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문화재청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문화】 문화재청 보도자료
◈ 전통건축 장인들의 손때 묻은 도구 만난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소장 최인화)와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오는 11월 17일부터 11월 28일까지 한양대학교 박물관(서울 성동구)에서 (사)한국건축역사학회·(사)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한양대학교 박물관과 함께 「한국전통건축 : 장인의 힘, 연장의 힘」 특별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 복원정비과】
「한국전통건축 : 장인의 힘, 연장의 힘」 특별전 개최(11.17.~28. / 한양대학교 박물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소장 최인화)와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오는 11월 17일부터 11월 28일까지 한양대학교 박물관(서울 성동구)에서 (사)한국건축역사학회·(사)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한양대학교 박물관과 함께 「한국전통건축 : 장인의 힘, 연장의 힘」 특별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전통건축 분야의 장인과 도구에 관한 연구 성과를 종합하고, 그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일제강점기 등을 거치며 변형되는 등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통건축 장인들의 도구 실물과 실제 사용 영상을 관람할 수 있으며, 외래 도구도 함께 전시하여 국내 도구와의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다.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전통건축 기술 연구’의 일환으로 장인의 도구, 치목 기법 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번 특별전을 통해 대목이 사용하였던 대패, 톱, 자, 먹통, 자귀 등 총 51종 92건의 도구를 소개하며,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영상과 삽화, 책자 등도 함께 전시한다.
* 대목: 전통 목조 건축의 기술을 가진 목수로서, 건축물의 기획·설계·시공은 물론, 수하 목수들에 대한 관리 감독까지 책임지는 장인
* 치목: 목공사 중 나무를 깎고 다듬는 일
 
이와 더불어 궁능유적본부에서는 ‘직영보수단’에서 사용해왔던 나무달고, 톱, 자귀, 와도 등 총 40여 종의 전통건축 도구를 함께 전시한다. 참고로, ‘직영보수단’은 1980년 창설 이후, 궁·능 보수현장에서 시급성이 요구되는 중·소규모의 보수·정비 업무를 매년 300여 건을 담당하고 있으며, 목공·석공·미장공·단청공 등 총 27명의 기능인으로 구성된 문화재청 직속 전문 기능인 집단이다.
* 달고: 땅을 단단히 다지거나, 목재를 조립할 때 쓰는 연장의 하나
* 자귀: 나무를 깎아 다듬는 데 쓰는 연장의 하나
* 와도: 기와를 쪼개는 칼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를 지키고 전승하는 데 일생을 바쳐온 장인과 잊혀져 가는 대목의 기술과 도구를 재조명하고, 그 가치와 중요성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전시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사)한국건축역사학회 누리집(https://www.kaah.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적극행정 일환으로 추진된 이번 특별전을 계기로, 앞으로도 전통건축 기술에 대한 기록보존, 학술연구뿐 아니라 전통 도구 사용 활성화 등을 위해서도 꾸준히 노력해나갈 예정이다.
 
 
< 홍보물 >
 
 
첨부 :
1115 전통건축 장인들의 손때 묻은 도구 만난다(본문).hwpx
1115 전통건축 장인들의 손때 묻은 도구 만난다(본문).hwp
1115 전통건축 장인들의 손때 묻은 도구 만난다(붙임).pdf
 

 
※ 원문보기
【문화】 문화재청 보도자료
• 한-아세안 문화유산 협의체, 청년 메타버스 아이디어 공모전 성공적으로 이끌어
• 전통건축 장인들의 손때 묻은 도구 만난다
• 인류공동유산으로서 ‘탈춤’ 전승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2023.11.16. 09:28)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