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합천군 (陜川郡)
경상 남도 북서부 내륙에 자리잡은 군. 소백 산맥에서 갈라진 가야산 줄기가 뻗어 군의 북·서·남부에 산지가 있으며, 그 사이를 동쪽으로 흘러 낙동강으로 합치는 황강 유역에 비교적 넓은 합천 분지가 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2 (5 등급)
◈ 팔만대장경의 인물 판각
해인사의 장경각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그래서 대장경을 보관중인 해인사를 법보사찰이라 말한다.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대장경 자료가 전시중이라 볼 수 있다. 그중에 인물을 새긴 목판본이 보여 소개한다.
고려 대장경(高麗大藏經)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유네스코(UNESCO) 해인사(海印寺) # 세계문화유산
해인사의 장경각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그래서 대장경을 보관중인 해인사를 법보사찰이라 말한다.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대장경 자료가 전시중이라 볼 수 있다. 그중에 인물을 새긴 목판본이 보여 소개한다.
\na-;▼대장경은 호국 불교, 현세 극복하고자 국가사업으로 편찬
 
초조대장경
현종
거란 격퇴를 염원
몽고 침입으로 소실
속장경
숙종
교장도감 설치(의천)
몽고 침입으로 소실
팔만대장경
고종
부처힘으로 몽고 침입 극복
해인사
 
▶초조 대장경(1011~1087) 인쇄
①1011년에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거란의 침공을 물리치려는 발원에서 시작하여 1087년까지 무려 77년에 걸쳐 이루어진 것으로, 송의 개보판대장경을 원본으로 삼아 목판에 새겨 간행함
②팔공산 부인사에 봉안된 이 초조 대장경은 1132년(고종 19)에 몽고군의 방화로 소실됨
 
 
 
☞ 대장경(大藏經)은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가 일생동안 설법한 경전과 계율, 그 내용들에 대해 후대의 고승들이 첨부한 논서, 주석서, 이론서들을 집대성한 삼장(經,律,論) 불교경전(佛敎經典)의 총서(叢書)를 가리킴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화엄경 목판, 대방광불 화엄경 수창연간판,1098년
① 송광사 소장한 보물 1909호
② 2,347매
③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은 송나라의 정원(淨源, 1011∼1088)이 기존의 『대방광불화엄경』 주석서를 적절하게 편차하여 120권으로 엮은 것임
④ 고려 때 대각국사 의천(義天)의 요청으로 수입한 2,900여장의 판본이 국내에서 유통된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왕실 주도로 판각하였고, 이어 명종 연간인 1557∼1564년에는 황해도 귀진사, 1629∼1631년에는 경기도 삭령의 용복사에서 간행한 사실이 있음
 
 
 
▶ 팔만대장경
① 국보 32호,세계문화유산에 등재(1995년),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재(2007년)
② 산벚나무,돌배나무,자작나무를 바닷물에 3년간 두었고 그늘에서 말림
③ 1236~1251년에 새긴 81,258장의 경판에 52,382,960자로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최고의 대장경이며 그 정확성과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음
④ 경남 남해에서 새기고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에 보관하다 1398년(태조7)에 해인사로 옮김
⑤ 6.25동란때 해인사 폭격 명령을 거부한 공군 조종사인 김영환장군 덕택에 보존
⑥ 인물 조각에 보이는오관왕(五官王,지옥에서 망자의 심판을 하는 명부시 왕 중 한명)
 
 
\na-;▼해인사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각
 
 
전쟁중에 정성을 다하고 끈기로 만든 위대한 문화유산이 잘 유지 관리되도록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해인사 홈페이지
 
 
 
\na-;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민족문화대백과, 구글,네이버
 

 
※ 원문보기
고려 대장경(高麗大藏經)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유네스코(UNESCO) 해인사(海印寺) # 세계문화유산
팔만대장경의 인물 판각
(게재일: 2018.12.26. (최종: 2019.11.21. 19:07))  문화재·역사·전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경상남도의 마을
창원시 (昌原市)
마산시 (馬山市)
진주시 (晋州市)
진해시 (鎭海市)
통영시 (統營市)
사천시 (泗川市)
김해시 (金海市)
밀양시 (密陽市)
거제시 (巨濟市)
양산시 (梁山市)
의령군 (宜寧郡)
함안군 (咸安郡)
창녕군 (昌寧郡)
고성군 (固城郡)
남해군 (南海郡)
하동군 (河東郡)
산청군 (山淸郡)
함양군 (咸陽郡)
거창군 (居昌郡)
합천군 (陜川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