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강원도
◎ 평강현(平康縣)
감(監) 1인.
본래 고구려의 부양현(釜壤縣)인데, 신라가 광평(廣平)으로 고쳐서 부평군(富平郡)의 영현(領縣)으로 하고, 고려 현종 9년 무오에 평강으로 고쳐서 동주(東州) 임내로 하였다가, 뒤에 김화 감무(金化監務)로써 겸하게 하였다. 공양왕(恭讓王) 원년 기사(己巳)에 비로소 나누어 감무를 두었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르다가,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예에 의하여 현감으로 하였다.
분수령(分水嶺;현의 북쪽에 있는데, 淮陽의 嵐谷과 伊川에 연접해서, 모든 산짐승의 모이는 곳이 되므로, 지금 講武常所를 삼고 있다. 金鏡錄에는 “고려 山川에 분수령이 있다” 하였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김화에 이르기 18리, 서쪽으로 이천(伊川)에 이르기 46리, 남쪽으로 경기 철원(鐵原)에 이르기 15리, 북쪽으로 함길도 안변(安邊)에 이르기 87리이다. 호수(戶數)가 1백 63호요, 인구가 2백 12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67명이다. 토성(土姓)이 3이니, 채(蔡)·전(全)·박(朴)이요, 망성(亡姓)이 5이니, 허(許)·송(宋)·과(瓜)·정(鄭)·석(石)이며, 없어진 사정(史丁)과 신촌(新村)의 2소(所)의 망성(亡姓)이 5이니, 이(李)·송(宋)·최(崔)·박(朴)·전(全)이다.
땅이 메마르고, 기후가 차며, 풍속이 귀신을 숭상한다. 간전(墾田)이 3천 7백 78결이요(논이 58결 뿐이다), 토의(土宜)는 기장·피·조·콩·보리·뽕나무·삼·잣나무·배·밤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시우쇠·잣·오배자·느타리·석이·지초·주토(朱土)·여우가죽·칠이요, 약재는 인삼·오미자·복령·바디나물뿌리[前胡]·승검초뿌리[當歸]·쥐꼬리망초뿌리[秦芃]·함박꽃뿌리[芍藥]·대왕풀[白芨]·백교향(白膠香)·곰의 쓸개[熊膽]이다.
청룡산 석성(靑龍山石城)이 현의 북쪽 35리에 있다.(둘레 1천 2백 65步이며, 안에 우물과 샘이 있는데, 한 우물은 늘 마르지 아니하며, 우물 둘, 샘 하나는 크게 가물면 간혹 마른다) 역(驛)이 1이니, 임단(林丹)이요, 봉화가 3곳이니, 송고개(松古个)가 현의 동쪽에 있고(동쪽으로 회양 임내 嵐谷의 雙嶺에, 남쪽으로 재송에 응한다), 재송(栽松;서쪽으로 경기 鐵原의 所伊山에 응한다) 진은촌(珍隱村)이 현의 남쪽에 있다.(동쪽으로 金化 所伊山에 응한다)
【원전】 5집 678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