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의 생활 속에서 생겨나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중에 의해 만들어져 민중 속에서 전해지는 것으로, 그 성격이 민중적인 노래를 말한다.
민요는 그것을 처음 만들어 노래 부른 사람의 창작 의지를 의식함이 없이 전해 내려오는 과정에서 사회적 환경이나 시대의 배경에 따라 그 곡이나 가사도 변해 간다.
민요는 민중 생활의 내용과 민중의 소박한 감정을 담아 문자 아닌 말로써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노래로 국민성이나 민족성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민요에는 일정한 지역에서만 불리는 향토적인
토속 민요(土俗民謠)와 일정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널리 불려지는
통속 민요(通俗民謠)가 있다.
김매기· 모내기 등의 민요가 곧 토속 민요의 대표적인 예이고, 육자배기·수심가·창부타령 등이 통속 민요의 예인데, 통속 민요를 달리 창민요(唱民謠)라고도 한다.
경기 민요
서울과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불리는 민요. 장단은 주로 굿거리, 자진타령, 세마치 등이 쓰인다.
「창부타령」, 「노랫가락」, 「아리랑」, 「긴아리랑」, 「이별가」, 「청춘가」, 「도라지타령」, 「노들강변」, 「사발가」, 「베틀가」 등이 있다.
서도 민요
평안도 및 황해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
「수심가」, 「긴아리 타령」, 「안주애원성」, 「영변가」, 「몽금포 타령」, 「산염불」, 「박연폭포」, 「난봉가」 등이 있다.
남도 민요
전라도와 경상도 남서부, 충청도 일부 지역에서 주로 불려 온 민요. 주로 전라도 지방의 민요를 가리킨다.
경상도 민요는 「성주풀이」 「밀양 아리랑」 「쾌지나칭칭나네」 「뱃노래」 「옹헤야」 「뒷전 타령」 「담바구 타령」 등이 있고, 전라도 민요는 「육자배기」 「자진 육자배기」 「농부가」 「강강술래」 「새타령」 「까투리 타령」 「개구리 타령」 「흥타령」 「진도 아리랑」 「둥가 타령」 등이 있다.
제주도 민요
제주도에 전해 내려오는 민요 . 제주도에는 노동요가 특히 많다.
노동요로는 「소마 모는 소리」 「밭 발리는 소리」 「촐 베는 소리」 「달구질 소리」 「마당질 소리」 「상여 소리」 등이 있고, 그 밖에 「오돌또기」 「이야옹 타령」 「해녀 노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