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강원도
◎ 흡곡현(歙谷縣)
영(令) 1인.
본래 고구려의 습비곡현(習比谷縣;한 문부에는 谷이 呑으로 되었다)인데, 신라에서 습계현(習磎縣)으로 고쳐서 금양군(金壤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그대로 통천군(通川郡)의 임내로 하였다가, 고종(高宗) 35년 무신(戊申)에 비로소 현령(縣令)을 두었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별호는 학림(鶴林)이라 한다.
박산(朴山;현의 북쪽에 있는데, 현의 사람들이 진산으로 삼는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바다 어귀에 이르기 2리, 서·북쪽은 함길도 안변(安邊) 임내 파천현(派川縣)에 이르는데, 서쪽이 20리, 북쪽이 7리이며, 남쪽으로는 통천에 이르기 13리이다. 호수(戶數)가 2백 19호요, 인구가 6백 75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22명이요, 선군이 56명이다.
속성(續姓)이 3이니, 신(申)·김(金)·나(羅)요, 망래성(亡來姓)이 3이니, 손(孫;碧山에서 왔다)·유(劉;金城에서 왔다)·송(宋;交州에서 왔다)이다.
땅이 메마르고, 기후가 따뜻하며, 풍속이 해산물로 생업을 삼고, 무예를 숭상한다. 간전(墾田)이 6백 23결(結)이요(논이 3분의 1에 넘는다), 토의(土宜)는 오곡과 뽕나무·삼·감·배·밤·왕골·닥나무·칠이다.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시우쇠·상멱·오배자(五倍子)·느타리·조피나무열매[川椒]·전복껍데기·삵쾡이가죽·노루가죽·곰의 가죽·수달피·문어·대구·상어·숭어·전복·홍합이요, 약재는 인삼·오미자·바디나물뿌리[前胡]·승검초뿌리[當歸]·대왕풀[白芨]·백교향(白膠香)이다. 염분(鹽盆)이 3이요,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현의 서쪽 10리 대곡리(大谷里)에 있다.(하품이다)
석성산 석성(石城山石城)이 현의 남쪽에 있다.(둘레가 4백 步이며, 우물이 하나 있는데, 가물면 마른다) 천도(穿島;현의 동쪽 13리에 있다) 역(驛)이 1이니, 정덕(貞德)이요, 봉화가 1곳이니, 치공곶(致空串)이 현(縣) 동쪽에 있다.(남쪽으로 통천 金蘭에, 북쪽으로 함길도 安邊 임내인 派川縣의 劒峯에 응한다)
【원전】 5집 681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