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詩經(시경)》 『小雅(소아)』 桑扈之什 (상호지십)
 

1. 頍弁(규변) / 우뚝한 고깔

 
2
有頍者弁, 實維伊何. (유규자변, 실유이하)
3
우뚝한 가죽 고깔, 이것이 무엇인가
4
爾酒既旨, 爾殽既嘉. (이주기지, 이효기가)
5
그대의 술 맛있고, 그대의 안주 좋은 이 자리
6
豈伊異人, 兄弟匪他. (개이리인, 형제비타)
7
어이 남이 있으랴, 다른 사람 아닌 형제들
8
蔦與女蘿, 施于松柏. (조여녀나, 시우송백)
9
당장이와 새삼 덩굴, 소나무와 잣나무에 뻗어간다
10
未見君子, 憂心弈弈. (미견군자, 우심혁혁)
11
좋은 분 만나지 못해, 시름겹던 마음
12
既見君子, 庶幾說懌. (기견군자, 서기설역)
13
좋은 분 만나, 기쁘고 즐거워라
14
有頍者弁, 實維何期. (유규자변, 실유하기)
15
우뚝한 가죽 고깔, 이것이 무슨 기약인가
16
爾酒既旨, 爾殽既時. (이주기지, 이효기시)
17
그대의 술 맛있고, 그대의 안주 신선한 이 자리
18
豈伊異人, 兄弟具來. (개이리인, 형제구내)
19
어찌 남이 있으랴, 형제들 모두 온다
20
蔦與女蘿, 施于松上. (조여녀나, 시우송상)
21
담장이와 새삼 덩굴, 소나무 위에 뻗어간다
22
未見君子, 憂心怲怲. (미견군자, 우심병병)
23
좋은 분 만나지 못해, 시름 가득하던 마음
24
既見君子, 庶幾有臧. (기견군자, 서기유장)
25
좋은 분 만나, 이 마음 좋아라
26
有頍者弁, 實維在首. (유규자변, 실유재수)
27
오똑 쓴 가죽 고깔, 머리에 씌워 있다
28
爾酒既旨, 爾殽既阜. (이주기지, 이효기부)
29
그대의 술 맛있고, 그대의 안주 많은 이 자리
30
豈伊異人, 兄弟甥舅. (개이리인, 형제생구)
31
어찌 남이 있으랴, 형제와 숙질들
32
如彼雨雪, 先集維霰. (여피우설, 선집유산)
33
큰 눈 내릴 적에, 먼저 싸락눈 내리듯
34
死喪無日, 無幾相見. (사상무일, 무기상견)
35
언제 죽을지 몰라, 서로 만날 날 없을 성싶어
36
樂酒今夕, 君子維宴. (낙주령석, 군자유연)
37
이 밤에 술을 즐기며, 좋은 분들이 잔치 즐긴다
【원문】頍弁(규변)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시〕
▪ 분류 :
▪ 최근 3개월 조회수 : 7
- 전체 순위 : 5549 위 (4 등급)
- 분류 순위 : 225 위 / 329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동양문학 > 카탈로그   본문   한글 
◈ 頍弁(규변)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