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놀이터
::
김시습(金時習)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시습 (金時習)
[1435 ~ 1493] 조선 단종 때의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호는 매월당(梅月堂), 또는 동봉(東峰)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435 ~ 1493] 조선 단종 때의 학자.
생육신
의 한 사람으로, 호는 매월당(梅月堂), 또는 동봉(東峰)이다.
5세 때 시를 읊어 신동으로 이름이 높았다.
1455년
에 수양 대군이 단종을 몰아 내고 왕이 되자, 책을 불사르고 스님이 되어 평생 벼슬을 하지 않았다.
우리 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인 《
금오신화(金鰲新話)
》를 지었고, 시문집으로 《
매월당집
》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김시습
(金時習)
1435
김반
(金泮)
1373
윤상
(尹祥)
(미정의)
이계전
기호 학파
(畿湖學派)
고대 소설
(古代小說)
성균관
(成均館)
성리학
(性理學)
영남 학파
유교
(儒敎)
주기론
(主氣論)
한문 소설
1575
서인
(西人)
1455년
15세기
(15世紀)
1450년대
1450년
1451년
1452년
1453년
1454년
1456년
1457년
1458년
1459년
생육신
(生六臣)
1337
정몽주
(鄭夢周)
1352
권근
(權近)
1374
조용
(趙庸)
1383
김구
(金鉤)
1389
김숙자
(金叔滋)
1406
성담수
(成聃壽)
1418
성삼문
(成三問)
1420
조여
(趙旅)
사육신
(死六臣)
이맹전
(李孟專)
1452
조선 단종
(端宗)
1454
남효온
(南孝溫)
1455
조선 세조
(世祖)
1480
이자
(李耔)
1489
서경덕
(徐敬德)
1534
송익필
(宋翼弼)
1536
이이
(李珥)
1544
조헌
(趙憲)
1548
김장생
(金長生)
1556
한교
(韓嶠)
1563
정엽
(鄭曄)
15c초
원호
(元昊)
1607
송시열
(宋時烈)
금오신화
(金鰲新話)
매월당집
(梅月堂集)
만복사저포기
용궁부연록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1455
장미 전쟁
남염부주지
•
만복사지(萬福寺址)
•
윤군평(尹君平)
•
오세암(五歲庵)
•
1493년
•
1481년
•
1438년
•
장흥 사인정
•
상당산성( )
•
매월대(梅月臺)
•
매월대 폭포
•
동학사(東鶴寺)
•
무량사(無量寺)
•
기림사(祗林寺)
•
소요산(逍遙山)
•
패관잡기(稗官雜記)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
고전 소설
김시습
(536)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浦記
고전 소설
김시습
(394)
금오신화
金鰲新話
고전 소설
김시습
(235)
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
고전 소설
김시습
(145)
용궁부연록
龍宮赴宴錄
고전 소설
김시습
(113)
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
고전 소설
김시습
(110)
사청사우
乍晴乍雨
한시
김시습(金時習)
(57)
등무등산
登無等山
한시
김시습
(25)
유객
有客
한시
김시습(金時習)
(11)
동봉육가
東峰六歌
한시
매월당 김시습
(3)
◈ 참조 원문/전문
광시인된 김시습
근/현대 수필
김동인
(3)
김시습 어른
근/현대 소설
이상대
(3)
◈ 조회순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6.19
◈
9번 과거에 장원한 율곡도 ‘백세의 인물’이라고 극찬
【문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의 금강산 여행 (중) 경주에서 세미나 발표를 마친 필자는 다음날 경주국립박물관을 관람했다. 그리고 시내버스를 타고 기림사를 찾아갔다. 기림사는 경주 남쪽에 있는 절로 교통이 불편해 평일에는 찾아가는 이가 없어 한적했다.
3
|
김시습
,
기림사
,
구은사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파주시 전설과 설화
2024.10.01
◈
율곡과 매월당의 천재적인 대학자의 유래
【문화】
흙룡이 동해바다에서 침실로 들어와 신사임당 품에 안긴 태몽을 꾸고 탄생하신 율곡선생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어머니의 지도를 받아 3살때 시를 지었으며 7세에 사서제경(四書諸經)을 통달 화석정 8세 명시로 명성이 높았다.
0
|
김시습
,
설화
,
이이
,
파주시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7.02
◈
불가 -유가- 도가에 치우치지 않는 영원한 자유인 금강산인
【문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의 금강산 여행 (하) 만덕은 금강산을 다녀간 선비나 승려 중에서 김시습을 으뜸으로 여겼다. 만덕이 금강산을 보러 처음 왔는데, 시습은 8번이나 다녀갔고, 남효온이나 선비들의 글 속에 시습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 더욱 존경했다.
0
|
금강산
,
김시습
,
백련사
,
이광사
,
이긍익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6.17
◈
5세 세종 앞에서 시 지어 신동, 세조 왕위찬탈하자 생육신으로 은둔..영롱한 사리 출현
【문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의 금강산 여행 (상) 만덕은 보덕암을 다녀와 표훈사에 도착하여 저녁을 먹었다. 저녁 예불을 마친 후 만덕은 주지 방에서 큰 스님이 들려주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의 금강산 여행기를 재미있게 들었다.
0
|
금강산
,
김시습
,
표훈사
,
김만덕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파주시 전설과 설화
2024.10.01
◈
율곡과 매월당의 천재적인 대학자의 유래
【문화】
흙룡이 동해바다에서 침실로 들어와 신사임당 품에 안긴 태몽을 꾸고 탄생하신 율곡선생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어머니의 지도를 받아 3살때 시를 지었으며 7세에 사서제경(四書諸經)을 통달 화석정 8세 명시로 명성이 높았다.
0
|
김시습
,
설화
,
이이
,
파주시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7.02
◈
불가 -유가- 도가에 치우치지 않는 영원한 자유인 금강산인
【문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의 금강산 여행 (하) 만덕은 금강산을 다녀간 선비나 승려 중에서 김시습을 으뜸으로 여겼다. 만덕이 금강산을 보러 처음 왔는데, 시습은 8번이나 다녀갔고, 남효온이나 선비들의 글 속에 시습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 더욱 존경했다.
0
|
금강산
,
김시습
,
백련사
,
이광사
,
이긍익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6.19
◈
9번 과거에 장원한 율곡도 ‘백세의 인물’이라고 극찬
【문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의 금강산 여행 (중) 경주에서 세미나 발표를 마친 필자는 다음날 경주국립박물관을 관람했다. 그리고 시내버스를 타고 기림사를 찾아갔다. 기림사는 경주 남쪽에 있는 절로 교통이 불편해 평일에는 찾아가는 이가 없어 한적했다.
3
|
김시습
,
기림사
,
구은사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6.17
◈
5세 세종 앞에서 시 지어 신동, 세조 왕위찬탈하자 생육신으로 은둔..영롱한 사리 출현
【문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의 금강산 여행 (상) 만덕은 보덕암을 다녀와 표훈사에 도착하여 저녁을 먹었다. 저녁 예불을 마친 후 만덕은 주지 방에서 큰 스님이 들려주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의 금강산 여행기를 재미있게 들었다.
0
|
금강산
,
김시습
,
표훈사
,
김만덕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금오신화
(11)
백과
고대 소설
(9)
백과
1470년대
(6)
백과
한시
(4)
백과
(3)
백과
15세기
(3)
백과
서거정
(3)
백과
성리학
(3)
백과
절
(3)
백과
철원군
(3)
백과
한문 소설
(3)
백과
31 본산
(2)
백과
643년
(2)
백과
강희맹
(2)
백과
강희안
(2)
백과
경주시
(2)
백과
고전 문학
(2)
백과
광사
(2)
김굉필
(2)
백과
김종직
(2)
백과
남원시
(2)
백과
대동야승
(2)
백과
도선
(2)
백과
동인시화
(2)
백과
만복사저포기
(2)
백과
박지원
(2)
백과
백담사
(2)
백과
보우
(2)
백과
사육신
(2)
백과
산성
(2)
백과
서경덕
(2)
백과
시화총림
(2)
백과
신소설
(2)
백과
양화소록
(2)
백과
어숙권
(2)
백과
원효
(2)
백과
주기론
(2)
백과
촌담해이
(2)
백과
필원잡기
(2)
백과
허생전
(2)
백과
◈ 참조 키워드
금오신화
(6)
백과
금강산
(2)
백과
김만덕
(2)
백과
도선
(2)
백과
조선 단종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
내메모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관련 의견 모두 보기
▫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기호 학파
생육신
스승 :
이계전(李季甸)
,
김반(金泮)
,
윤상(尹祥)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