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독도 바다사자 ‘강치‘ 뼈에서 유전자 정보 발견
해양수산부 (장관 김영춘) 는 멸종된 독도 바다사자 (강치) 의 뼈에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였다고 밝혔다.【해양생태과 - 이형민 (044-200-5315)】
독도 바다사자 ‘ 강치 ‘ 뼈에서 유전자 정보 발견
- 국내 최초로 멸종된 독도 바다사자 유전자 정보 확인 -
 
해양수산부 (장관 김영춘) 는 멸종된 독도 바다사자 (강치) 의 뼈에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독도 바다사자의 유전자 정보를 확인한 것은 국내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독도 바다사자 (강치) 는 과거 동해와 일본 북해도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우리 나라 에서는 울릉도, 독도가 최대 번식지였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시절 대량 포획된 이후 개체수가 급감하여 1990년대 중반에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 에 의해 절멸종으로 분류되었다.
 
그간 국내에서는 독도 바다사자에 대한 1950년대 사진자료와 일본인의 남획 기록 및 증언자료만 보유하고 있었으며, 독도 바다사자의 멸종으로 인해 유전자원 (遺傳資源, genetic resource) 을 확보하지 못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동해연구소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는 2014년 4월 독도에서 바다사자 뼈로 추정되는 동물뼈 5점을 채취하여 그간 부산대학교 해양연구소와 공동 연구를 통해 유전자를 분석해 왔다.
 
그 결과, 채취한 뼈 중 1점에서 DNA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고, 이 뼈가 독도 바다사자의 뼈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진은 올해 1월 3일 국제유전자정보은행 (GenBank, NCBI) 에 독도 바다사자 뼈의 유전자 정보를 등록하였으며, 향후 국제학술지에 연구 결과를 게재할 예정이다.
 
한편,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도 2018년 8월 독도에서 채취한 동 물 뼈 9점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5점에서 독도 바다 사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DNA를 확인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본격 적인 연구를 위해 지난해 11월 울산 과학기술원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 으며, 앞으로 독도 바다사자 유전체 연구를 진행 하여 전체 유전자 정보를 밝 혀낼 계획이다.
 
명노헌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 은 “일제강점 기 시절 대량으로 포획되었던 독도 바다사자 (강치) 의 흔적을 찾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라며,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독도 바다사자의 유전 자 정보를 확인한 최초의 사례로, 앞 으 로 관련 연구기관 과의 협력을 통해 추가 조사 와 연구를 추진하 겠다.”라고 말했다.
 
 
첨부 :
190228(조간) 독도 바다사자 ‘강치‘ 뼈에서 유전자 정보 발견(해양생태과).hwp
 

 
※ 원문보기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해수부, 국적선사 등과 선박 안전에 대한 소통 강화한다
• 독도 바다사자 ‘강치‘ 뼈에서 유전자 정보 발견
• 국외반출 승인대상 해양수산생명자원 290종 신규 지정
(2019.10.10. 21:3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