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1 ~ 154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이며 자는 번중, 호는 돈재·화왕도인이며, 시호는 문장이다. 예조 판서
현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김굉필의 제자로 이심원에게 역학을 배웠다.
1501년(연산군 7)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그의 선친은 죽은 후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에게 내리던 극형인 부관 참시를 당하였고, 그는 영광에 유배되었다가 1506년
중종 반정으로 풀려 나왔다.
1507년(중종 2)에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에 임용된 뒤 이어 저작·박사로 승진되었고 사간원 정언을 지냈다. 1509년에는 이조 정랑이 되었으나 당시 인사 행정의 불공정성으로 인해 서반으로 좌천되기도 하였다. 그 뒤 다시 동반으로 복귀되었고 1514년 독서당에서 공부를 한 후(사가독서) 사간원 헌납과 홍문관 교리· 사헌부 집의 등 삼사의 중요 직책을 두루 거쳤다.
1517년 홍문관 직제학으로 있을 당시에는
조광조 등 신진 사대부들이 현량과를 실시하려 하자 이에 대한 폐단을 지적하고 반대 입장을 표명하였으며, 1519년경 정국이 위태롭게 돌아가자 신병을 이유로 사직하여 뒤에 사화를 면할 수 있었다.
1521년 홍문관 직제학에 다시 임명되었고, 1522년에는 강원도 관찰사로 재등용된 후 형조 참의에 임명되어 주문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경상도 관찰사· 성균관 대사성·동지중추부사·전라도 관찰사·예조 참판·이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530년에는 대사헌· 홍문관 대제학으로 있으면서 당시의 권력자인
김안로를 비판하다가 평해로 귀양을 떠났으나, 1537년(중종 32)에 김안로 일당이 숙청되면서 다시 돌아와 한성부 우윤과 이조 판서· 형조 판서· 예조 판서를 거쳐 1545년(인종 1)에는 우의정· 좌의정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해에
을사사화가 일어나
윤임이 숙청되고
윤원형 일파가 정권을 잡으면서 이들에게 미움을 받은 그는 중추부 한직에 좌천되고, 이어 황해도 장연으로 유배되었다가 그 곳에서 죽었다.
그는 문장에 뛰어나 많은 외교 문서를 만들었고, 글씨와 그림, 음률에 뛰어나 삼절로 불렸으며 오랫동안 홍문관의 대제학을 역임하여 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았다.
저서로는 《돈재집》 《식료찬요》가 있으며 필법에 특히 뛰어나 많은 글씨를 남겼다.
1567년 선조 즉위 때 관직이 복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