에서 일본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에게 총을 쏜 후 "대한 만세"를 외쳤고 러시아군에게 체포된 후 1910년 3월 26일 중국 뤼순(旅順) 감옥에서 32세로 순국하셨다. 그의 시신은 묻힌 곳을 지금도 못 찾아 그토록 원하던 고국에 아직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이제 편히 쉬소서.
오는 3월 26일(토)은 안중근 의사 순국 106주기 날이다. 그 날을 맞이하여 오늘부터 안중근 의사의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잘 아시다시피 안의사는 1879년 9월 2일 황해도 해주에서 출생하여 1909년 10월 26일 9시 30분 하얼빈역에서 일본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에게 총을 쏜 후 "대한 만세"를 외쳤고 러시아군에게 체포된 후 1910년 3월 26일 중국 뤼순(旅順) 감옥에서 32세로 순국하셨다. 그의 시신은 묻힌 곳을 지금도 못 찾아 그토록 원하던 고국에 아직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이제 편히 쉬소서.
 
 
 
 
 
\na-;▼
강화도 조약, 갑신정변, 동학농민전쟁, 청일전쟁,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 사건), 아관파천, 을사늑약, 군대해산 등 온몸으로 격동의 시대를 보냈다.
 
 
 
 
​▼
백범김구는 안 의사의 유가족을 각별하게 챙겼다.안 의사의 친동생 안정근과 안공근은 형의 유지에 따라 독립투사가 되어 백범의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특히 안정근의 차녀 안미생이 백범의 장남 김인과 혼인함으로써 두 가문은 사돈관계로 발전했다.
 
 
\na-;▼1905년 11월 을사늑약 체결로 망국의 상황이 도래하자 구국의 방책을 도모하기 위해 중국 상해로 건너갔다. 상해에서 한인들을 모아 구국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천주교 관계자들을 통해 일제의 침략 실상을 널리 알리는 외교 방책으로 국권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해 지역의 한인 유력자들과 외국인 신부들의 비협조, 그리고 1906년 1월 부친의 별세로 말미암아 뜻을 펴지 못한 채 귀국하고 말았다.
 
 
 
 
\na-;▼
1907년 2월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자 의사는 국채 보상기성회 관서 지부를 조직(관서지부장)하여 부인의 금반지와 은반지, 비녀 등을 비롯하여 전 가족의 장신구를 모두 헌납하면서 이 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na-;▼
1907년 연해주로 망명하였다. 이는 국외에서 의병부대를 조직하여 독립전쟁 전략을 구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의사는 연해주 일대의 한인촌을 유세하며 의병을 모집하고, 연해주 한인사회의 지도적 인물이자 거부인 최재형의 재정적 지원으로 1908년 봄 의병부대를 조직하였다. 흔히
이범윤
의병부대로 알려진 것이 바로 의사가 중심이 되어 조직한 이 의병부대였다. 김두성이 총독, 간도관리사를 역임한 이범윤이 총대장으로 추대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참모중장이었던 의사가 이 의병부대를 이끌었다. 의병부대의 규모는 3백 명 정도로 두만강 부근을 근거지로 군사훈련을 실시하면서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였다.
 
최근 자료(2019.8월)에 따르면 우덕순은 안중근 의사와 함께 이토 히로부미 저격에 참가,3년 복역후 친일의 밀정으로 변절했다.
 
 
 
\na-;▼
일본군 포로들을 석방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이는 "사로잡힌 적병이라도 죽이는 법이 없으며, 또 어떤 곳에서 사로잡혔다 해도 뒷날 돌려 보내게 되어 있다."고 하는 만국공법(국제법)에 따른 것이었고, 또 의사가 믿고 있던 천주교의 박애주의의 소산이었다
 
 
 
 
\na-;▼
안중근(1879~1910)은 김구(1876~1949)를 신천군 청계동에서 처음 만났고, 빌렘 신부((1860~1938. 홍석구)에게서 영세를 받았다.(세례명은 토마스, 보낸 엽서에 安道鳴로 표기) 아래 인물 외에 홍범도, 이범윤, 엄인섭 등 다른 분들도 많이 계신다.
 
 
 
\na-;▼
독립 운동가
 
 
★ 윤봉길 의사 1편, 2편은 여기를 누르세요.
 
\na-;출처: 안중근 의사 기념관, 민족문화대백과.네이버 지식백과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하얼빈 의거 (1909년 10월 26일)
• 안중근의사 순국 (1910년 3월 26일)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