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금산군 충청남도 금산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충청남도 금산군 정보
◈ 금산군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임진왜란과 금산싸움, 천주교 진산사건과 윤지충, 동학혁명운동의 기포지 /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김신(金侁), 길재(吉再, 1353∼1419), 윤택(尹澤, 1289∼1370) / ◈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칠백의총, 중봉조헌관계유품, 백령성지, 금산향교, 진산향교 / ◈ 문화재자료 - 청풍사, 충렬사, 용강서원
목   차
[숨기기]
 

1. 2.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임진왜란과 금산싸움
1592년 6월부터 8월까지 전라도 곡창지대를 점령하려던 왜군을 맞이하여 금산에서 벌인 전투로 모두 5차례 전투가 있었다. 권종 금산군수의 저곡산전투, 전라도 도절제사 권율과 동복현감 황진을 비롯한 천 여명의 관군과 의병 연합군으로 1만 여명의 왜군 제6군 주력부대를 궤멸시킨 이치대첩, 의병장 고경명의 눈벌전투, 의병장 조헌과 승장 영규의 경양산전투, 해남현감 변응전의 행당촌전투를 말한다. 이중에서 이치대첩은 왜군이 3대첩 가운데 첫째로 꼽을 만큼 임란을 통하여 크게 성공한 전투이다. 권율도 여러 전투 가운데 “이치대첩이 최고이고, 행주는 그 다음이다”라고 할만큼 임란사에 크게 기록된 전투이고 눈벌과 경양산전투의 의병정신은 임진란의 분수령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 천주교 진산사건과 윤지충
1791년 11월 13일 진산군 장구동에 사는 윤지충과 공주의 그의 외사촌 권상연이 윤지충의 어머니 제례문제로 전주 감영에서 천주교 사상 최초로 순교한 사건이다. 두 시체는 9일 동안 그대로 버려 두었으나 조금도 썩지 않고 굳어지지도 않을 뿐더러 형틀에 흐른 피는 추운 겨울임에도 조금도 엉기지 않고 흐른 그대로 있었다고 한다.
 
◈ 동학혁명운동의 기포지
1894년 3월 8일 또는 12일 금산지역 동학혁명운동은 진산 동학군이 주축이 되어 대접주 조재벽과 최사문, 최공우 부자 및 옥천,청산, 영동, 황간, 고산, 금산의 여러 접주들에 의해 진산 방축리와 금산 제원역에서 처음으로 기포를 하였다. 초기 기포는 무장 당산과 태인 지금실 기포보다 8일 내지 6일이 빨랐으며 또한 다른 지역 동학군들은 12월까지 항쟁하였으나 금산지역만은 1895년 1월 하순까지 대둔산 미륵바위에서 일본군과 끈질기게 싸웠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김신(金侁)
호는 낙천제이며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 직원, 국자감 사업 등을 지내다 원나라에 들어가 요동행성 참정을 지내고 귀국하니 충렬왕이 그의 고향인 진례현을 금주군으로 승격시켰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고향에 돌아와 보니 어머니가 왜구에 변을 당하여 그 시체를 찾을 수 없어 뒷산에 단을 쌓고 7일 동안 기도를 하니 이튿날 눈이 와서 길이 트이고 여러 시체가 있었다. 어머니 시체를 몰라 다시 기도를 하니 백골이 청색으로 변하므로 거두어 장례를 지냈다. 이 때 제사를 지내던 곳이 금산읍 신대리에 있으며 이 곳을 제천대라고 한다.
 
◈ 길재(吉再, 1353∼1419)
호가 야은이라 하였으며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요, 삼은의 한 분으로 아버지 원진이 금산 원님으로 부임할 때 아버지를 따라와 지내면서 신면의 딸과 결혼을 하여 금산과 관계를 맺게 되었다. 조선이 건국한 후 평소 친하게 지내던 태종이 태상박사를 제수하였으나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고 하여 거절하고 선산에서 후세 교육에 힘을 썼다. 야은 선생이 살았던 마을을 불이리라 부르는데 현재 후손이 많이 살고 있으며 이곳에 청풍서원이 있어 그 뜻을 기리고 있다.
 
◈ 윤택(尹澤, 1289∼1370)
호는 율정이며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개경 부윤, 나주 목사, 밀직제학 등을 거쳐 정당문학을 지내고 이제현, 이곡 등과 교유하였으며 고향에 돌아와 어머니에게 극진히 효도를 하였으며 진악산 아래에 거쳐하며 독서와 저술에 힘을 썼다. 삼은의 한 분인 목은은 율정을 말하기를 “새의 무리 속에서 외로운 봉이 운다”고 칭송하였으며 이어 율정은 웅대한 기로써 『춘추』에 능통하고 『문선』에 능하다고 하였다. 『율정집』과 『율정유고』, 『사부한』 등의 문집이 있으며 율정이 거닐던 진악산 아래에 목은이 지은 율정신도비와 묘가 있다.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사적
 
◈ 칠백의총 -제105호, 금성면 의총리 166-1
 
 
■ 보물
 
◈ 중봉조헌관계유품 -제1007호, 금성면 의총리 216
 
 
■ 천연기념물
 
◈ 보석사 은행나무 -제365호, 남이면 석동리 709
◈ 향정 은행나무 -제84호, 추부면 요광리 329-8
 
 
■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 신안사 대광전 -제3호, 제원면 신안리52
◈ 용호석 -제4호, 제원면 천내리1006-45
◈ 신안사 극락전 -제117호, 제원면 신안리5
◈ 태조대왕 태실 -제131호, 추부면 마전 산1-86
◈ 보석사 대웅전 -제143호, 남이면 석동리711
 
 
■ 무형문화재
 
◈ 금산 물페기농요 -제16호, 부리면 평촌리569
◈ 인삼백주 -제19호, 금성면 파초리260
 
 
■ 기념물
 
◈ 백령성지 -제83호, 남이면 역평리 16-2
◈ 금산향교 -제121호, 금산읍 상리 산4
◈ 진산향교 -제122호, 진산면 교촌리 355
 
 
■ 문화재자료
 
◈ 청풍사 -제16호, 부리면 불이리
◈ 충렬사 -제17호, 금성면 상가리 9-10
◈ 용강서원 -제19호, 제원면 용화리 342
충청남도 금산군 정보
• 금산군의 어제와 오늘
• 금산군의 역사문화자원
• 금산군의 생활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