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지식창고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회양도호부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회양도호부】본래 고구려의 각련성군(各連城郡)인데,(各이 客으로도 쓰이었다. 加兮牙라고도 한다) 신라에서 연성군(連城郡)으로 고쳤다. 고려 때에 또 이물성(伊勿城)이라 일컬었으며(太祖記에 나온다), 성종(成宗) 14년 병신(丙申)에 교주 단련사(交州團練使)로 고쳤고,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강원도
 
◎ 회양 도호부(淮陽都護府)
 
 
사(使) 1인, 유학 교수관(儒學敎授官) 1인.
 
본래 고구려의 각련성군(各連城郡)인데,(各이 客으로도 쓰이었다. 加兮牙라고도 한다) 신라에서 연성군(連城郡)으로 고쳤다. 고려 때에 또 이물성(伊勿城)이라 일컬었으며(太祖記에 나온다), 성종(成宗) 14년 병신(丙申)에 교주 단련사(交州團練使)로 고쳤고, 현종(顯宗) 9년에 방어사(防禦使)로 고쳤다가, 충렬왕(忠烈王) 34년 무신(戊申)에 철령구자(鐵嶺口子)의 파절(把截)로써 공이 있으므로 회주목(淮州牧)으로 승격시켰고(元나라 武宗 至大 元年), 충선왕(忠宣王) 2년 경술(庚戌)에 회양부(淮陽府)로 강등하였다. 본조에서 그대로 따르다가, 태종(太宗) 13년 계사(癸巳)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하였다. 별호(別號)는 연성(蓮城), 혹은 연성(連城)이라 한다(淳化 때에 정한 것이다) 속현(屬縣)이 5이니, 화천현(和川縣)은 본래 고구려의 수생천현(數狌川縣)인데, 신라에서 수천(藪川)으로 고쳐서 대양군(大陽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화천현(和川縣)으로 고쳐서 교주(交州) 임내로 하였는데, 본조(本朝)에서 그대로 하였다. 수입현(水入縣;買伊縣이라고도 한다)은 금성현(金城縣)의 보(報)에 의거하면, 본시 통구현(通溝縣)의 땅인데, 갈라 붙인 연대는 미상(未詳)이다. 문등현(文登縣)은 본래 고구려의 문현현(文現縣;斤尸波兮라고도 한다)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대양군(大陽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戊午)에 춘주(春州) 임내에 옮겨 붙이었다가, 뒤에 다시 교주(交州)에 붙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남곡현(嵐谷縣)은 본래 고구려의 적목진(赤木鎭)인데, 신라에서 단송현(丹松縣)으로 고쳐서 연성군(連城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 9년에 남곡으로 고쳐서 교주 임내로 하였으며,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장양현(長陽縣)은 본래 고구려의 대양관군(大陽管郡;馬斤押이라고도 한다)인데, 신라에서 대양군(大陽郡)으로 고쳤고, 고려에서 장양현으로 고쳐 교주 임내로 한 것을,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진산(鎭山)은 의관령(義館嶺)이다.(부의 북쪽에 있다) 덕진명소(德津溟所;의관령 아래에 있다. 봄·가을에 香을 내려 제사지내는데, 모두 小祀로써 한다) 금강산(金剛山;자양현의 동쪽 30리쯤에 있다. 楓岳이라고도 하고, 皆骨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山水가 天下에 이름났는데, 이 산의 천만 봉우리는 눈처럼 서서, 높고 절묘함이 으뜸이며, 또 佛書에 담무갈보살(曇無竭菩薩)이 머무르던 곳이란 말이 있어서, 인간의 淨土라 이른다. 민간에서 전하기를, “中國 사람들이 또한 이르기를, ‘고려국에 나서 친히 <金剛山> 보기를 원한다’ 하였다” 한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통천(通川)에 이르기 52리, 서쪽으로 평강(平康)에 이르기 71리, 남쪽으로 금성(金城)에 이르기 38리, 북쪽으로 함길도(咸吉道) 안변(安邊)에 이르기 30리이다.
 
호수(戶數)가 2백 22호요, 인구가 5백 92명이다. 화천현의 호수가 19호요, 인구가 39명이며, 수입현의 호수가 41호요, 인구가 1백 55명이며, 문등현의 호수가 14호요, 인구가 28명이며, 남곡현의 호수가 11호요, 인구가 46명이며, 장양현의 호수가 1백 단(單) 4호요, 인구가 2백 18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백 58명이요, 선군이 10명이다.
 
토성(土姓)이 5이니, 송(宋)·방(房)·고(高)·이(李)·현(玄)이요, 속성(續姓)이 4이니, 김(金;淸道에서 왔다)·전(全;旌善에서 왔다)·정(鄭;務安에서 왔는데 모두 향리이다)·채(蔡;平康에서 왔다)요, 망성(亡姓)이 1이니, 방(房;熊林에서 왔다)이다. 화천의 성이 1이니, 김(金)이요, 망성이 1이니 은(殷)이며, 수입(水入)의 속성(續姓)이 2이니, 김(金;三陟에서 왔는데, 향리이다)·윤(尹;縣과 성씨가 옛 문적에는 없다)이며, 문등의 성이 1이니, 수(壽)요, 망성이 4이니, 신(辛)·양(楊)·형(邢)·신(信)이며, 남곡의 성이 1이니, 박(朴)이요, 망성이 3이니, 전(田)·노(盧)·현(玄)이며, 장양의 성이 1이니, 맹(孟)이요, 망성이 3이니, 경(敬)·화(華)·전(田)이다.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차다. 간전(墾田)이 4천 5백 86결이요(논이 7결 뿐이다), 토의(土宜)는 기장·피·조·콩·메밀·뽕나무·삼·밤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칠·잣·오배자·시우쇠·지초·느타리·석이·여우가죽·삵쾡이가죽·수달피·노루가죽·표범꼬리·돼지꼬리·곰의 털이요, 약재는 오미자·복령·승검초뿌리[當歸]·쥐꼬리망초뿌리[秦芃]·바디나물뿌리[前胡]·궁궁이·나팔꽃씨[牽牛子]·대왕풀[白芨]·백교향(白膠香)·북다무진[安息香]·속새[木賊]·지남철[磁石]·곰의 쓸개·산양이뿔[羚羊角]·소유(酥油)·공청(空靑)·인삼이다. 토산(土産)은 금(金)이 부(府)의 동쪽 30리 보제진(菩堤津) 냇가와 부(府)의 북쪽 5리 임계사(臨溪寺) 아래 냇가에서 난다.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부(府)의 동쪽 옹리(瓮里)에 있다.(下品이다)
 
천불산 석성(天佛山石城)이 부의 남쪽에 있다.(둘레 6백 71步 1척이며, 안에 샘이 하나가 있는데, 가물면 마른다) 역(驛)이 2이니, 은계(銀溪)·신안(新安)이요(본래 東安驛인데, 今上 7년 乙巳에 임내 장양현의 新楊驛을 東安에 합쳐 新安으로 고쳤다), 화천의 역이 1이니, 화친(和親)이다.(본조 태종 2년 壬子에 비로소 두었다) 요해(要害)는 철령(鐵嶺)이 부의 북쪽 30리에 있고, 추지령(楸池嶺)이 화천 동쪽 14리에 있으며, 주령현(酒嶺峴)이 장양 북쪽 30리에 있다. 봉화가 6곳이니, 개탄(个呑)이 부의 남쪽에 있고(남쪽으로 金城 임내 歧城의 城山에, 동쪽으로 임내 화천의 여이파에 응한다)·여이파(餘伊破;동쪽으로 추지에 응한다)·추지(楸池;동쪽으로 通川 金蘭에 응한다)·소산(所山)이 부의 서쪽에 있고(북쪽으로 함길도 安邊 鐵嶺에 응한다), 남곡성북(嵐谷城北;동쪽으로 府地 所山에, 남쪽으로 쌍령에 응한다)·쌍령(雙嶺;남쪽으로 평강 松峴에 응한다)이다. 표훈사(表訓寺;敎宗에 붙이고, 전지 3백 結을 주었다), 정양사(正陽寺;교종에 붙이고, 전지 1백 50결을 주었다), 장안사(長安寺;禪宗에 붙이고, 전지 3백 結을 주었다. 위의 세 절은 모두 금강산에 있다)
 
관할[所領]이 4이니, 금성(金城)·김화(金化)·평강(平康)·이천(伊川)이다.
 
【원전】 5집 678면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홍천현
• 회양도호부
• 금성현
(2024.05.18. 14:13)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