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농악(農樂)
농악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농악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농악 (農樂)
농사일을 할 때나 명절 때 흥을 돋우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향토 음악. 농악에 쓰이는 악기는 꽹과리, 징, 북, 소고, 장구, 피리 등이 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농악 (農樂)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아악 (4) 백과 당악 (3) 백과 무악 (3) 백과 범패 (3) 백과 산조 (3) 백과 인류무형문화유산 (3) 백과 판소리 (3) 백과 향악 (3) 백과 강강술래 (2) 백과 국악 (2) 백과 속악 (2) 백과 장가 (2) 백과
▣ 백과사전
농사일을 할 때나 명절 때 흥을 돋우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향토 음악. 농악에 쓰이는 악기는 꽹과리, 징, 북, 소고, 장구, 피리 등이 있다.
 
농촌에서 모내기, 김매기 등의 힘든 일을 할 때 일의 능률을 올리고 피로를 잊게 하며, 협동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데서 비롯되었다.
 
지금은 각종 명절이나 행사 때에도 행하여지고 있다.
 

지방별 구분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풍물굿은 '농악'이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진주·삼천포 농악(제11-1호), 평택농악(제11-2호), 이리농악(제11-3호), 강릉농악(제11-4호), 임실필봉농악(제11-5호), 구례잔수농악(제11-6호) 등 총 6종목이다.
 

진주·삼천포 농악(제11-1호):

영남농악에 속하며 모두가 흰 바지와 색깔 있는 저고리의 농악 복에 색 띠를 두르고, 모자(상모)를 쓴 채 연주하는데 개인놀이가 비교적 발달하였다. 빠른 가락을 모는 경우가 많아 힘차고 가락이 다채로워 흥겹다. 판굿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으며, 팔진법이라든가 버꾸놀이, 상쇠놀이, 무동놀이(사내아이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것) 등의 개인기가 뛰어나다.

평택농악(제11-2호):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인 동시에 걸립패농악(중들이 꽹과리치면서 염불하고 동냥하는 일)의 성격을 갖는다. 농악기에 있어서 징과 북이 타지역에 비하여 적으며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다. 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며 노래굿이 있는 것도 특이하다.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의 소박한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공연성이 뛰어난 남사당패 예인들의 전문적인 연희를 받아들여 복합적으로 구성한 수준높은 농악이며, 무동놀이(어른의 목말을 타고 아이가 춤추는 놀이)가 특히 발달하였다

이리농악(제11-3호):

호남우도농악에 속하며, 상쇠의 부포놀이가 매우 다양하고 장구의 가락과 춤이 발달되어 있으며, 소고춤의 기법이나 진풀이가 많은 편이다. 비교적 느린 가락을 자주 쓰며, 가락 하나하나가 치밀하게 변형 연주되어 리듬이 다채롭다. 악절마다 맺고 푸는 리듬기법을 쓰는 등 가락의 기교가 뛰어나다. 이리농악은 마을사회의 역사와 그 명맥을 함께 하는 민속예술로 농사의 고달픔을 잊고 서로의 화합과 마을의 단합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강릉농악(제11-4호):

강릉농악은 강원도 태백산맥 동쪽에 전승되어 오는 대표적인 영동농악의 하나로 농경생활을 흉내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에 농사풀이농악이라고도 한다. 강릉농악은 단체적인 놀이를 위주로 하여 농사의 고달픔을 잊고 서로의 화합과 마을의 단합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임실필봉농악(제11-5호):

호남좌도농악에 속하며, 단순한 농악이 전승되어 왔는데, 오늘날과 같은 높은 수준이 된 것은 1920년경에 상쇠(패의 지도자 격으로 꽹과리를 가장 잘 치는 사람) 박학삼을 마을로 초빙하여 그의 농악을 배우면서부터라고 한다. 임실 필봉농악은 쇠가락(농악의 대표격인 꽹과리 가락)의 맺고 끊음이 분명하여 가락이 힘차고 씩씩하며, 개개인의 기교보다 단체의 화합과 단결을 중시한다.

구례잔수농악(제11-6호):

호남 좌도농악의 성격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마을굿으로서의 전통을 잘 간직하고 있다. 구례잔수농악은 마을 사람들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마을 농악이다. 과거 농악의 운영과 관련된 문서도 전하고 있는데 1954년부터 작성된 「농악위친계칙(農樂爲親契則)」과 「농악취친계 계재수지부(農樂爲親契 契財收支簿)」가 그것으로 그 동안의 농악 관련 계칙과 재정 상태를 기록한 문서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