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문화재·역사·전
문화재·역사·전
2022년
  2022년 10월
2022년 10월 14일
2022년 10월 10일
삼국지의 관우 사당(東關王廟)에 다녀온 후기
about 문화재·역사·전
내서재
추천 : 0
관우(關羽) 서울 동묘(----東廟) 종로구(鍾路區) # 동관왕묘
【여행】
(2022.10.23. 23:42) 
◈ 삼국지의 관우 사당(東關王廟)에 다녀온 후기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고 많이 숭배하는 神,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고 많이 숭배하는 神,
關王이 있는 동관왕묘"
서울 종로구 숭인동에 약 420년 된 동관왕묘(東關王廟를 줄여 동묘라고 하며 동쪽에 있는 관우 사당이란 뜻)는 중국 삼국지에 나오는 촉나라 장수인 관우(關羽 162~219)가 죽은 후에 신격화되어 관왕(關王)으로 받들어지면서 조선에 세운 관왕묘(關王廟, 묘는 사당보다 격이 높음) 중에서 가장 크고 화려합니다.
14세기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가 나오면서 관우는 무신(武神)으로 조선에서 큰 인기를 누렸습니다.
조선에는 원래 관왕묘가 없었으나 관왕묘를 짓게 된 것는 정유재란 때 명군(明軍)이 왜군(倭軍)을 물리친 것은 관우 장군께서 도와주셨기 때문이라고 여기고 1597년 고금도 관왕묘는 명나라 장수 진린(陳璘), 성주 관왕묘는 명나라 장수 모국기(茅國器),1598년 안동 관왕묘는 명나라 장수 설호신(薛虎臣), 1599년 남원 관왕묘는 명나라 장수 남방위(藍芳威) 또는 유정(劉鋌)이 세웠다는데 지금도 남아있습니다.
한양에는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 장수 진인(陳寅)이 남대문 밖 도저동(桃楮洞. 현재 서울역 건너편)에 남관왕묘(南關王廟. 1899년 소실 후 재건했다가 6.25 때 소실되어 1957년 사당동에 다시 세움)를 세운 것이 처음이었다. 한양에 관왕묘를 더 지으라는 명나라 요청에 선조와 신하들은 전후에 나랏돈이 부족한 상황에 관우 사당 세우는 것을 매우 못마땅했지만 명나라가 임진왜란 때 도와주었기에 어쩔 수 없었습니다. 지금도 남에게 부탁한 경우 나중에 그분이 제게 부탁하면 거절하기 쉽지 않지요.
선조는 추가의 관왕묘를 동대문 밖 현재 위치에 세우려 했던 것은 한양도성 동쪽이 빈 듯하여 건물을 세우고 연못을 파 지맥(地脈)을 진압해야 좋다는 풍수가의 의견 때문이었답니다. 1599년 한양 관왕묘 추가 건립에 명나라 신종 황제가 준 4천금과 기술자 파견 등의 지원을 받아 1601년에 동관왕묘를 지었습니다. 명 황제는 건립 후 직접 현판을 써 주어 동관왕묘에 걸었답니다.(청나라가 침공 때 없앰)
선조는 타의로 동관왕묘를 건립했기에 방문한 기록은 없고, 숙종이 처음으로 방문했고, 영조가 제일 많은 17회를 방문했으며, 정조는 선왕들이 방문 때 쓴 글을 비석 2개에 새겨 동무와 서무에 두었습니다.
 
조선 말 근대화 과정에서 동학 등 신흥종교와 무속 신앙이 불길처럼 번지면서 관우 신앙은 붐을 이뤘고, 고종은 약해진 왕권을 강화하고 외세의 침입으로부터 관왕의 힘을 빌려 국난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어 동관왕묘와 남관왕묘가 있음에도 1883년 북관왕묘(현재 명륜동 흥덕사 터)와 1902년 서관왕묘(서대문구 천연동)를 세웠다.
 
현재 동관왕묘 정전 안에는 관우상과 부하 관평(關平), 주창(周倉), 황보(王甫), 조루(趙累) 4명의 상이 각각 2개씩 있는데 이는 1908년 동관왕묘와 북관왕묘 및 서관왕묘가 통폐합 (향사이정.享祀釐正)되어 있던 신상(神像)과 소장 유물을 동관왕묘로 옮겨서 그렇습니다. 일제는 정유재란 때 명군이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세우고 제례를 지내던 관왕묘를 항왜(抗倭)와 승왜(勝倭)를 의미로 반일(反日)이라 생각하고 각종 제례를 줄이고 없앱니다.
☞ 고종이 1887년 세운 북관왕묘비(北關王廟碑)는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1908~1910년 동관왕묘로 이관 및 통폐합된 후 100년 넘게 방치되었다가 2011년 "동관왕묘 종합 정비 계획"을 수립해 비로소 동관왕묘 문화재에 대한 전수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 동관왕묘 건물은 보물 제142호이고 동묘 소장 유물 일괄은 서울시의 유형문화재 제36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동관왕묘의 건물 그림
현존하는 동관왕묘의 그림을 보면 겸재 정선이 1746년 경 그린 동문 조도(東門朝道. 조도는 잔치를 베풀어 작별하는 의식을 뜻함)와 1876년 발간한 해동성적지(海東聖蹟誌.관왕묘에 대한 기록 책)의 동묘도(東廟圖)는 약간 다릅니다. 정선의 그림에는 재실(齋室)이 현재의 관리소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전사청(典祀廳. 제향을 준비하던 곳)은 보이지 않습니다.
현재와 해동성적지의 시설을 비교하면 ⓐ전사청이 없어졌고 ⓑ 사라졌던 내삼문의 담장과 협문, 재실 등은 복원되었으며 ⓒ어막대(왕 행차 시 쉬던 곳) 자리에 있던 화장실은 철거했고 ⓓ 어막대 어도(왕의 길)와 외삼문에서 내삼문 가는 어도 및 연지(연못)도 복원했습니다.
 
동관왕묘 주변에 벼룩시장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며 동관왕묘는 큰 건물로 점점 둘러싸일 것으로 보인다. 성균관의 대성전(문묘)과 비슷하게 동관왕묘(무묘)도 외삼문, 내삼문, 동무와 서무 그리고 정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외삼문(外三門. 남문)
외삼문을 통해 동관왕묘로 들어가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양옆에 협간을 더해 정면 5칸이 되고, 쪽문이 있으며 협간의 지붕이 낮아 솟을대문처럼 보이지요.
지붕에 취두(鷲頭.용마루 양쪽에 설치)와 용두(龍頭, 내림 마루에 설치)가 있습니다.
 
▼외삼문에 걸린 동묘 현판은 언제, 누가 썼는지 알 수 없습니다. 동묘보다 동관왕묘가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외삼문을 들어가면 좌측에 관리소와 당간지주가 있고 우측의 석수상 위에 빈 공간은 어막대(御幕臺. 국왕 행차 시 잠시 쉬던 곳)가 있었던 공간입니다.
▼보통 사찰에 있는 당간지주(幢竿支柱, 깃대를 지탱해 주는 2개의 돌기둥)가 보입니다.
 
▼일제 강점기 사진에 깃대가 보이므로 당간지주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어막대(御幕臺) 계단과 어도(御道)의 어제와 오늘
 
▼어막대 자리에 있던 화장실을 철거하고 중앙에 석수상(石獸像) 1개 설치하여 4개로 하고 어도(御道)도 복원하였다.
 
2. 내삼문(內三門. 중문)
외삼문에서 북쪽을 보면 내삼문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내삼문 양옆에 담장과 협문, 좌측에 재실(齋室)을 복원했습니다. 지붕에 용두, 잡상(雜像), 토수(吐首)를 설치하였다.
내삼문 앞 좌·우에 나무 껍질이 미끄럽고 100일 동안 빨간 꽃이 피는 배롱나무(부귀가 꽃말)가 있고, 동쪽 배롱나무와 내삼문 사이에 제사나 참배 목적 외에 사람의 출입을 금한다는 뜻의 "금잡인비(禁雜人碑)"와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하마비(下馬碑)"가 있습니다. 해동성적지에는 하마비(금잡인비)는 내삼문 좌측에 그려져 있는데 현재 우측에 놓여 있네요.
내삼문 안쪽에 그려져 있던 그림(주악 행렬도 奏樂行列圖, 군악대)은 많이 지워져 희미하다.
 
 
3. 서무(西廡)
문묘(文廟)인 성균관의 공자를 모신 대성전 앞에 좌우로 성현을 모신 서무와 동무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묘(武廟)인 동관왕묘 정전 앞에 좌우로 서무와 동무가 있습니다.
▼서무(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 안에 북이 있고 북쪽 끝 칸에 숙종의 글과 글씨가 새겨진 비석이 보입니다.
 
▼서무나 동무의 3면(좌·우·후면) 벽은 벽돌로 쌓았습니다.
 
▼서무 북쪽 끝 칸에 있는 앞면 비석은 숙종의 글("大漢朝忠節武安王贊揚銘 대한 조충절 무안왕 찬양명"이라고 전서로 쓴 제목과 본문은 행서.무안왕은 관우를 말함)이며, 뒷면 비석은 높게 쌓은 벽 때문에 발돋움해도 영조의 글과 글씨가 있는 비문의 윗부분만 간신히 볼 수 있습니다.
 
 
3-1. 동무(東廡)
▼동무 창고에 북이 있고 북쪽 끝 칸에 사도세자(장헌세자, 장조)의 글과 글씨가 새겨진 비석이 보입니다.
 
▼ 비석 앞면은 경모궁(사도세자))의 글("무안왕묘비명武安王廟碑銘은 전서체이고 본문은 집자集字한 행서체")이며 뒷면은 정조의 글과 글씨가 있지만 비문 윗부분만 간신히 보입니다.
 
☞ 비석에 대한 내용은 추가로 정리해 올립니다.
4. 정전(正殿)
동관왕묘의 건물 배치는 외삼문, 내삼문, 정전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월대 위에 관우상이 있는 "정전"이 자리 잡고 있고, 정전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6칸이며 지붕은 T자형의 독특한 구성으로 정면보다 측면이 더 긴 건물 구조입니다. 이는 예배 공간인 전실과 관왕과 부하 장수들 조각상을 배치하는 후실로 꾸민 중국의 관왕묘 형식에 따른 것으로 짐작합니다.
정면을 제외한 3면의 벽은 벽돌로 쌓았으며 좁은 툇간을 두고 열주(列柱. 기둥)를 둘렀습니다. 열주 아래에 흰 띠를 두른 듯 칠한 것은 여기가 향사(享祀) 공간임을 나타낸 것입니다.
단층 건물인 정전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중국식 건물로 두 개의 건물이 앞뒤로 붙어 있는 구조이며 조선 왕릉의 정자각(丁字閣)과 같은 형태를 변형해 지은 것으로 보입니다.
▼제사용 향(香)에 쓰던 향나무(약 200년 됨)가 정전 앞 좌측에 있습니다.
 
▼정전 정면(남향)
 
▼정전 좌측면(서향)
 
 
▼우측면(동향)
 
▼후면
지붕에 있는 ⓐ 용마루의 취두(鷲頭) ⓑ 내림 마루에 입 벌린 용두(龍頭) ⓒ처마 위의 7개 잡상(雜像. 현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이귀박, 이귀룡, 마화상) ⓓ 처마 끝의 토수(吐首)가 잘 보인다.
 
▼정전 앞 석물
정전 앞 석물(등롱석)에 성수만년(聖壽萬年)이라 적혀 있고 광서십사년무자십월일(1888년 10월)에 만들었다고 표시되어 있다.
 
▼정전 외부 정면 현판(2개)
정전 정면에 현령 소덕 의열 무안성제묘(顯靈昭德義烈武安聖帝廟)라고 적힌 현판 2개는 고종이 관우를 관왕(關王)에서 관제(關帝)로 올리면서 쓴 친필입니다. 1908년 ‘향사 이정’ 정책에 따라 정전 중앙의 동관왕묘에 있던 현판과 옮겨 온 오른쪽의 북관왕묘의 현판이 각각 걸려 2개입니다.
 
 
정전 내부는 화려한 장식과 중국풍의 조각상 등이 돋보이는데 그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금동제 관우 신상(金銅製 關羽神像)은 구리 2.4톤으로 만든 높이 2.5m의 큰 상(巨像)으로 정전 중앙에 위치합니다.
▼아래 사진은 동관왕묘(정전 중앙)로 청색의 현판(현령 소덕 무안왕묘,영조 친필)
 
▼아래 사진은 북관왕묘(정전 오른쪽)로 적색의 현판(현령소덕무안왕묘)
 
관우(關羽)는 해주 출신의 촉나라 장수로 사후에 장목후(壯繆侯)란 시호를 받아 관후(關侯)로, 1107년 송 휘종 황제가 관우를 무안왕(관왕)으로, 명나라 신종 때 관우를 관왕에서 황제로 격상해 관제(關帝)라 불렀다. 관왕은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신으로 행복과 재물을 준다고 믿고 있습니다.
동관왕묘의 중앙 관우상(2.4톤, 높이 2.5m)은 정면 정관(正面正觀)을 하고 의자에 앉은 좌상으로 청동 관우상에 금을 입힌 것이며, 좌우에 중국풍의 시자상(侍者像) 한 쌍이 중앙을 보고 마주 서있습니다.
비석에 따르면 곤룡포를 입었다고 나오는데 아래 과거 사진을 보면 머리에 면류관을 쓰고 황포를 입었다.
 
 
▼북관왕묘에서 옮겨 온 관우상(관왕묘 통폐합 후 이곳으로 옮겨짐)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
중앙 관우상 뒤로 보이는 일월오봉도( 높이 296cm X 폭 490cm)는 한국에만 있는 독특한 궁중장식화로 하늘에 떠있는 해와 달은 음양(陰陽)을, 다섯 봉우리는 오행(五行)을 나타내고 국왕의 상징이므로 왕이 있는 곳에 반드시 있습니다.
동묘 관우상 뒤편의 일월오봉도(7폭)는 조선의 일월오봉도(아래 우측. 6폭)와 비교하면 해와 달의 위치가 좌우로 바뀌었고, 해와 달이 있는 위치도 조선의 일월오봉도와 다르게 중앙 봉우리 좌우에 있습니다.
 
 
▼호위 부하상
동관왕묘는 중국에 바탕을 둔 유물임에도 관우상 앞에 호위하는 문인상(관평 關平· 왕보 王甫)과 무인상(주창 周倉· 조루 趙累)들로 한 쌍씩을 세웠습니다.
중국 관제묘는 보통 문인 한 쌍만 놓는데, 문무 한 쌍씩을 배열하는 방식은 조선 왕릉의 석조상 배치와 같습니다. 다만 조선왕릉의 문석인(文石人)이 무석인(武石人)보다 봉분에 가깝게 배치하는데 동관왕묘는 문무인을 섞어 배열하였습니.
아래 사진의 왼쪽은 주창(청룡언월도를 가짐)과 왕보이고 오른쪽은 관평(관인함을 들고 있음)과 조루입니다.
 
 
동관왕묘(아래 사진 상단)와 북관왕묘(아래 사진 하단)에 있던 문인상(관평 關平· 왕보 王甫)과 무인상(주창 周倉· 조루 趙累)입니다.-문화유산 채널 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유홍준) 서울 편 2(초판), 357페이지에 아래 상단 사진을 서관왕묘의 부하상이라 표기되어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동무와 서무도 섞어 표시했기에 확인 요망합니다.
동관왕묘 전실의 좌우 벽면에는 삼국지연의도(三國志演義圖)가 10장면이 부착되었는데 현재 서울 역사 박물관에 소장된 삼국지연의도(9장면)가 동관왕묘에 있었던 것이라 합니다.
▼현판
동관왕묘에 국왕이 쓴 글씨로 만든 현판은 총 7점이 현존하며 국왕의 현판은 명·청대 사신이나 장군의 것들과 비교할 때 재료나 형식 면에서 차별화되었다.
바탕은 청색(回回靑)이나 주색(朱漆) 및 옻색(黑漆)으로서, 먹색(墨)이나 흰색(粉質)으로 된 현판보다 고급 재료로 칠하였으며 글씨는 양각으로 새긴 위에 금(金)으로 칠하였다.
편액 배치도
 
편액 및 주련 - 문화유산 채널 사진-
기둥과 벽면에는 천고완인, 천추의기 ,만고표명, 호연정기,성신문무 등 관우를 칭송하는 글씨들로 빼곡합니다.
5. 없어진 전사청(典祀廳)과 복원한 연지(蓮池)
정전에서 11시 방향에 고종 때 있었던 전사청(제향을 준비하던 곳)은 없고 정전에서 3시 방향에 연못은 복원하였습니다.
▣ 배우고 느낀 점
동묘하면 동관왕묘(東關王廟, 관우의 사당)의 줄임말인데 잘 모른다. 자료가 많지 않아 찾아 배우기가 쉽지 않다. 서울 동관왕묘에 다녀온 느낌을 몇 가지 적어봅니다.
동관왕묘에 가려면 동묘 벼룩시장을 지나야 하는데 첫 방문자에게 어디로 들어가는지 입구 찾기가 쉽지 않다.
서울 동관왕묘가 동묘공원(약 7000㎡)으로 지정되어 무료입장이지만 안내서나 설명서는 찾을 수 없고 오직 간단히 적은 안내판 뿐이다. 420년의 역사를 지닌 보물 142호(건물)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65호(소장물)가 있는 곳으로 중국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관우상이 있기에 안내서(한글, 중국어 등)를 제대로 만들어 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마치 중국에 가서 우리 조상들의 발자취를 만나면 몹시 반가운 것처럼.
 
"아는 만큼 보인다"는데 안내서가 없어 관우상과 부하상 및 고종이 쓴 현판 등이 왜 2개씩인지 알 수 없어 답답했다. 더구나 동·서무에 있는 2개 비석 중 숙종과 사도세자가 쓴 글과 글씨를 새긴 비석은 창살 너머 전부 보이지만, 영조와 정조의 글과 글씨는 제목만 보이며 설명은 아예 찾을 수 없었다. 인터넷 검색하면 다 나온다지만 인터넷에 설명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와 적힌 내용을 누가 제대로 확인· 검증했는지 알 수 없기에 안타까웠다.
문화재청 홈피 서울 동관왕묘 도면에 들어가 보면 관우 부하 장군 이름에 조자룡, 황충 등이 나오므로 확인 후 수정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조선 중기 건축과 회화,조각 등을 배우려면 1910년부터 100여 년 폐쇄되었던 곳이라 변형이 적어 이곳이 좋을 것 같다.
셋방살이하는 북관왕묘 관우상 뒤는 허접하고 앞에는 각목 등 자재가 보이는데 내가 사는 집이라면 이렇게 마무리를 안 하고 그냥 둘까 싶다. 컴컴한 게 아직 복원 공사가 진행 중인지...
 
동관왕묘 건물은 보물 제142호이고 동묘 소장 유물 일괄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6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중요 유형 문화재가 문화재청, 서울시, 종로구청으로 구분· 관리하기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아쉽다. 특히 정전과 동묘 관우상 및 운룡도 등은 420년 이상 된 유물로 추정되므로 보물급으로 올려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문화재청, 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서울시, 종로구청, 구글, 네이버, 규장각, 한국고전 번역원, 이대 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해동성적지,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적답사기, 한국데이터베이스, 중앙일보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과 사진에 오타, 오류, 착오, 틀린 것을 발견하시면 댓글 부탁합니다.
★운룡도와 비문4개
https://blog.naver.com/jawkoh/222888497553
 

 
※ 원문보기
관우(關羽) 서울 동묘(----東廟) 종로구(鍾路區) # 동관왕묘
【여행】 문화재·역사·전
• 서울 동묘의 420년 된 운룡도(雲龍圖)와 230년 된 비석(碑石)
• 삼국지의 관우 사당(東關王廟)에 다녀온 후기
• 남양주 홍·유릉과 주변을 둘러보았어요!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