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강원도
◎ 인제현(麟蹄縣)
감(監) 1인.
본래 고구려의 저족현(猪足縣)인데(烏斯回라고도 한다), 신라에서 희제현(稀蹄縣)으로 고쳐 양록군(楊麓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에서 인제현(麟蹄縣)으로 고치어, 처음에는 춘주(春州)에 붙이었다가, 뒤에 회양(淮陽)에 붙였고, 공양왕(恭讓王) 원년 기사(己巳)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르다가, 태종(太宗) 13년 계사(癸巳)에 예(例)에 의하여 현감(縣監)으로 칭하였다. 속현(屬縣)이 1이니, 서화(瑞和;三國史에는 禾로 되었다)는 본래 고구려의 옥기현(玉歧縣)인데, 신라에서 치도(馳道)로 고쳐서 양록군(楊麓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서화(瑞禾)로 고쳐, 처음에는 춘주(春州) 임내로 하였다가, 뒤에 회양(淮陽)에 붙였다. 별호(別號)는 서성(瑞城)이라 한다. 소(所)가 1이니, 이포(伊布)이다.(예전에는 春川에 붙였었는데, 今上 6년 갑진에 함께 來屬시켰다)
복룡산(伏龍山;현의 북쪽에 있는데, 현의 사람들이 진산으로 삼는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양양(襄陽)에 이르기 41리, 서쪽으로 양구(楊口)에 이르기 27리, 남쪽으로 홍천(洪川)에 이르기 32리, 북쪽으로 간성(杆城)에 이르기 69리이다. 호수(戶數)가 1백 25호요, 인구가 2백 단(單) 7명이며, 서화의 호수가 72요, 인구가 1백 91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69명이요, 선군이 4명이다. 토성(土姓)이 2이니, 박(朴)·허(許)요, 망성(亡姓)이 2이니, 조(曹)·손(孫)이며, 서화(瑞和)의 성이 1이니, 최(崔)요, 망성(亡姓)이 4이니, 현(玄)·이(李)·곡(谷)·소(邵)이다.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차다. 간전(墾田)이 1천 2백 33결(結)이요(논이 겨우 14결이다), 토의(土宜)는 조·피·팥·보리·뽕나무·삼·배·밤이다.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자석(磁石)·잣·오배자(五倍子)·석이·느타리·지초·칠·사슴포·여우가죽·삵쾡이가죽·노루가죽·곰가죽·퇘지털·곰털·시우쇠요, 약재(藥材)는 복령·오미자·승검초뿌리·인삼·바디나물뿌리[前胡]·함박꽃뿌리[芍藥]·나팔꽃씨[牽牛子]·쥐꼬리망초뿌리[秦芃]·북나무진[安息香]·백교향(白膠香)·산무애뱀[白花蛇]·산양이뿔[羚羊角]·웅담(熊膽)이다.
한계산 석성(寒溪山石城)이 2이니, 현의 북쪽 15리에 있다.(上城은 둘레가 7백 29步이며, 한 샘이 있는데 가물면 마르고, 下城은 둘레가 1천 8백 72보이며, 세 골짜기 물이 합쳐 흘러서 한 작은 내가 되었는데 잘 마르지 아니한다) 역(驛)이 4이니, 부림(富林)·마노(馬奴)·임천(臨川)·남교(嵐校)이다.(위의 두역은 모두 서화에 있다)
【원전】 5집 680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