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및 그에 딸린 섬으로 이루어진 영연방의 자치국.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국영문 동시 배포) 우리 문화 알리고자 호주가는 ‘백자 달항아리’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지난 16일 ‘백자 달항아리’(白磁壺) 1점을 국외에 전시하기 위해 영구 반출하는 것을 허가하였다.【유형문화재과】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 백자 달항아리 #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
- 문화재청,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으로 백자 1점 영구 반출 허가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지난 16일 ‘백자 달항아리’(白磁壺) 1점을 국외에 전시하기 위해 영구 반출하는 것을 허가하였다.
 
영구 반출을 허가받은 ‘백자 달항아리’는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Victoria; NGV)이 미술관 내 상설전시실에 전시하기 위해 국내에서 구매한 작품이다. 빅토리아국립미술관은 1861년에 설립되어 호주에서 가장 역사가 깊고 규모가 큰 미술관으로, 현재 7만 여점의 작품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미술관측은 ‘한국실’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해 우리 문화재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지난해 6월 ‘책가도(冊架圖)’(19세기 말~20세기 초 제작)와 ‘연화도(蓮花圖)’(20세기 초 제작)를 구입해 문화재청 허가 후 영구반출을 한 바 있어 이번 반출이 두 번째다.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으로 반출되는 ‘백자 달항아리’(白磁壺)는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가로 35cm, 높이 34cm의 크기로 기존에 국가지정문화재나 지방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같은 유형의 문화재에 비해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무늬가 없는 하얀 색에 둥그런 형태가 마치 달을 연상시킨다 하여 ‘달항아리’로 불린다. 18세기 조선 시대에 다수 제작되었던 터라 국내에서는 아직도 상당수가 전해지고 있어 문화재청은 이번 ‘백자 달항아리’가 국외에 전시되어 한국의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활용될 때 그 가치가 더 커진다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9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영구국외 반출을 이례적으로 허가하였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반출되는 ‘백자 달항아리’가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의 한국관에 전시되어 우리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외의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 등에서 전시를 목적으로 우리 문화재를 구매하거나 기증받기를 희망할 경우, 한국의 전통문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에 따라 신중히 검토하여 영구 반출을 허가할 계획이다.
 
A Moon Jar Sent to Australia as a Cultural Ambassado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eaded by Administrator Chung Jae-suk, allowed the permanent export of a white porcelain moon jar on April 16 for the purpose of public display at an overseas institution.
 
This white porcelain jar was purchased by the oldest and largest art gallery in Australia, the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NGV), which is home to a remarkable collection of about 70,000 items. The NGV has been actively working to expand its Korean collection. This is its second procurement of Korean artifacts using permanent export permission following its acquisition in June 2019 of a late 19th–early 20th century chaekgado (painting of bookshelves) and early 20th century yeonhwado (painting of lotus flowers).
 
The white porcelain moon jar to be permanently exported to Australia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Measuring 34 by 35 centimeters, it is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 moon jars registered on national and local heritage lists.
 
Moon jars (dal hangari in Korean) were named for their unadorned white surface and globular shape evoking a full moon. Produced in great quantities through the 18th century, a number of Joseon Dynasty moon jar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ade the unusual policy decision of granting permanent export permission for this moon jar following deliberation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n April 9. It was decided that the value of the Korean white porcelain artifact could be more widely appreciated if exhibited oversea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expects the moon jar to be placed on permanent exhibition at the NGV where it will contribute to further disseminating the aesthetic of traditional Korean art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continue to consider cases of permanent export as an option for the international promotion of traditional Korean art and culture. It will allow selected Korean artifacts to be permanently exported to foreign museums and art galleries based on relevant legal provisions when such institutions wish to purchase Korean artifacts or receive them as donations for exhibition purposes.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으로 반출되는 달항아리>
 
 
첨부 :
0422 A Moon Jar Sent to Australia as a Cultural Ambassador.docx
0422 우리 문화 알리고자 호주가는 ‘백자 달항아리’(본문).hwp
0422 우리 문화 알리고자 호주가는 ‘백자 달항아리’(붙임).pdf
 

 
※ 원문보기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 백자 달항아리 #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
【문화】(국영문 동시 배포) 우리 문화 알리고자 호주가는 ‘백자 달항아리’
(게재일: 2020.04.22. (최종: 2020.04.25. 10:24))  문화재청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6·25 전쟁시 우리나라를 도와 참전한 유엔 참전 16개국의 1국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오세아니아의 마을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괌(미)
북마리아나 제도
나우루 공화국
노퍽섬
뉴칼레도니아(프)
니우에
마샬 제도
미크로네시아
바누아투
발리스·푸투나(프)
사모아 제도
사모아(미국령)
솔로몬 제도
코코스 제도

크리스마스섬
키리바시
토켈라우
통가
투발루
팔라우
폴리네시아(프)
피지 제도
피케니언(영)
헤어드도·맥도널드 제도
군소 외곽 제도 연합국(영)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