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원주시 강원도 원주시 정보
강원도 원주시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원주시의 역사문화자원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about 강원도 원주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원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영원산성과 원충갑 장군, 치악산과 원천석, 치악산에서 만고삼강 이룬 김제갑, 인열왕후와 인동, 국태민안 기원하는 치악산사(雉岳山祠) / ◈ 내고장의 역사적 인물 - 원충갑(元沖甲, 1250∼1321), 원천석(元天錫, 1330∼ ?), 원호(元昊, 1397∼1463), 정종영(鄭宗榮, 1513∼1589), 김제갑(金悌甲, 1525∼1592), 원호(元豪, 1533∼1592), 김창일(金昌一, 1548∼1631), 한백겸(韓百謙, 1552∼1615), 허후(許厚, 1588∼1661)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영원산성과 원충갑 장군
고려 충렬왕 때 원나라의 반란군인 합단적이 침입하여 조정은 강화로 몽진하여 고려 국운이 풍전등화와 같을 때 원주의 선비인 일개 향공진사 원충갑이 치악산 영원산성에서 민·관·군을 규합하여 십전십승함으로써 국운을 회생시킨 대첩 승전고를 올렸으니 충렬왕 17년(1291) 음력 1월 21일이다. 이로써 전국적으로 사기가 진작되어 완전 퇴각시켰기에 원주는 3년간 부역과 세곡dl 면제되었고 또 익흥도호부로 승격되었다. 이에 원주문화원에서는 매년 음력 1월 21일 민·관·군 합동으로 영원산성 대첩제를 거행하고 있다.
 
◈ 치악산과 원천석
이곳 원주출신인 운곡 원천석은 고려말기의 선비이다. 나라가 운을 다하고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자 치악산으로 들어가 고려만을 지키다 생을 마친 은사(隱士)이다. 이방원을 일찍이 강림사에서 가르친 은사인 관계로 왕위에 오른 태종이 직접 치악산으로 찾아와 조선을 위해 협력을 구하려 했으나 일체 만나지 않았으니 그 충절이 만세에 오히려 빛을 더해간다. 태종이 머물렀다는 태종대가 유적으로 남아 있다.
 
◈ 치악산에서 만고삼강 이룬 김제갑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이곳 목사 김제갑이 치악산 영원산성에서 왜적과 맞서 싸우다 중과부적으로 순절하자 그 부인 이씨가 자결하고 아들 시백 역시 자결하여 충(忠), 효(孝), 열(烈)이 한날 한시에 일어났으니 만고삼강(萬古三綱)이다. 선조는 일우고성(一遇古城)에 만고삼강(萬古三綱)이란 휘호를 내렸으며 현종때 충렬사에 향배됐다.
 
◈ 인열왕후와 인동
원주시 인동은 원주목사를 지낸 한준겸의 딸인 인열왕후가 태어난 곳이라 하여 명명된 지명이다. 영조가 인열왕후 탄생지비라는 친필어호를 내려 세워진 비각이 6·25 때 폭격으로 비각은 없어지고 비는 도로포장으로 매몰되었다. 이를 애석하게 생각한 청주한씨 문중에서 원주고등학교 앞 도로공원에 비각 없이 비만 세워 아쉬움만 더해간다.
 
◈ 국태민안 기원하는 치악산사(雉岳山祠)
조선조 초기 치악산에 치악산사를 짓고 치악지신이라는 위패를 모시고 춘추로 조정에서 향과 축문을 보내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산신제인 소사(小祠)를 지냈는바 제물 등을 진설하는 국형사(國亨寺)가 있다. 매년 치악문화제는 이 단에서 치악제(雉岳祭)를 시작으로 개최된다.
 
 
 

1.2. 내고장의 역사적 인물

 
◈ 원충갑(元沖甲, 1250∼1321)
고려의 무신이다. 본관은 원주이고 충렬왕 17년에 합단적(哈丹賊)이 침입해 국운이 위태로울 때 선비의 몸으로 결사대를 조직 별장(別將) 강백송(康栢松), 원주아전 원현(元玄)등과 같이 합단적을 물리쳤다. 이러한 공으로 원주는 익흥도호부(益興都護府)로, 다시 충렬왕 34년(1308) 원주목(原州牧)으로 승격되었고 원주에 부과되던 각종 부역과 잡공이 3년 동안 면제되기도 하였다. 합단적을 물리친 공으로 충숙왕 6년(1319)에 추성분용정란광국공신(推誠奮勇定亂匡國功臣)이 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고, 원주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 원천석(元天錫, 1330∼ ?)
고려말 조선초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 자(字)는 자정(子正), 호(號)는 운곡(耘谷)이다.
 
고려가 망하고 이성계(李成桂)가 조선국(朝鮮國)을 세우니 원주(原州) 치악산에 은거, 농사와 부모를 보양하면서 ‘흥망(興亡)이 유수하니 만월대(月臺)도 추초(秋草)로다. 오백년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쳤으니 서양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 겨워하노라’ 하는 회고가(懷古歌)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일찍이 태종(太宗)을 가르친 바 있어 태종이 벼슬을 권유하였으나 응하지 않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개를 지킨 인물이다. 원주 칠봉서원(七峰書院)에 제향되고 있다.
 
◈ 원호(元昊, 1397∼1463)
단종 때 생육신(生六臣)의 한사람으로 본관은 원주(原州). 자(字)는 자허(子虛), 호(號)는 관란(觀瀾), 무항(霧巷),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세종 5년(1423) 문과에 급제하고 집현전(集賢殿) 직제학(直提學)에 이르렀다. 단종 1년(1453)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의 대신을 죽이고 정권을 잡자 낙향하여 은거 중 단종이 영월에 유배되어 사사되자 영월사내평에 관란제(觀瀾薺)를 짓고 3년동안 아침저녁으로 단종이 있는 쪽을 바라보면서 눈물을 흘리며 사모하였다 한다. 칠봉서원(七峰書院)에 제향되고 있다.
 
◈ 정종영(鄭宗榮, 1513∼1589)
명종 때 문신으로 본관은 초계(草溪). 자(字)는 인길(仁吉), 호는 항제(恒濟), 시호는 정헌(靖憲)이며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졌다. 중종 38년(1543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명종 2년 호조정랑을 거쳐 부수찬, 교리, 각 도의 관찰사, 육조의 판서를 두루 거친 명신이다. 말년에 원주에 돌아와 소일하다 76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원주 칠봉서원(七峰書院)에 배향되었다.
 
◈ 김제갑(金悌甲, 1525∼1592)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순초(順初), 호는 의재(毅齋)이다. 명종 8년(155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正字), 병조좌랑을 거쳐 선조 14년(1581) 충청도관찰사를 역임,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원주목사(原州牧使)로 재직중 왜장 삼길성(森吉成)이 거느린 왜군이 관동 지방을 휩쓴 뒤에 원주를 침공하여 오자 가족과 주민을 이끌고 영원산성(原山城)으로 들어가 왜병과 싸우다가 장렬히 순직했고 부인 이씨, 아들 시백(時伯)도 함께 순절하니 일시에 충(忠), 효(孝), 절(節)을 이루었다 할 만하다. 공의 충절비가 원주역전광장에 세워져 있고 원주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 원호(元豪, 1533∼1592)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원주. 자는 중영(仲英)이고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명종 22년(1567)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宣傳官), 단천부사(端川府使)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 패주하는 적병을 크게 무찔렀으나 적의 복병을 맞아 분전하다가 전사했다. 병조판서, 좌의정에 추증되고 원주의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 김창일(金昌一, 1548∼1631)
조선 중기의 문신 의병장으로 본관은 경주. 자는 형길(亨吉), 호는 사한(四寒)이다. 의금부도사를 거쳐 홍천현감, 고산현감, 고창현감, 금구현감, 안악군수, 합천군수 등의 외직을 두루 거친 청백리이다. 정묘호란 때 80세의 늙은 몸으로 원주의 의병장으로 추대되어 많은 적병을 섬멸하였으며 고결한 인품과 절조를 지닌 인물로 원주 취병서원에 재향되었다.
 
◈ 한백겸(韓百謙, 1552∼1615)
조선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庵)이다. 인열왕후의 백부이기도 한 구암은 실학의 선구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1586년 천거에 의해 중부참봉이 되어 목사를 두루 거쳤고 관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실학자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항상 수기치인(修己治人)하는 학문을 강조한 그는 향년 63세에 별세했다. 원주 칠봉서원에 제향되었다.
 
◈ 허후(許厚, 1588∼1661)
본관은 양천. 자는 중경(重卿), 호는 관설헌(觀雪軒), 돈계(豚溪), 소암(素庵)이다. 조선조 때 문신으로 정묘호란 때 의병장 김창일을 도와 자신은 종사관으로 활동했다. 그후 지편현감, 의성현감, 형조좌랑, 호조좌랑 등을 지내고 64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원주 도천서원(陶川書院)에 제향되었다.
 
◈ 인열왕후(1594∼1635)
조선인조의 비(妃)이다. 청주 한씨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딸이다. 원주 인동에서 태어났으며 광해군 2년(1610) 능양군(綾陽君, 인조)과 결혼, 인조 1년(1623) 인조반정으로 왕비가 되었다. 슬하에 효종을 비롯한 4형제를 두었으며 인조 13년(1635)에 41세로 사망하였다. 원주에 인열왕후 탄생지비가 세워져있다.
 
◈ 황무진(黃戊辰 1568∼1652)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조선 중기의 효자이다. 1568년 2월 23일 무진년에 낳았다 하여 무진이라 하였다. 성품이 어질고 기골이 장대하며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겼으며 임진왜란 때 군문에 들어가 왜적의 장수를 사로잡은 공이 있어 원주목사 한준겸에 의해 병방으로 발탁되어 원주목에서 근무하였다.
 
부모에 대한 효행이 지극해 신도 감동하고 호랑이도 감동하여 50리 출근길을 호랑이가 등에 태워 출퇴근시켰다고 한다. 인조 12년에 조정에서 효자 정문과 절충장군용양위부사과(折衝將軍龍衛副司果)를 하사하였다. 원주시 문막읍 반계 3리에 충효사(忠孝祠)가 있다.
 
◈ 정시한(丁時翰, 1625∼1707)
조선시대의 성리학자이며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군익(君翊), 호는 우담(愚潭)이다. 효종 1년(1650) 생원시에 합격하고도 일체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만 힘썼다. 1691년에 시폐육조소[正君心,嚴家政, 養國本, 正朝廷, 愼用舍, 開言路]를 올렸다. 그리고 수양하는 공부가 모자라고 희로가 정도에 지나치다는 등의 숙종에 대한 다소 과격한 평 때문에 정시한은 숙종의 노여움을 사 삭탈관직되기도 하였다. 특히 이이(李珥)의 성리학을 비판하고 퇴계학의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 광암사(廣巖祠)에 배향되었다.
 
◈ 조엄(趙, 1719∼1777)
조선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풍양(豊壤)이고 자는 명서(明瑞)이며 호는 영호(永湖)이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며 영조 14년(1738)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752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지평, 수찬, 교리, 동래부사, 충청도 암행어사, 경상도관찰사 대사헌(大司憲) 부제학, 승지, 이조참의 등에 이르렀다. 1763년 통신정사로 일본에 다녀오면서 고구마종자를 가져와 보급하기도 하였다, 공조, 이조판서도 한 인물이다.
 
◈ 홍범희(洪範憙, 1917∼1972)
정치인, 행정가.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호는 일곡(逸谷)이다. 일본 중앙대학교 법과 재학 중 일본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기도 했다. 졸업 후 귀국하여 학교법인 육민관 사립 중·고등학교을 설립하였으며 제헌의원, 4대 민의원, 내무부 차관 등을 역임한 인물이며 197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하였다.
 
◈ 김병렬(金秉烈, 1921∼1989)
교육가, 정치인.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홍익대학 문학부를 졸업, 중·고등학교장을 역임했다. 강원도 학무국장, 강원도 교육감, 민주공화당 강원도 제2지구당 사무국장, 제1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의정 활동을 한 인물이다.
 
◈ 김종열(金鐘烈, 1918∼1997)
교육가, 체육인. 본관은 청도(淸道)이다. 배재고 졸업. 일본 아오야마학원 영문학부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서울사대 부속중학교의 교감을 역임. 1950년 계엄사령관 보좌관, 국방부차관 보좌관, 법무부장관 비서관을 지냈다. 대한체육회이사에 이어 전무이사를 거쳐 대한체육회부회장에 이어 대한체육회 회장 겸 IOC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88올림픽도 치러낸 인물이다. 체육훈장 청룡장,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 강억태(姜億泰, 1943∼1998)
육군소장. 본관은 진주(晋州). 육군대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 이수. 1988 육군 준장 진급. 제1공병여단장, 1991년 1군사령부 공병참모, 1993년 육군본부 교외 이전사업단장을 역임했다. 1993년 육군소장으로 승진, 국방부 시설국장을 역임, 군사 보호시설을 정리하여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는데 많은 사업을 하고 1995년 전역하였다.
 
◈ 박응규(朴應奎, 1922∼1980)
육군준장. 본관은 밀양(密陽). 육군사관학교졸업. 1957년 제2사단 참모장을 거쳐 1959년 준장으로 진급하여 1963년도 제28사단장, 1968년 국방부 국립묘지 관리소장을 거친 후 예편했다. 충무무공훈장, 일등화랑 무공훈장, 은성을지 무공훈장을 받았다
 
◈ 함재훈(咸在勳, 1917∼1984)
정치인, 언론인. 본관은 강릉(江陵).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원주읍장, 제3대 민의원, 강원일보 사장, 춘천문화방송 사장을 겸임했다. 1973년에 유정회 직능대표로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79년 농지개량조합연합회장도 역임하였다.
 
◈ 안명수(安明洙, 1921∼1988)
치안행정가.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춘천고등학교를 졸업, 동경고등실무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했다. 8·15 광복 후 춘천경찰서 보안과장, 1948년 정부수립 후 1948년 국군에 입대하여 육군헌병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 1961년 대령으로 제3 범죄수사대 대장, 5·16 후인 1963년 경무관으로 발탁되어 경상북도 경찰국장, 치안국 정보과장, 1967년 치안감으로 승진, 서울시 경찰국장, 경찰전문학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직에서 물러나서는 진해화학 감사를 지냈다.
 
◈ 장일순(張壹淳, 1928∼1994)
서예가, 사회운동가. 본관은 인동(仁同), 호는 무위당(无爲堂), 일속자(一粟子), 청강(靑江). 서울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후 사회운동가로, 예술가로 활약했다. 5·16 직후 평소 주장하던 중립화 평화통일론이 빌미가 되어 3년간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서예가로 이름이 높다.
 
◈ 지학순(地學淳, 1921∼1993)
종교인. 평남 출생이며 본관은 충주(忠州). 함경남도 덕원신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월남하여 서울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졸업. 1952년 사제 서품을 받고, 1953년 거제도 포로수용소 군종신부로 사목활동을 시작한 후 청주 본당 보좌신부. 1956년 로마 우르바노 대학에 유학하여 교회법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65년 원주교구 초대 교구장이 되면서 원주와 깊은 인연을 맺게 되었다. 1967년 진광학원을 설립하여 육영사업에 힘썼으며 1969년에는 가톨릭노동청년회를 조직,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기도 하였다. 1974년 긴급조치법을 위반했다 해서 옥고를 치렀다. 그의 구속은 잠자고 있던 민주화의식과 인권 의식에 불을 지르는 결과를 가져왔다. 저서로는 『내가 겪은 공산주의』, 『정의가 강물처럼』 등이 있다.
 
※ 현석(玄石) 최규하(崔圭夏) 제10대 대통령도 원주 출신이다.
 
 
 

1.3. 내고장의 문화유산

 
■ 국보
 
◈ 법천사 지광국사 현모탑비 - 제59호, 부론면 법천리 74-2
 
◈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 - 제101호, 중앙박물관경내
 
◈ 전 흥법사 염거화상탑 - 제104호, 중앙박물관경내
 
 
■ 보물
 
◈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 제78호, 부론면 정산리 거돈사지
 
◈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 - 제190호, 중앙박물관경내
 
◈ 영전사지 모제존자 사리탑 - 제358호, 중앙박물관소장
 
◈ 흥법사 진공대사 묘탑부 석관 - 제365호, 중앙박물관 경내
 
◈ 흥법사 진공대사탑비 귀부 및 이수 - 제463호,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지
 
◈ 흥법사지 3층석탑 - 제464호, 지정면 안창리
 
◈ 거돈사지 3층석탑 - 제750호, 부론면 정산리
 
 
■ 천연기념물
 
◈ 신림면 성황림 - 제93호, 신림면 성남리
 
◈ 반계리 은행나무 - 제167호, 문막읍 반계리
 
◈ 흥업면 느티나무 - 제279호, 흥업면 대안리
 
 
■ 사적
 
◈ 거돈사지 - 제168호, 부론면 정산리
 
 
■ 중요무형문화재
 
◈ 나전칠기장, 이형만 - 제10호
강원도 원주시 정보
• 원주시의 생활문화자원
• 원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원주시의 어제와 오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