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839년 ◈
◇ 입당구법순례행기(839년 12월) ◇
카탈로그   목차 (총 : 13권)     이전 13권 ▶마지막
9세기
圓仁(엔닌)
목   차
[숨기기]
1
권(卷) 제(第) 2
2
 - 개성사년(開成四年)
 
 
 

839년 12월

 

12월 29일 (음)

5
- 섣달 그믐날 밤에 예불하다
 
6
廿九日晚頭。此新羅院佛堂。經藏。點燈供養。別處不點燈。每房竈裏。燒竹葉及草。從堗出煙。黃昏。初夜。後夜。寅朝。禮佛。後夜諸沙彌小師等。巡到諸房。拜年賀年之詞。依唐風也。
 
 
7
[12월] 29일, 註 346저녁 무렵에 이 신라원에서는 불당(佛堂)과 장경(藏經)註 347에 등불을 켜고 공양했다. 다른 곳에는 불을 밝히지 않았다. 각 방의 아궁이에 대나무 잎과 풀을 태워 굴뚝에서 연기가 나게 했다.註 348 오후 8시경, 오후 10시경, 오전 2시경, 오전 4시경註 349에 예불을 올렸다.註 350 오전 2시경에 여러 사미와 소사(小師) 등이 각 방을 두루 돌면서 새해 인사를 했다.註 351 신년 축하인사는 당나라 풍속에 의거했다.
 
8
개성(開成) 5년註 352경신년(庚申年)이다.
 
 
9
註) 346 개성 4년 12월은 작은 달로 29일이 연말이다. 여기에서 법화원에서의 조촐한 제야를 기록하고 있다. 라이샤워는 이것을 11월로 수정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小野勝年,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 第2卷, 鈴木學術財團, 1964, 161쪽).
10
註) 347 부처님이 말씀하신 경전. 경중(經中)에 모든 사리가 함장(含藏)되어 있기 때문에 장(藏)이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경전을 넣어두는 부고경당(府庫經堂)·장전(藏殿)·윤장(輪藏)을 뜻한다(신복룡, 《입당구법순례행기》, 선인, 2007, 134쪽).
11
註) 348 이는 의사적(儀祀的)인 의미가 아니라, 밤중에 거의 잠들지 않기 때문에 방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온돌을 데우는 것을 가리킨다고 생각한다(小野勝年,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 第2卷, 鈴木學術財團, 1964, 161쪽).
12
註) 349 오후 8시경, 오후 10시경, 오전 2시경, 오전 4시경은 불교에서 소위 6시 중의 4시에 해당하는데, 이 때 불보살을 향해 예배한다(小野勝年,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 第2卷, 鈴木學術財團, 1964, 161쪽).
13
註) 350 불가에서는 일주야를 6으로 나누어 불보살에 예배·정진한다. 즉 신조(晨朝·夜半), 일중(日中), 일몰(日沒·日入), 초야(初夜·人定), 중야(中夜·夜半), 후야(後夜·鷄鳴)를 가리킨다. 황혼은 오후 8시경이며, 초야는 오후 10시경, 후야는 오전 2시경, 인조는 오전 4시경으로 잡는다(김문경,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216쪽).
14
註) 351 拜年은 새해의 인사를 뜻한다. 윗사람에게 인사하는 것을 ‘배’라 한다(김문경,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216쪽).
15
註) 352 서기 840년이다. 신라 문성왕 2년이고 일본의 仁明천황 7년으로 承和 7년에 해당한다.
【원문】입당구법순례행기(839년 12월)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일기〕
▪ 분류 : 지리/여행기
▪ 최근 3개월 조회수 : 123
- 전체 순위 : 481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3 위 / 1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금시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참조
  839년
 
 
▣ 참조 정보 (쪽별)
◈ 기본
◈ 참조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동양고전 > 지리/여행기 카탈로그   목차 (총 : 13권)     이전 13권 ▶마지막 한글 
◈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839년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4년 10월 0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