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문화재·역사·전
문화재·역사·전
2015년
  2015년 5월
2015년 5월 23일
2015년 5월 16일
윤봉길 의사義士 기념관 탐방기
2015년 5월 12일
about 문화재·역사·전
내서재
추천 : 0
(2019.11.21. 19:07) 
◈ 윤봉길 의사義士 기념관 탐방기
광복 70주년을 맞이하여 "사나이 뜻을 세워 집을나가면 공을 이루지 않고서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으리"라는 글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 양재시민의 숲에 있는 매헌(梅軒) 윤봉길 기념관(관장 윤주: 윤의사 친조카)에 대하여 적습니다. 양재 시민 공원에는 윤봉길 기념관과 동상 및 숭모비, 대한항공기 피폭희생자 위령탑, 삼풍참사 위령탑, 백마부대 충혼탑 등이 있으며 숲이 좋아 연인들 만나는 장소, 야외 예식장, 어린이 놀이터 그리고 각종 모임 등 다양한 행사 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광복 70주년을 맞이하여 "사나이 뜻을 세워 집을나가면 공을 이루지 않고서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으리"라는 글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 양재시민의 숲에 있는 매헌(梅軒) 윤봉길 기념관(관장 윤주: 윤의사 친조카)에 대하여 적습니다. 양재 시민 공원에는 윤봉길 기념관과 동상 및 숭모비, 대한항공기 피폭희생자 위령탑, 삼풍참사 위령탑, 백마부대 충혼탑 등이 있으며 숲이 좋아 연인들 만나는 장소, 야외 예식장, 어린이 놀이터 그리고 각종 모임 등 다양한 행사 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윤봉길 기념관 개요
 
▶건립취지 : 윤봉길의사의 업적과 살신성인(殺身成仁) 정신의 높은 뜻을 기리고, 계승 발전시키며, 선양하기 위하여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가 주관하여 국민들의 성금으로 서울 양재 시민의 숲 안에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관을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 찾아가기 : 지하철 신분당선 매헌역(양재시민의 숲역) 5번 출구
 
▶시설규모 : 1988년 12월 1일에 준공된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관은 대지 1,996평, 연건평 743평, 지하 1층 지상 3층건물로 윤의사의 유품과 생애사진,훈장 그리고 항일독립운동 관련사진 등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승용차 50대규모 주차장 그리고 기념관 옆에 윤봉길의사 동상과 숭모비가 있습니다.
 
▶기념관 관람 : 무료입장이며 하절기(4월 10월)에 10시 ~ 18시, 동절기(11월~3월)는 10시 ~ 17시까지 개장하며 매주월요일, 설날ㆍ추석연휴 휴관입니다.
 
▶현재 국가보훈처가 아닌 사단법인 매헌기념사업회(☎ 02-578-3388)가 기념관을 관리,운영 중으로 적자 운영이라 기념관을 폐관한다는 얘기(2013. 9월 뉴스)를 들은 바 있습니다. 그만큼 어렵다는 얘기로 들립니다만 기념관이 폐관돼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며 폐관할 정도로 재정이 안좋다면관리주체를 사단법인 윤봉길 기념사업회에서 국가 관리로 변경하는 등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개인의 영달이나 이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국가를 위하여 순국했기 때문이고 또한 이런 뜻깊은 기념관이 문 닫게 되면 앞으로 누가 국가를 위해 목숨을 버리겠으며 이런 애국지사를 푸대접하는 조국에서 학생과 국민들은 무엇을 배우고 느끼겠습니까?
 
더구나 중국 상해 홍구공원의 윤봉길의사 기념관은 상해의거 제83주년 기념일인 2015.4월에 재개관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서울 양재동에 있는 윤의사 기념관을 폐관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겠지요.
 
▶여러분의 진심어린 관심과 방문을 원하며 기념관이 영원토록 유지 발전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숭모비 :기념관에서 윤봉길 의사 동상 가는 길에 있는 숭모비의 천추의열(千秋義烈)은 "오래고 긴 세월에 빛날 충의로 아주 열렬하게 행동한 인물" 이란 뜻입니다.
 
 
 
● 동상 : 양재 시민의 숲의 매헌 윤봉길 의사 동상 안내문
 
 
 
높이 9.2m의 청동상
 
 
 
 
 
 
 
●기념관 건물 외관
 
 
 
현판 : 성천(星泉) 유달영의 현판 글씨(柳達永,1911.4.8 ~ 2004.10.27)
 
 
 
상해의거 83주년 행사 현수막
 
 
 
윤봉길 의사 연보
 
 
 
● 기념관 내 윤의사 어록
사람은 왜 사는냐.
이상을 이루기 위해서 산다.
보라! 풀은 꽃을 피우고 나무는 열매를 맺는다.
나도 이상의 꽃을 피우고 열매 맺기를 다짐 하였다.
 
우리 청년시대에는 부모의 사랑보다 형제의 사랑보다
처자의 사랑보다도 더 한층 강의(剛毅)한 사랑이 있는 것을
깨달았다. 나라와 겨레에 바치는 뜨거운 사랑이다.
 
나의 우로(雨露)와 나의 강산과 나의 부모를 버리고라도
그 강의한 사랑을 따르기로 결심하여 이 길을 택하였다.
 
 
 
윤의사 흉상
 
 
 
기념관 들어가서 좌측 대형 그림
 
 
 
우측 그림
 
 
 
방문객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실내 동상이며 선서문 쓰기등 어린이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 들어가서 좌측 1층 전시실
 
 
 
 
 
 
 
 
 
 
 
 
 
유물 : 회중시계. 벼루, 서책, 등잔, 식기,책상, 안경집,인장, 지갑과 지폐 및 동전,손수건
 
 
 
회중시계 : 백범 김구와 윤봉길의사 유품
 
윤봉길(1908 ~1932)의사가 한인애국단 입단 선서식(1932.4.26) 직후에 구입하여 간직하다 거사(擧事)를 위해 홍구공원(虹口公園)으로 떠나는 날 아침에 김구선생의 시계와 맞바꾼 것으로, 윤봉길의사의 유품이면서 김구선생의 유품으로, 거사에 임한 두 분의 애국·독립정신을 헤아릴만한 유물로서 상징적 가치가 큽니다. 이 금색 회중시계(懷中時計)는 Waltham사에서 만든 것으로 시계줄 끝에 작은 나침반이 달려 있으며, 하트형의 꽃무늬가 은도금되어 있는 덮개를 열면 12방위가 한자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규격 : 직경 45mm, 재료 : 금속, 제작시기 : 1900년대 초반 >
 
 
 
● 들어가서 우측 동영상실의 생애도 전시 자료 입니다.
 
 
 
 
 
 
 
 
 
 
 
장부출가생불환 :
사나이 뜻을 세워 집을나가면 공을 이루지 않고서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으리
 
 
 
젊은 시절 사진과 사랑하는 어머니에게 올리는 글
 
 
 
물통 폭탄과 도시락 폭탄 모형과 폭탄 제조한 사람들
 
 
 
상해의거 전 선서문과 김구 주석과 함께 찍은 사진
 
 
 
두아들에게 보낸글
 
너희도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하여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한잔 술을 부어 놓으라. 그리고 아비 없음을 슬퍼하지 말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
 
 
 
김구 주석과 바꾼 시계
 
 
 
 
 
 
 
상해 수감 사진, 아래는 수감 신분장
 
 
 
사형순간
 
 
 
유해발굴과 봉환
 
 
 
김구선생과 가족들, 아래 좌측은 천안 독립기념관내 동상
 
 
 
효창공원의 묘
 
 
 
★ 윤봉길 의사의 유품인 자필 이력서를 보면 팜플릿과 전시실에서 적힌 것과 차이가 있는데 어느 것이 정확한 기록인지 알고 싶습니다?
 
①생년월일 차이 : 팜플릿과 전시실 연보를 보면 1908년 6월21일로 되어있습니다만 자필의 이력서를 보면 무신년(1908년) 5월 22일생으로 되어 있는데 본인의 생일을 잘못 기록할 이유도 없으며 그 당시 태어난 사람 대부분 음력으로 생일을 표시하므로 윤봉길 의사의 음력생일을 양력으로 환산하니 1908년 6월 20일이 됩니다. 또한 서력(西曆) 1901년으로 적혀있습니다?
 
윤봉길 자필 이력서
 
 
 
 
 
② 출생지번 차이 : 전시실 연보에서 윤봉길 의사 출생 지번이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78번지로 되어있으나 이력서의 본적에는 시량리 139번지로 되어 있습니다. 혹 광현당과 저한당의 주소를 혼동한 것은 아닐런지 생각해봅니다.
 
 
 
● 팜플릿
 
 
 
 
 
 
 
 
 
 
 
\na-;출처: 네이버, 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공원관리소,문화재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원문보기
문화재·역사·전
• 한양도성길에서 무엇을 볼까? 말바위 ~ 창의문
• 윤봉길 의사義士 기념관 탐방기
• 윤봉길 의사(義士)는 무엇을 위해 폭탄을 던졌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