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5월
3일, 신민당 전당대회. 온건파 이철승 패배. 강경파
김영삼이 대표로 당선.
6월
29일, 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8월
11일.
YH사건 발생 - 경찰, 신민당사에서 농성 중인 YH무역 여공 200여명 강제 해산.
9월
16일. 김영삼, 미국 뉴욕타임즈와 인터뷰. 미국의 결단을 요구
10월
4일. 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여당인 공화당의 날치기 통과)
16일.
부마 민주 항쟁 발생. 부산대학교 학생 5,000여 명이 "유신정권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단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교내에서 시위. 저녁에 시내로 진출
17일. 저녁 시민들이 합세하면서 시위가 지속적으로 확산, 충무파출소 · 한국방송공사(KBS) · 서구청 · 부산세무서 등이 파괴, 경찰차량 전소 내지 파손
18일. 정부, 0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투입해 1,058명을 연행하고 66명을 군사재판에 회부.
19일. 마산 지역에서 마산대학교(지금은 창원대학교로 개명되었고, 현재의 마산대학교와 다름)와 경남대학교 학생 시위, 민주공화당사·파출소·방송국 타격
20일. 근로자, 고등학생 시위 합세. 마산에 위수령 선포
23일. 부산 마산 통금 환원 서서히 평온 되찾음
26일 상오 12시. 부산지역 계엄군 철수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 의해 피격 사망(
10·26사태).
27일. 전국(제주도 제외)에 비상계엄령 선포. 대통령권한대행에
최규하 국무총리 취임.
11월
3일. 국장.
6일, 계엄사,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전모 발표.
12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10대 대통령에
최규하 선출.
112일. 수사당국, 정승화 육참총장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관련혐의로 연행(
12·12사태).
동양
1월 7일, 캄보디아 반란군·베트남군이 프놈펜 점령, 친소(親蘇) 베트남 정권 수립. 국명을 캄보디아 인민공화국으로 개칭.
17일, 파리에 망명 중인 이란 혁명운동 지도자
호메이니가 이슬람임시정부 수립 발표.
2월 17일, 중국군의 베트남 침공으로 교전 계속.
3월 26일, 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 조인(30년 교전상태 종료).
4월 1일, 이란, 이슬람 공화국 수립.
6월 28일, OPEC 총회, 유가 평균 59 % 인상.
10월 3일, 전 캄보디아 국가원수 시아누크, '민족주의연합' 조직.
11월 19일, 이스라엘이 점령지 시나이산을 이집트에 반환.
12월, 이란, 호메이니가 최고 지도자가 된 새로운 신정주의 공화국 헌법 제정
12월 25일, 아프가니스탄에 친소(親蘇)쿠데타 발생.
소련이 개입, 대통령 아민 추방하고 카르말 전총리가 정권 장악.
세계
1월 1일, 미국·중국간 수교 시작.
3월 13일, EC수뇌회의.
26일, 이집트·이스라엘간 평화조약 체결.
28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드리마일섬 원전(原電) 방사능 누출사고.
4월 11일, 우간다민족해방전선, 아민 축출.
5월 4일, 영국 총선에서 보수당. 당수 대처 첫 여성 수상 취임.
6월 1일, 짐바브웨·로디지아공화국 발족.
7월 17일, 니카라과 대통령 소모사, 미국으로 망명. 20일에 국가재건정부 수립.
9월 3일, 제6회 비동맹국회의 개막. 9일 '아바나선언' 채택.
20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보카사정권, 쿠데타로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