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강릉시
자 료 실
마을 소식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참여 시민
(A) 상세카탈로그
예술작품
여행∙행사
안전∙건강
인물 동향
2020년 6월
2020년 6월 25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5월
2020년 5월 2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12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4월
2020년 4월 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3월
2020년 3월 24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1월
2020년 1월 28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1월 22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2월
2019년 12월 30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9년 11월
2019년 11월 1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1월 1일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2019년 10월
2019년 10월 21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자유한국당(대변인) 보도자료
2019년 10월 17일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년 10월 10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10월 8일
충청북도 보도자료
2019년 10월 7일
수원시 보도자료
2019년 8월
2019년 8월 19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7월
2019년 7월 22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7월 3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7월 2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6월
2019년 6월 24일
자유한국당(대변인) 보도자료
2019년 6월 18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6월 7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6월 2일
고대시가
명주가
2019년 5월
2019년 5월 25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5월 21일
풍경사진 갤러리
2019년 1월
2019년 1월 16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1월 14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8년 11월
2018년 11월 20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8년 11월 16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11월 2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8월
2018년 8월 30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7월
2018년 7월 12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8년 6월
2018년 6월 27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5월
2018년 5월 30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5월 18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2018년 3월 13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8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C) 강릉시의 마을

주문진읍
성산면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사천면
연곡면
홍제동
중앙동
옥천동
교동
포남동
초당동
송정동
내곡동
강남동
성덕동
경포동
about 강릉시


내서재
추천 : 0
강릉시(江陵市) 고대 가요(古代歌謠) # 명주가 # 신라가요
최근 3개월 조회수 : 0 (0 등급)
【학습】
(게재일: 2019.06.02. (최종: 2019.06.02. 13:36)) 
◈ 명주가
이 작품은 명주(溟州:지금의 江陵)에서 공부하던 서생(書生)과 양가의 규수 사이에 이루어진 사랑을 읊은 노래이다.
목   차
[숨기기]
 

1. 명주가

무월랑과 연화 이야기
 
신라 중엽 강원도 명주(강릉) 남대천 남쪽 연화봉 밑에 서출지라는연못이 있고, 그 못가에 박연화라는 예쁜 아가씨가 살고 있어 날마다못가에 나와 고기에게 밥을 던져 주었다. 이렇게 몇 해를 지내자 고기떼들은연화의 발걸음 소리만 나도 물 위로 떠올라 모여 들었다. 어느 봄날하루는 연화가 못가에 나와 있으려니까 웬 서생이 자기를 보면서 못가를서성이고 있었다. 여러 날이 지나 그 서생이 한 장의 편지를 떨어뜨리고가므로 이상히 여겨 주워보니 그것은 자기에게 사랑을 고백한 내용이었다. 서생의 이름은 무월랑이었다.
 
다음날 답장을 썼는데, "부모가 계시기때문에 여자로서는 아무렇게나 경거망동할 수 없는 것입니다. 부디 당신이저를 사랑하신다면 더욱 글공부에 힘써서 입신양명을 하시면 그때 부모의승낙을 받아서 당신의 아내가 되겠습니다. "라는 내용이었다. 그말에 감동된 무월랑은 서울(경주)로 가 열심히 학문에 전념하고 있었다. 한편 연화의 집에서는 나이가 과년하므로 혼처를 정하고 오래지 않아날을 받아 성례를 시키려 했다. 그를 안 연화는 편지를 써가지고 못가에나와, "너희들은 오랫동안 내 손에 밥을 먹고 자라 왔으니 내 간절한사정을 서울로 간 뒤 한 장의 편지조차 없는 낭군에게 전해다오."라고사람에게 말하듯 하면서 그 편지를 물 위에 던졌다. 그러자그 중에 가장 큰 잉어가 편지를 물고 물속으로 들어가 가 버렸다.
 
한편 서울에 온 무월랑은 어느날 어머니에게 드리려고 큰 물고기를한 마리를 사가지고 와 배를 가르니 이상스럽게도 그 속에 편지 한 장이있으므로 펼쳐보니 그 편지는 분명 연화가 자기에게 보낸 급한 사연이었다. 이를 보고 무월랑은 자기 부모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하고 그 길로 명주로말을 달려가니 마침 새신랑이 문으로 막 들어가려는 순간이었다. 급히가로막고 연화의 부모를 불러 그들의 진실한 사랑 관계를 이야기하니그 부모가 이르기를, " 이 지극한 정성이야말로 진정 하늘까지뜻이 통할 만한 일이다."라고 하면서 새신랑을 보내고 무월랑을사위로 삼았다.(출처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2. 요점 정리

• 주제 : 잉어의 보은으로 인한 사랑의 결실
 
이 작품은 명주(溟州:지금의 江陵)에서 공부하던 서생(書生)과 양가의 규수 사이에 이루어진 사랑을읊은 노래이다. 처녀가 연못에 던진 편지를 잉어가 물고 갔는데, 서울에서과거에 급제한 서생이 부모에게 드리려고 사온 물고기 뱃속에서 발견되어마침내 가연을 맺는다는 내용
 
 

3. 내용 연구

실제로 주인공 무월랑은 족보에 명시된 대로신라 때 시중벼슬까지 지냈고 사후에 왕으로까지 추존된 사람으로, 그시대와 인물이 밝혀졌고 강릉 남대천에는 당시 서출지까지 보존되어있으며, 그곳에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무월랑의 '월(月)'자와 연화의 '화(花)'를 딴 '월화정'이 있어 이 설화가 사실임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 설화는 잉어가 자기를 길러준 주인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자기를희생하여 주인의 편지를 전달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보은 설화의 한유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설화는 고전소설 '춘향전'과 여러 가지면에서 유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 곧 서생이 유학하러 명주에 갔다가한 양가녀를 만난 부분은 이도령이 부친을 따라 남원에 가서 광한루의결연으로 춘향과 통정하는 장면과 흡사하고, 또 서생이 경사로 돌아와거업을 익히는 부분은 이도령이 한양으로 돌아와 시서·백가어를익혀 등과하는 장면과 흡사하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점에서 '춘향전'의근원설화로 보는 견해도 있다.
 
 

4. 이해와 감상

신라 가요의 하나로 원가는 전하지 않고 작품명과전승 설화가 '고려사'악지, '증보문헌비고'권106 악고 17 속악부, '강릉김씨파보','강릉김씨세계' 등에 전한다. 문헌에 따라 제작 연대와 작자가 다르게 추정된다. '고려사'에의하면, 작자는 설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서생이며, 시대는 고구려조에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고구려가요라고 보았다. 이와 달리 '증헌문헌비고'에서는명주는 고구려시대의 지명이 아니고 신라 때 개칭한 지명이므로 신라의가요로 볼 수 있는 한편, 설화의 내용에 나오는 과거제도가 고구려에는없었기 때문에 고려악이 아닌가도 의심하고 있다.
 
이 경우도 작자는 설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서생이다. 그러나 '강릉김씨파보'나 '강릉김씨세계'이 설화내용으로판단해 볼 때 작자는 설화의 주인공인 신라 진평왕 때 사람 김무월랑이되며, 이에 따라 작품의 시대도 신라가 된다. '고려사'의 기록인, "드디어이 노래를 불렀다."는 기록을 믿는다면 노래를 지은이도 무월랑이라는말이 성립된다.
 
그간 학계에서는 '고려사'에 기록된 '탁제거업(과거를보아 합격함)'이라는 어구에 얽매어 고려의 가악이라고도 보았고, 고구려의가요로도 보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과거제도가 신라의 독서삼품과로대치, 설명된다. 그렇다면 이 노래는 통일신라 때 발생하여 궁중악으로채택된 것이 고려로 전해졌다고 보는 편이 타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자·연대의 혼효에도 불구하고 '명주가'와 관련된전승설화의 내용은 대체로 일치한다.
 
 

5. 심화 자료

 
• 남대천
 
강원 강릉시를 흘러 동해로 들어가는 강으로위치는: 강원 강릉시이고, 길이는 51.3 km 로 강릉시 왕산면(旺山面) 대화실산(大花實山:1,010 m)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다가 왕산 ·성산(城山) ·구정(邱井) 등 3면의 경계부에서, 역시 왕산면에서 발원하는 지류를 합친 뒤, 성산면과 구정면의 경계를 북동류하고, 강릉 시역(市域)에 들어와서 동북동으로 유로를 바꿔 강릉 시가지 남쪽을 거쳐 하구부에서 섬석천(剡石川)을 남안(南岸)으로 받아들이면서 동해로 흘러들어간다.
 
상류의 산지에서는 좁은 곡저평지(谷底平地)를 대상(帶狀)으로 형성하고, 하류의 해안에서는 영동(嶺東) 해안평야 중 가장 넓은 평야의 하나로 꼽히는 유역평야를 형성하여 영동 제일의 도시 강릉시를 발달시키고 있다. 대관령(大關嶺)을 넘는 영동고속도로가 이 강의 곡지(谷地)를 따라 달리고 있으며, 강릉 시역에는 영동선 철교 외에 4개의 교량이 가설되어 있다.
 
신라 진평왕 때 김무월랑(金無月郞)이 지은 가요.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고 작품명과 전승설화가 ≪고려사≫ 악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 17 속악부, ≪강릉김씨파보 江陵金氏派譜≫·≪강릉김씨세계 江陵金氏世系≫ 등에 전한다.
문헌에 따라 제작연대와 작자가 다르게 나타난다. ≪고려사≫에 의하면, 작자는 설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서생(書生)이며, 시대는 고구려조에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고구려가요라고 보았다.
이와 달리 ≪증보문헌비고≫에서는, 명주(溟州)는 고구려시대의 지명이 아니고 신라 때 개칭한 지명이므로 신라의 가요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또 설화의 내용에 나오는 과거제도가 고구려에는 없었기 때문에 고려악이 아닌가도 의심하고 있다. 이 경우도 작자는 설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서생이다.
그러나 ≪강릉김씨파보≫나 ≪강릉김씨세계≫의 설화내용으로 판단해볼 때 작자는 설화의 주인공인 신라 진평왕 때 사람 김무월랑(金無月郎 : 惟靖公의 別號로 爲靖·惟正·惟端이라고도 하며, 강릉김씨의 시조인 金周元의 아버지)이 되며, 이에 따라 작품의 시대도 신라가 된다.
≪고려사≫의 기록인, “드디어 이 노래를 불렀다(遂歌此曲).”는 기록을 믿는다면 노래를 지은이도 무월랑이라는 말이 성립된다.
그간 학계에서는 ≪고려사≫에 기록된 ‘탁제거업(擢第擧業 : 과거를 보아 합격함.)’이라는 어구에 얽매어 고려의 가악이라고도 보았고, 고구려의 가요로도 보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과거제도가 신라의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라는 것과 대치, 설명된다. 그렇다면 이 노래는 통일신라 때 발생하여 궁중악으로 채택된 것이 고려로 전해졌다고 보는 편이 타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자·연대의 혼효(混淆)에도 불구하고 〈명주가〉와 관련된 전승설화의 내용은 대체로 일치한다. ≪강릉김씨파보≫에 전하는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 중엽 강원도 명주(지금의 강릉) 남대천(南大川) 남쪽 연화봉 밑에 서출지(書出池)라는 연못이 있고, 그 못가에 박연화(朴蓮花)라는 예쁜 아가씨가 살고 있어 날마다 못가에 나와 고기에게 밥을 던져 주었다. 이렇게 몇 해를 지내자 고기떼들은 연화의 발걸음 소리만 나도 물 위로 떠올라 모여들었다.
어느 봄날 하루는 연화가 못가에 나와 있으려니까 웬 서생이 자기를 보면서 못가를 서성이고 있었다. 여러 날이 지나 그 서생이 한 장의 편지를 떨어뜨리고 가므로 이상히 여겨 주워보니 그것은 자기에게 사랑을 고백한 내용이었다. 서생의 이름은 무월랑이었다.
다음날 답장을 썼는데, “부모가 계시기 때문에 여자로서는 아무렇게 경거망동할 수 없는 것입니다. 부디 당신이 저를 사랑하신다면 더욱 글공부에 힘써서 입신양명을 하시면 그때 부모의 승낙을 받아서 당신의 아내가 되겠습니다.”라는 내용이었다. 그 말에 감동된 무월랑은 서울(경주)로 가 열심히 학문에 전념하고 있었다.
한편 연화의 집에서는 나이가 과년하므로 혼처를 정하고 오래지 않아 날을 받아 성례를 시키려 하였다. 그를 안 연화는 편지를 써가지고 못가에 나와, “너희들은 오랫동안 내 손에 밥을 먹고 자라왔으니 내 간절한 사정을 서울로 간 뒤 한 장의 편지조차 없는 낭군에게 전해다오.”라고 사람에게 말하듯 하면서 그 편지를 물 위에 던졌다. 그러자 그 중에 가장 큰 잉어가 편지를 물고 물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한편 서울에 온 무월랑은 어느 날 어머니에게 드리려고 큰 물고기 한 마리를 사 와서 배를 갈랐다. 이상스럽게도 그 속에 편지 한 장이 있어 떼어보니 분명 연화가 자기에게 보낸 급한 사연이었다. 이를 보고 무월랑은 자기 부모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하고 그 길로 명주로 말을 달렸다.
명주에 도착하니 마침 새신랑이 문으로 막 들어가려는 순간이었다. 급히 가로막고 연화의 부모를 불러 그들의 진실한 사랑 관계를 이야기하였다. 연화의 부모가 이르기를, “이 지극한 정성이야말로 진정 하늘까지 뜻이 통할만한 일이다.”라고 하면서 새신랑을 보내고 무월랑을 맞아서 사위로 삼았다.
 
실제로 주인공 무월랑은 족보에 명시된 대로 신라 때 시중(侍中) 벼슬까지 지냈고 사후에 왕으로까지 추존된 사람으로, 그 시대와 인물이 밝혀졌다. 강릉 남대천에는 당시의 서출지까지 보존되어 있으며, 그곳에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무월랑의 ‘월(月)’자와 연화의 ‘화(花)’자를 딴 ‘월화정(月花亭)’이 있어 이 설화가 사실임을 입증해주고 있다.
이 설화는 잉어가 자기에게 먹이를 주어 길러준 주인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자기를 희생하여 주인의 편지를 전달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보은설화의 한 유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설화는 고전소설 〈춘향전〉과 여러가지 면에서 유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 곧, 서생이 유학하러 명주에 갔다가 한 양가녀를 만난 부분은 이도령이 부친을 따라 남원에 가서 광한루의 결연으로 춘향과 통정(通情)하는 장면과 흡사하다.
또 서생이 경사(京師)로 돌아와 거업(擧業)을 익히는 부분은 이도령이 한양으로 돌아와 시서(詩書)·백가어(百家語)를 익혀 등과하는 장면과 비교된다. 이러한 점에서 〈춘향전〉의 근원설화로 보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高麗史, 增補文獻備考, 江陵金氏派譜, 江陵金氏世系, 韓國詩歌史綱(趙潤濟, 乙酉文化社, 1958), 韓國詩歌의 民俗學的 硏究(金善淵, 螢雪出版社, 1977), 한국문학통사 1(조동일, 지식산업사, 1982), 溟州歌再硏究(金善淵, 韓國文學論, 日月書閣, 1981).(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체계
(C) 강원도의 마을

춘천시 (春川市)
원주시 (原州市)
강릉시 (江陵市)
동해시 (東海市)
태백시 (太白市)
속초시 (束草市)
삼척시 (三陟市)
홍천군 (洪川郡)
횡성군 (橫城郡)
영월군 (寧越郡)
평창군 (平昌郡)
정선군 (旌善郡)
철원군 (鐵原郡)
화천군 (華川群)
양구군 (楊口郡)
인제군 (麟蹄郡)
고성군 (高城郡)
양양군 (襄陽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