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고려 가요(高麗歌謠)
고려 가요
자 료 실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2019년 6월
2019년 6월 8일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상저가(相杵歌)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고려가요
2019년 6월 2일
고대시가
about 고려 가요


내서재
추천 : 0
고려 가요(高麗歌謠) 상저가(相杵歌)
최근 3개월 조회수 : 28 (2 등급)
【학습】
(게재일: 2019.06.08. (최종: 2019.06.08. 17:04)) 
◈ 상저가(相杵歌)
지은이 및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때의 노래. 모두 4귀로 된 노래로, 《시용향악보》에 실려 전한다.
목   차
[숨기기]
덜커덩 방아나 찧어(찧세) 히얘,
거친밥이나 지어서 히얘,
아버님 어머님께 드리옵고 히야해,
남거든내가 먹으리, 히야해 히야해.
 

 
 

1. 요점정리

• 작자 : 미상
• 연대 : 고려 시대
• 종류 : 고려속요, 노동요
• 형태 : 비련시
• 성격 : 유교적, 서민적, 직설적인 표현으로 효심이 담겨 있음
• 구성 : 4행의 비련시
 
1행 곡식을찧음
2행 밥을지음
3행 부모님에대한 봉양
4행 남는밥을 먹겠다는 효심
 
• 표기 : 반치음이사용된 것으로 보아 16세기 이전에 정착되었으리라고 짐작된다.
• 제재 : 방아 찧는 촌부
• 주제 : 촌부의 소박한 효심, 부모에 대한 효도
• 표현 : 직설적 표현으로 노동요인 방아타령의 형태를 갖고 있고, 영탄법, 반복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경쾌한 느낌의 여음구를사용하고 있으며, 농촌부녀자의 소박한 정서가 나타남
• 의의 : 촌부의 소박한 생활 감정이표현된 민요로 농촌 풍속과 함께 효심을 노래한 고려 가요로 고려 가요중유일한 노동요로 보는 견해가 많다.
 
 

2. 내용연구

상저가 : '상저'의 '저'는 '절굿공이'라는 뜻으로 방앗노래 '상저'란 여자들이 절구에 둘러서서방아를 찧는다는 뜻
 
덜커덩[덜커덩 쿵더쿵 등의 방아 찧는 소리 / 의성어] 방아나 찧어(찧세) 히얘[방앗고를 조절하고 숨을 돌리기위해 부르는 감탄사. 조흥구. 여음구],[방아를 찧을 때의리듬감을 느낄 수 있는 부분으로 옛사람들의 식문화를 알 수 있다.]
거친[게우즌 : 거친, 조악한으로 기본형은 '게읓다'] 바이나[밥이나 / 화자가부유한 계층이라기보다는 서민층임을 짐작할 수 있음] 지어서 히얘,[통상 '거친 밥'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렇게 되면 문맥이 조금 어색하기에현대어에서 밥이 진 것을 게질게질하다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게우즌'을이 말과 관련시켜서 지룩한 밥을 짓는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아버님 어머님께 드리옵고 히야해,[부모님께새 밥을 드리겠다는 태도에서 시적 화자의 효심을 읽을 수 있다.]
남거시든[남기시거든, 남으면] 내가 머고리(먹으리)[가난한생활과 효심이 어우러져 화자의 아름다운 마음이 소박하게 드러나 있는구절로 상대에 대한 화자의 정서 및 태도가 드러남], 히야해 히야해.
 
 

3. 이해와감상

이 노래는 일종의 노동요로, 부모를 위하여찧는 고려 시대 여성의 정경이 눈에 선하다. 특히 방아찧는 소리의 의성에서시작한 이 노래는 '히얘'하는 메김 소리의 중복으로 숨을 돌리며 일하는노동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거친 밥이나마 지어 부모님께 드리고, 남는 것이 있으면 그것을 자기가 먹겠다는 가난한 서민의 효심이 나타나있고, 촌부의 소박한 마음을 읽을 수 있다.
 
 

4. 심화자료

• 상저가
 
고려 속요의 한 곡명. 조선 초기의 악보인 ≪시용향악보≫에 가사와
악보가 전한다. 이 노래는 사설의 내용으로 보아 방아타령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사설의 뜻은 “들커덩 소리나는 방아지만, 하찮은 밥이라도 지을 수 있음이 다행이로다. 시아버지 시어머니께 먼저 밥상을 차려드리고 남는 것이 있거든 내가 먹으리다.”라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설은 민요의 선소리와 뒷소리를 연상시켜 주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사설은 평조의 악조로서 16정간보 16행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한편, ≪시용향악보≫의 〈상저가〉는 1976년 김기수(金基洙)에 의해 편곡, 재현되었는데, 김기수는 ≪시용향악보≫ 등에 전하는 〈상저가〉를 고악보의 내용에 근거하고, 나름대로의 재해석을 통하여 관현악 반주를 수반하는 중창형식으로 재구해 내었던 것이다. 이 음악이 ≪한국음악≫ 제7집에 전한다.(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황의 상저가
 
고금가곡
 
어와 계장님  이 방하   허스라
이방하  흘젹의 방하노래 내 부르마
태고적 혼돈야 곡식이 업돗더니
신농씨시험야 장기  부  근 후에
후직씨  흘보다 논밧츨 분별니
논밧치삼겻거니 곡식인들 입슬소냐
곡식이 비록 난들  허 아니 먹을소냐
심산(深山)의도든 남글 돗 로 버혀소냐
확 안치고 고맛초아 거러내니 방하로다
고리키를 나와 노코 우기거니 씻기거니
명주(明珠)를 우희     백옥(白玉)을     듯
입입(粒粒)히 신고(辛苦) 것  혀 한  들닐셔라
우물의물을 기러 일거니 씻거니
소밋희 불을  여 지어내니 밥이로다 (중략)
우리도이 방하  허내야 부모 공양 리라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참조 : 향가, 고려가요, 경기체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