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2일 (토)
(음 3월 15일, 辛亥)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명량 해전(鳴梁海戰)
•
이상(李箱)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삼국지(三國志)
•
논어집주(論語集註)
•
난중일기(亂中日記)
•
만분가(萬憤歌)
•
광염소나타(狂炎sonata)
•
동백꽃( )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서한문(書翰文)
•
안목(安牧)
•
경기도(京畿道)
•
최백(崔白)
•
유진오(兪鎭午)
•
쿠샨 왕조(Kushan王朝)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
김상용(金尙容)
•
나옹(懶翁)
•
이순신(李舜臣)
▣
양예수 (楊禮壽)
바로가기
[1530? ~ 1597] 조선시대 예빈시판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의관.
인물
:
[1530? ~ 1597] 조선시대 예빈시판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의관.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하음(河陰). 자는 경보(敬甫), 호는 퇴사옹(退思翁). 박학하고 의술에 능하였으나 1563년(명종 18) 내의원주부(內醫院主簿)로서 순회세자(順懷世子)의 병을 치료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투옥되었다.
이듬해 다시 예빈시판관(禮賓寺判官)으로 발탁되었다. 1565년 어의(御醫)로 명종의 총애를 받아 통정대부에 오르고, 명종이 죽어 의관들이 처벌당할 때 함께 투옥되었다가 곧 복직되었다.
1580년(선조 13) 가선대부에, 1595년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이듬해 태의(太醫)로 《
동의보감
》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박세거(朴世擧)
·
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
의림촬요(醫林撮要)
》를 저술하였다. 임진왜란 때 중전이 수안과 해주에 머물 때 호종의관이 되기도 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양예수
(楊禮壽)
1530
한방 의학
1604
호성 공신
1392
조선
(朝鮮)
1610년
1613년
1545
명종
(明宗)
1546
허준
(許浚)
1476
이기
(李芑)
1481
성세창
(成世昌)
1484
정순붕
(鄭順朋)
1499
이준경
(李浚慶)
1501
문정 왕후
(文定王后)
1503
권철
(權轍)
1506
조선 중종
(中宗)
1512
홍언필
(洪彦弼)
1515
보우
(普雨)
1515
윤원형
(尹元衡)
정경선
(鄭敬先)
1532
인순왕후
(仁順王后)
1544
조선 인종
(仁宗)
1567
선조
(宣祖)
16c중
정예남
(鄭禮男)
의림촬요
1613
동의보감
(東醫寶鑑)
1433
향약집성방
1466
구급방언해
1477
의방유취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미정의)
박세거
(미정의)
손사명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명의 양예수
名醫 楊禮壽
근/현대 수필
김동인
(7)
명의와 사신
김동인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