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환경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환경】 환경부 보도자료
◈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는 '감축'이 우선[동아일보 2019.11.28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자들의 감축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후경제과 - 이상철 (044-201-6581)】
 
○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자들의 감축 노력이 필요합니다. 
 
○ 보다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산업계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 2019.11.28일 동아일보 <"온실가스 줄이려다 사업 접을판"…업계, 탄소배출권 아우성> 보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립니다.
 
1. 기사 내용
 
①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단계적으로 감축된 배출량을 배정받고 이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려면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서 이를 채우는 제도
 
② 산업 부문은 2030년 3억8240만t을 배출목표로 세워 20% 이상의 감축을 요구
 
③ EU는 자국 기업에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를 비교적 느슨하게 적용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환경부 설명내용
 
(①에 대하여)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감축을 목표로 하는 제도인바, 감축이 우선이고 감축 없이 구매만으로 의무이행을 하는 경우 부담이 발생함
 
(②에 대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로드맵의 감축목표 설정은 산업부문의 부담 수준을 감안하여 설정되었음
 
-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산업부문의 비중을 감안하여 다른 부문보다 낮은 20% 수준으로 설정
 
※ 타 부문 감축률 : 전환(42%), 건물(32%), 수송(29%), 폐기물(28%)
 
-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서는 단계별 감축수준이 설정되어 있는바, 현재 배출량 기준으로 20% 감축은 아님
 
- 감축수준은 실제 배출량을 기준으로 비교되어야 하며, 2017년 산업부문 배출량은 393백만톤으로 2030년 감축 후 배출량 목표인 382백만톤에 비해 과도한 수준은 아님(2017년 대비 2.57% 감축)
 
(③에 대하여) EU의 경우 서브프라임 모기지, 그리스 국가재정 붕괴 등의 사정으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급락하여 2013년 2.68유로(3,478원/톤)로 유지되었음
 
EU 집행위원회는 감축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출권 공급물량을 감소*시켰고, 이에 따라 배출권 가격이 2019년 29.41유로(38,164원/톤)까지 상승하여 국내와 유사한 수준임
 
 
 
 

 
※ 원문보기
【환경】 환경부 보도자료
• (공동-참고)파주시 민통선 내 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
•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는 '감축'이 우선[동아일보 2019.11.28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혁신환경기술 민간 투자의 길 넓힌다
(2019.11.28. 12:3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