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조화전가(嘲花煎歌) ◈
카탈로그   본문  
홍원장
이 작품은 18세기에 필사된 《잡록》에 〈반조화전가〉 등의 가사 작품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조화전가〉는 화전가를 조롱한다는 뜻으로 여자들이 봄에 한 차례 화전놀이를 즐기는 것을 남자의 입장에서 조롱하는 내용이다. 《잡록》의 필사자인 안동 권씨는 이에 대해 〈반조화전가〉를 지어 이 작품에 화답했다고 한다.
1
됴화전가(嘲花煎歌)
 
 
2
어와 가(可笑)로다 우리 일 가(可笑)로다
3
수삼원(數三元) 경영(經營) 일 허공논(虛事空論) 되거고야
4
츈광(春光)을 원망(願望)하고 풍경(風景)을 일을 삼아
5
한 슈(梅樹) 의디야 츈(春)쇼식 라더니
6
강호(江湖)의 봄이 드니 곳곳마다 츈의(春意)로다
 
7
* 수삼원(數三元) : 상원(上元)·중원(中元)·하원(下元), 각각 1월 15일, 7월 15일, 10월 15일을 가리킴.
 
 
8
년광(煙光)이 어 곳의 두견(杜鵑)이 만발니
9
쳔봉만수(千峯萬樹)의 가디마다 향긔로다
10
년광(煙光)도 됴하 뵈고 물(物色)도 새로왜라
11
이러 됴흔 경(景)의  좃차 삼월이라
12
남(男子) 풍경 가져이셔 허송(虛送) 광음(光陰) 부졀업다
13
호탕(浩蕩) 밋친 흥을 부졀없이 아내야
14
명녀(明麗) 져 강산의 회(徘徊) 완경(玩景) 려하고
15
나계(羅溪)라 샹하촌(上下村)의 두세 친구 모다 안자
16
맛바회 됴흔 경의 젼화(傳話) 려 고
17
안면 의논고 만나면 언약(言約)야
18
젹슈공권(赤手空拳) 가져이셔 일 븬말 이로다.
 
19
* 나계(羅溪) : 지명. 소라(召羅) 앞으로 흐르는 내
20
* 적수공권(赤手空拳) : 맨손과 맨주먹.
 
 
21
풍경이야 됴타만은 뷘입가져 무엇리
22
일승곡(一升穀) 못엇거든
23
분(白粉) 쳥유(淸油) 긔 뉘 내리
24
의논이 불일(不一)여 쳔연(遷延) 지금(只今) 엿더니
25
시졀(時節)이 말셰(末世)되니 고이 일 하고 만타
 
26
심규(深閨)의 부녀(婦女)들은 완경(玩景)줄 어이 아라
27
슈동셔(水東西) 오가(四五家)의
28
단찰(短札)이 오락가락
29
막덕이 불너내야 우군슈군 젼갈니
30
귀예다혀  말이 가댱(家長)알가 저허
31
갈날을 굴디(屈指)니 손톱이 다 다
32
우즐기 거동이아 일구난셜(一口難說) 다 못다
33
녜 업던 분(白粉) 쳥유(淸油) 긔 어드러 삼겨난고
34
호다마(好事多魔)고 조물(造物)이 새임나
35
동풍(東風) 어제비예 전계슈(前溪水) 대챵(大漲)니
36
근근(近者近) 의논 일 대(大事)낭패(狼狽) 거고야
 
37
* 일구난설(一口難說) : 한 말로 다 설명할 수 없음
38
* 호사다마(好事多魔) :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되는 일이 많음.
 
 
39
도자안자 걱뎡긋 아우 무일고
40
낙심쳔만(落心千萬) 이업서 호텬탄식(呼天歎息) 이로다
41
그즁의 다 긔니 왜쥬(外主)6)딜 거고야
42
막동이 분부야 리 노히거다
43
친 눈물 고쳐 고 마조안자 웃고야
 
44
* 수삼원(數三元) : 상원(上元)·중원(中元)·하원(下元), 각각 1월 15일, 7월 15일, 10월 15일을 가리킴.
45
* 외주(外主) : 바깥주인 노릇
 
 
46
삼연 묵은 남져구리 다시내야 떨쳐닙고
47
허튼 머리 다흔겻 양각(羊角) 흑각(黑角) 무일고
48
아 단장 그만소 듕텬(中天)의 날 느젓
49
동녘집 져리 오소 셧녁사 이리 가
50
쳥뇽(靑瀧)긋 좁은 길 녹의홍상(綠衣紅裳) 구경일다
 
51
* 양각(羊角) 흑각(黑角) : 양뿔, 소뿔 모양으로 머리를 위로 땋아 올림
52
* 녹의홍상(綠衣紅裳) : 연두저고리에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젊은 여자의 고운 옷차림을 이르는 말.
 
 
53
어와 고이(怪異)다 녀인국(女人國) 여긔런가
54
세강쇽말(世降俗末) 이업서
55
곤도셩남(坤道成男) 야셰라
56
분벽사창(粉壁紗窓)은 부녀의 딕힐 배오
57
강산완경(江山玩景)은 남 일노 드럿더니
58
오일 보와니 녯말이 각이(各異)다
 
59
* 세강속말(世降俗末) : 세상이 그릇되어 풍속이 어지러움.
60
* 곤도성남(坤道成男) : 乾道成男坤道成女(건도성남 곤도성녀). 하늘의 도로서 남성을 이루고, 땅의 도로서 여성을 이룸. 여기서는 이를 뒤집어 땅의 도리로 남성을 이루었다고 표현함.
61
* 분벽사창(粉壁紗窓) : 하얗게 꾸민 벽과 비단으로 바른 창문. 여자가 거처하는 아름답게 꾸민 방
 
 
62
규듕(閨中) 부녀 산슈간(山水間)의 완경(玩景)고
63
풍뉴(風流) 남 독좌(獨坐) 공당(空堂) 여세라
64
슈빈(水濱)의 샹하(上下)들 됴 경(景)을 어이알니
65
연녹(軟綠) 방초(芳草) 안의 단쳥(丹靑) 구경 시가
 
66
광풍(光風)이 죵일(終日)니 화젼(花煎)도 경이(驚異)업다
67
전후산(前後山) 두견화(杜鵑花)를 다 어 모화 내야
68
무든 약간 을 계유 구퍼 마 보고
69
인(人事) 부디(不知) 아들은 눈츼 몰나 달나 
70
다래며 디며 드러져러 죵일(終日)니
71
라고 란일이 무 흥황(興況) 이실손가
 
72
가댱(家長)의 업 흉을 규규(叫叫)이셔 홧덜고
73
세간사리 염댱(鹽醬) 걱뎡 말긋마다 절노나니
74
져 셜(辭說) 긴 셜(辭說)의 눈물은 무일고
75
반날이 못여셔 져녁 각 밧브거든
76
별계(別界) 쳥승(靑勝)을 무 경의 구경리
77
집의 아 각여 낫븐 못다 먹고
78
가만 슈건 쳐내여 각각 고 니러나니
79
창황(惝怳)히 가 거동(擧動) 볼록 즛업고야
 
80
* 염장(鹽醬) : 간장과 된장
 
 
81
무 일노 와겻다가 무엇보고 가시고
82
산녕(山靈)도 셩을 내고 하(河伯)도 긔롱((欺弄)
83
년화동텬(蓮花洞天)이 무단히 욕을 보니
84
고현(高峴?) 당구소(?)의 져거시 무일고
85
쳥강(淸江)의 여흘 소 격분(激奮)여 슬피울고
86
당져(漟低)의 나 풀이 실(失色)여 푸거든
87
 놀난 산됴(山鳥)들이 디디기 고이(怪異)랴
 
88
* 하백(河伯) : 물을 맡아 다스린다는 신.
89
* 연화동천(蓮花洞天) : 연꽃 핀, 경치가 빼어나게 아름답고 좋은 곳. 경북 영주의 지명이기도 함.
90
* 고현(高峴) 당구소 : 지명인 듯. ‘고현’은 언덕이름, ‘당구소’는 연못 이름. 경북 영주에 고치령이 있음.
 
 
91
동(東臺)예 벽도화(碧桃花) 피다가 반만 웃고
92
뎡젼(渟前)의 양뉴디(楊柳枝) 보내고 춤을 추니
93
그 (行次) 블긴(不吉) 줄 초목(草木)도 져러커든
94
유식군(有識君子)야 비웃기 고이랴
 
95
각매 참괴(慙愧)니 허희탄식((歔欷歎息) 이로다
96
우리 흔 남들은 일녀(一女子)만 못여서
97
긔약(旣約) 일 허(虛事)되니 그 아니 가(可笑)온가
98
츈광(春光)이 부로니
99
강산승경(江山勝景)의 노라볼가 노라
【원문】조화전가(嘲花煎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36
- 전체 순위 : 1416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95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조화전가 [제목]
 
  # 홍원장 [저자]
 
  # 잡록 [출처]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조화전가(嘲花煎歌)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8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