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지식창고 다도면 향토사 (2018)
다도면 향토사 (2018)
(보기 : 일자별구성)
(A) 다도면 향토사
제13장 다도면 고대지도
about 다도면 향토사 (2018)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향토】
(2018.07.11. 02:38) 
◈ 제13장 다도면 고대지도
『전라남도남평지도읍지』는 19세기 말 남평(南平) 모습을 기록한 읍지이다. 1책 필사본으로 1899년 이근홍(李根洪)이 간행하였다. 구성은 서(序)·발(跋)은 없고, 본문으로 되어 있다. 표제 전라남도남평지도읍지, 내제 남평군읍지(南平郡邑誌)로 되어 있는데, 1896년의 지방제도 개편이 반영된 표현이다.
목   차
[숨기기]
 

1. 1. 호남지방지 남평군읍지(南平郡邑誌)

 
 
『전라남도남평지도읍지』는 19세기 말 남평(南平) 모습을 기록한 읍지이다. 1책 필사본으로 1899년 이근홍(李根洪)이 간행하였다. 구성은 서(序)·발(跋)은 없고, 본문으로 되어 있다. 표제 전라남도남평지도읍지, 내제 남평군읍지(南平郡邑誌)로 되어 있는데, 1896년의 지방제도 개편이 반영된 표현이다.
 
본문은 남평군지도(南平郡地圖)와 인문·지리 환경을 알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평군지도는 소속 면리(面里)의 이름과 위치가 표기되었다. 1871년에 간행된 『남평현읍지(南平縣邑誌)』에 기록된 지도와 비교하면, 이(里)에 대한 정보까지 기록하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남평군지도 다음에는 성씨(姓氏), 공해(公廨), 단사(壇祠), 역참(驛站), 사환(仕宦) 항목으로 남평을 설명하였다. 성씨 항목에 따르면 남평에 거주하는 성씨로 문씨(文氏)·반씨(潘氏)가 있었다. 공해로는 객사인 영평관(永平館), 동헌(東軒)인 선칠당(宣七堂)이, 광리역(廣利驛)과 오림역(烏林驛)의 역참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원호(元戶)는 3,712호, 인구는 13,374구(口), 남자 7,384구, 여자 5,990구이다. 사환(仕宦) 항목에는 남평에 부임했던 역대 지방관의 이름과 이․퇴임 시기를 기록하였다. 인물 항목에는 효자, 효녀, 열녀 항목을 설정하여 남평지역 인물을 기록하였다. 본서 이외에 남평 지역과 관련된 읍지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중종25),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 영조33~41), 『남평읍지(南平邑誌)』(1789, 정조 13), 『대동지지(大東地志)』 6책(1863, 철종 14), 『호남읍지(湖南邑誌)』 2책(1871, 고종 8), 『호남읍지』 9책(1895, 고종 32) 등이 있다.
 
남평은 나주 옛 지명 중 하나이다. 백제 때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이었고, 신라 때는 현웅(玄雄)으로 바뀌었다. 고려시대에 남평군(南平郡)으로 개칭되어 나주에 속하였으며, 조선 초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남평현(南平縣)이 되었다. 1896년(고종 32) 나주부 남평군(羅州府 南平郡)이 되었고, 이때 전라도가 남·북도로 분리되면서 전라남도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나주군에 병합되어 남평면(南平面)이 되었다.
 
 
 

2. 2. 남평현읍지(南平縣邑誌)

 
 
전라도 56개 읍지를 합편한 『호남읍지(湖南邑誌)』(1895) 9책에 수록된 남평지역 읍지이다. 1책 필사본으로 전라감영에서 1895년에 간행하였다. 남평현(南平縣)의 지리와 인문환경을 기록하였다. 구성은 서(序)·발(跋)은 없고, 본문으로 되어 있다. 1871년에 간행된 『남평현읍지』와 항목 구성이 비슷하며, 호구(戶口) 항목이 빠져 있으며, 읍사례를 이전보다 자세히 기록하였다.
 
본문은 건치 연혁, 관직, 방곡(坊曲), 제언, 학교, 읍사례를 통해 남평현의 인문환경과 재정을 파악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관직과 방곡 항목에는 현
 
감 1인이 현내(縣內), 동촌(東村), 도천(道川) 등 12개 면을 관할했다고 기록하였다. 제언에는 교촌제(校村堤), 오골제(烏骨堤), 진제(辰堤), 무씨정제(武氏井堤) 24곳 등 제언 위치와 규모를 기록하였다. 학교로는 남평항교가 있었다. 읍사례에는 남평현의 예산운영과 관련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육방(六房)을 비롯한 남평현 하부조직의 수입․지출내역과 사무분장규정이 정리되었다. 분장내역과 재정운영 내역이 차하[上下], 봉상(捧上), 봉용(捧用) 항목별로 세분되어 기록하였다.
 
본서 이외에 남평지역과 관련된 읍지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중종25),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 영조33~41), 『남평읍지(南平邑誌)』(1789, 정조 13), 『대동지지(大東地志)』 6책(1863, 철종 14), 『호남읍지』 2책(1871, 고종 8), 『남평군읍지(南平郡邑誌)』(1899, 광무 3) 등이 있다.
 
남평은 나주 옛 지명 중 하나이다. 백제 때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이었고, 신라 때는 현웅(玄雄)으로 바뀌었다. 고려시대에 남평군(南平郡)으로 개칭되어 나주에 속하였으며, 조선 초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남평현(南平縣)이 되었다. 1896년(고종 32) 나주부 남평군(羅州府 南平郡)이 되었고,
 
이때 전라도가 남·북도로 분리되면서 전라남도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나주군에 병합되어 남평면(南平面)이 되었다.
 
 
 

3. 3. 남평읍지(南平邑誌)

 
 
『남평읍지』는 조선후기 남평의 지리․사회경제적 내용을 기록한 읍지이다. 1책 필사본으로 1789년 남평현에서 간행되었다. 구성은 서(序)·발(跋)은 없고, 본문으로만 되어 있다. 표제가 남평군읍지(南平郡邑誌)로 되어 있는데, 1896년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남평군(南平郡)으로 되기 이전까지 남평현(南平縣)이었으므로, 표제는 1896년 이후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본문은 남평현 소속 면(面) 이름, 학교, 서원, 제언(堤堰), 장시(場市), 호구(戶口) 관련 내용을 기록하였고, 인물 관련 내용은 기록되지 않았다. 남평현 소속 면으로는 현내면(縣內面), 동촌면(東村面), 저포면(猪浦面), 다소면(茶所面)이 있었다. 학교로는 향교와 흥학당(興學堂)이, 서원으로는 백인걸(白仁傑, 1497~1579)을 배향한 봉산서원(蓬山書院)이 있었다. 제언 항목에는 교촌제(校村堤), 오골제(烏骨堤) 등 20여 곳의 제언 위치와 규모가 정리되어 있으며, 장시 항목에는 읍장(邑場)과 대초장(大初場)의 위치를 기록하였다. 호구 기록에 따르면, 원호(元戶) 5,330호, 인구 20,202구(口)이며, 남자 9,450구, 여자 10,752구이다.
 
 
백제 때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이었고, 신라 때는 현웅(玄雄)으로 바뀌었다. 고려시대에 남평군(南平郡)으로 개칭되어 나주에 속하였으며, 조선 초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남평현(南平縣)이 되었다. 1896년(고종 32) 나주부 남평군(羅州府 南平郡)이 되었고, 이때 전라도가 남․북도로 분리되면서 전라남도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나주군에 병합되어 남평면(南平面)이 되었다.
 
 
 
 
 
 
 
본서 이외에 남평지역과 관련된 읍지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중종25),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 영조33~41), 『대동지지(大東地志)』 6책(1863, 철종 14), 『호남읍지(湖南邑誌)』 2책(1871, 고종 8), 『호남읍지』 9책(1895, 고종 32), 『남평군읍지(南平郡邑誌)』(1899, 광무 3) 등이 있다.
 
남평은 나주 옛 지명 중 하나이다.
 
 

4. 4. 다도면 [茶道面, Dado-myeon]

 
 
전라남도 나주시의 남동단에 위치한 면이다. 면적이 가장 넓으며, 나주호가 있다. 동쪽은 화순군 도암면, 서쪽은 봉황면, 남쪽은 영암군 금정면, 북쪽은 산포면과 접해 있다. 남쪽에 덕룡산과 국사봉이 솟아 나주 관내에서 산지가 가장 많은 편이다. 조선 시대 남평현 도을개(道乙介) · 다소(茶所)면에 속했다.
 
1914년 개편 때 나주군 다도면(多道面)이 되었으며 1995년 나주시 다도면이 되었다. 면 소재지인 신동리를 비롯하여 11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다도는 도을개와 다소가 통합되어 형성된 지명으로 보인다.
 
『해동지도』(남평)에 도을개면이 인근의 봉산(鳳山)과 금산(金山)의 동쪽 산록에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다소면은 지도의 아래쪽에 표기되어 있고, 인근에 일봉암(日封庵)과 불회사(佛會寺)가 묘사되어 있다
 
 

5. 5. 해동지도(海東地圖)

 
 
1750년대 초에 만든 회화식 군현지도집.
 
지정번호 보물 제1591호
지정연도 2008년 12월 22일
소장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재지 서울시 관악구 신림9동 산56-1
시대 조선시대
크기 8책/47×30.5㎝
 
 
 

6. 6. 선역도 (鮮域圖 조선팔도지도)

선역도 (鮮域圖)는 176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불명의 채색필사 지도집이다. 미,의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독도문제와 관련하여 자주 인용되고 있다.
 
 
 
 

7. 7. 동역도(東域圖) - 1770년경 전라도

 
동역도(東域圖)
 
정상기의 《동국지도》수정본 계통의 하나로서 전라도가 그려져 있으며, 뒷면에 湖南이란 지도 이름이 적혀 있다. 일반군현은 노란색 큰 원으로, 수영과 병영이 설치된 곳은 노란색 큰 사각형으로, 군사기지인 진보와 종6품의 察訪이 파견되어많은 속역을 관장하던 찰방역및 종6품의 監牧官이 파견된 牧所는 노란색 작은 원으로 구별되어 있다. 감영이 일반군현과 다른 기호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으나 본 지도에는 전라도의 감영인 전주가 일반군현보다 조금 크게 표현되었을 뿐이다. 진보와 군현의 경우 읍성이 있는 곳은 성곽 표시를 하여 구분해 주었다. 군현을 비롯하여 중요 지점에 十을 비롯하여 세로로 그어진 선의 수가 다른 문자가 자주 적혀 있다. 十은 십리, 卄은 이십리와 같이 세로의 선이 늘어날 수록 십리 단위의 증가를 의미하며, 도로로 연결된 앞뒤 지점 사이의 거리다.
 
서남쪽 바다에는 大黑山·紅衣(현재의 홍도)·可佳(현재의 소흑산도) 등의 섬이 자세하게 그려져 있다. 그러나 可佳(島)를 제외하면 실제보다 훨씬 남쪽에 그려져 있다. 수정본 계통 중 이들 섬의 위치가 가장 사실에 가까운 것은 1770년에 신경준 주도로 제작된 지도 계통이다. (이기봉)
 
 
 

8. 8. 동국팔역도(東國八域圖) - 1776년 전라도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제작시기 : 1776년 以後
제작시기근거 : 衿川 尼山1776 山淸 安義 理山
형태 : 8 枚.
크기 : (책) 16.0 cm × 25.5 cm, (도폭) 60.0 cm × 74.0 cm 不同
유형 : 東國地圖類. 道別圖
판종 : 筆寫本
대상지역 : (國道) 京畿道 忠淸道 江原道 慶尙道 全羅道 黃海道 平安道 咸鏡道
제작상특징 : 繪畵式
 
동국팔역도(東國八域圖)-1776년 전라도
 
 

9. 9. 나주시 고지도

 
1872년 나주시 고지도
 
 

10. 10. 해동지도(고대 4709-4)

 
 

11. 11. 광여도

광여도 나주목
 
 

12. 12. 나주군 읍지(서울대 규장각 소장)

1899년, 크기 28cm×37.4cm
 
 

13. 13. 1872년 지방지도(규10483) _ 나주지도

 
 

14. 14. 호남읍지(규12175) _ 나주목

 
전라감영(全羅監營)
간행지역 전라도 / 전라북도 전라남도
간행시기 연도 1871 월일 10월
형태사항 크기 세로 : 30.4 가로 : 19.9
판본 필사본
장정 오침선장(五針線裝)
수량 10책
판식 黑絲欄, 四周單邊, 半葉 10行 字數不定
재질 표지: 저지(楮紙), 본문: 저지(楮紙)
표기문자 한자
도설 지도(채색) 57장 104면
인장정보 朝鮮總督府圖書之印 / 서울大學校圖書
 
 

15. 15. 나주군읍지 (1899년)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정조∼순조 연간에 편찬된 듯한 필사본 『나주목읍지(羅州牧邑誌)』 1책과 1897년에 간행된 목활자본 『금성읍지(錦城邑誌)』 2책과 연대 미상의 『나주군읍지』 등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산천·풍속·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균세(均稅)·군액(軍額)·성지(城池)·창고·곡부(穀簿)·책판(冊板)·관방(關防)·진보(鎭堡)·봉수(烽燧)·향교(鄕校)·사직단(社稷壇)·총묘(塚墓)·불우(佛宇)·관실(官室)·누정(樓亭)·도로·교량·도서(島嶼)·제언(堤堰)·장시(場市)·역원(驛院)·목장(牧場)·형승(形勝)·고적(古蹟)·토산(土産)·진공(進貢)·봉름(俸廩)·과거(科擧)·성씨(姓氏)·인물·선생안(先生案)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큰 고을임에도 불구하고 공해(公廨)·물산(物産)·조적(糶糴)·대동(大同)·상납(上納)·요역(徭役)·노비·서원·과환(科宦)·제영(題詠) 등이 누락된 점이다.
 
 
 

16. 16. 호남읍지

 
 

17. 17. 해동지도(고대4709-41)능주목

 
 

18. 18. 능주군읍지(규 10802)

 
 

19. 19. 대동여지도

【향토】 다도면 향토사 (2018)
• 제12장 당산제와 나무
• 제13장 다도면 고대지도
• 제14장 다도면 노거수/보호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향토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