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날개(-)
•
광통관(廣通館)
•
정진사전(鄭進士傳)
•
시경(詩經)
•
가정 소설(家庭小說)
•
허생전(許生傳)
•
신윤복(申潤福)
•
호질(虎叱)
•
이날치(李捺致)
•
대학(大學)
•
홍길동전(洪吉童傳)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용부가(庸婦歌)
•
현대 소설(現代小說)
•
무정(無情)
•
박유전(朴裕全)
•
담양군(潭陽郡)
•
허브드 주(Khovd)
•
김유정(金裕貞)
▣
문장 (文章)
바로가기
1939년에 발간된 월간 순 문예지. '백조', '폐허', '조선 문단', '인문 평론' 등과 함께 우리 나라 신문학사에 큰 공적을 남겼다.
기관/단체
:
신문잡지 > 한국문학 > 문예지
1939년
에 발간된 월간 순 문예지. '
백조
', '
폐허
', '
조선 문단
', '
인문 평론
' 등과 함께 우리 나라 신문학사에 큰 공적을 남겼다. 특히 신인의 배출 양성에 공이 컸다.
일제 말기의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의 와중에서 탄생하여 《한중록》 등 민족 고전의 발굴, 주석에 힘썼다.
정지용
,
이태준
이 추천 위원이 되어
박두진
,
박목월
,
조지훈
,
김종한
,
이한직
,
박남수
,
임옥인
,
최태응
등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문장
(文章)
1939
현대문학
낭만주의 문학
동인지
(同人誌)
자연주의
(自然主義)
한국 문학
(韓國文學)
1939년
20세기
(20世紀)
1930년대
1940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22년
1924년
1903
정지용
(鄭芝溶)
1904
이태준
(李泰俊)
1914
김종한
(金鍾漢)
1915
임옥인
(林玉仁)
1916
박두진
(朴斗鎭)
1917
박목월
(朴木月)
1920
조지훈
(趙芝薰)
1538
이일
(李鎰)
1891
이병기
(李秉岐)
1892
이광수
(李光洙)
1894
오상순
(吳相淳)
1894
전영택
(田榮澤)
1895
남궁벽
(南宮璧)
1895
황석우
(黃錫禹)
1896
김억
(金億)
1897
염상섭
(廉想涉)
1898
방인근
(方仁根)
1900
김동인
(金東仁)
1900
이상화
(李相和)
1900
주요한
(朱耀翰)
1900
현진건
(玄鎭健)
1900
홍사용
(洪思容)
1901
김동환
(金東煥)
1901
박영희
(朴英熙)
1901
박종화
(朴鍾和)
1901
최서해
(崔曙海)
1902
김소월
(金素月)
1902
나도향
(羅稻香)
1902
채만식
(蔡萬植)
1903
이은상
(李殷相)
1910
이상
(李箱)
월북작가
(越北作家)
1920
폐허
(廢墟)
1922
백조
(白潮)
1924
조선 문단
(朝鮮文壇)
1919
창조
(創造)
1930
시문학
(詩文學)
1939
제2차 세계 대전
(미정의)
박남수
(미정의)
이한직
(미정의)
인문평론
(미정의)
최태응
•
청록집(靑鹿集)
•
청록파(靑鹿派)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30 작품) [
모두보기
]
동경
東京
근/현대 소설
이상
(169)
선구녀
근/현대 소설
김동인
(8)
이반
離叛
근/현대 소설
계용묵
(7)
난제오
亂啼烏
근/현대 소설
이광수
(4)
가을밤
근/현대 시
이병각
(4)
꿈
근/현대 소설
이광수
(3)
패배자의 무덤
근/현대 소설
채만식
(3)
사공의 노래
근/현대 시
노자영
(2)
태양의 풍속 (김기림시집)
근/현대 수필
이병각
(2)
집주릅
근/현대 소설
김동인
(2)
이 고사본에 대하야
근/현대 수필
이명선
(1)
모색
摸索
근/현대 소설
채만식
(1)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