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지식창고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김화현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김화현】본래 고구려의 부여군(夫如郡)인데, 신라에서 부평군(富平郡)으로 고쳤으며,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김화현(金化縣)으로 고쳐서 동주(東州) 임내로 하였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르다가, 태종(太宗) 13년 계사(癸巳)에 예에 의하여 현감(縣監)으로 칭하였다. 별호는 화산(花山)이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강원도
 
◎ 김화현(金化縣)
 
 
감(監) 1인.
 
본래 고구려의 부여군(夫如郡)인데, 신라에서 부평군(富平郡)으로 고쳤으며,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김화현(金化縣)으로 고쳐서 동주(東州) 임내로 하였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르다가, 태종(太宗) 13년 계사(癸巳)에 예에 의하여 현감(縣監)으로 칭하였다. 별호는 화산(花山)이다.
 
오신산(五申山;縣 북쪽에 있는데, 縣人이 진산으로 삼는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금성(金城)에 이르기 28리, 서쪽으로 철원(鐵原)에 이르기 21리, 남쪽으로 낭천(狼川)에 이르기 24리, 북쪽으로 평강(平康)에 이르기 20리이다. 호수(戶數)가 1백 81호요, 인구가 5백 17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67명이요, 선군이 단(單) 10명이다. 토성(土姓)이 1이니, 송(宋)이요, 망성(亡姓)이 15이니, 이(李)·백(白)·성(成)·정(鄭)·한(韓)·양(楊)·양(陽)·경(京)·박(朴)·진(陳)·시(柴)·양(梁)·오(吳)·안(安)·노(盧)이다.
 
땅이 많이 메마르고, 기후가 매우 차며, 풍속이 귀신을 숭상한다. 간전(墾田)이 3천 2백 88결이요(논이 겨우 1백 43결이다), 토의(土宜)는 오곡과 뽕나무·삼·대추·배·밤·닥나무·칠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시우쇠·잣·느타리·석이·오배자·사슴포·여우가죽·삵쾡이가죽·노루가죽·범가죽‧돼지털이요,약재는 오미자·복령·바디나물뿌리·백교향·대왕풀·승검초뿌리·쥐꼬리망초뿌리·인삼·섣달토끼대가리[蠟兎頭]이다. 토산(土産)은 석철(石鐵)이 현의 동쪽 20리 방동천(方洞川)에서 난다.
 
역(驛)이 2이니, 신화(新化)·생창(生昌)이요(今上 7년에 都昌과 生安을 합쳐서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봉화가 1곳이니, 소이산(所伊山)이 현의 동쪽에 있다.(동쪽으로 금성 阿峴에, 서쪽으로 평강 珍村에 응한다)
 
【원전】 5집 678면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금성현
• 김화현
• 평강현
(2024.05.18. 14:14)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