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등록순
|
|
2024.07.15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몽골 문화부 국립문화유산센터(센터장 한글표기(Galbadrakh ENKHBAT))와 오는 7월 15일부터 26일까지 척틴 차강 바이신 성(Tsogtyn Tsagaan Baishin Castle) 유적과 간단치그늘렌 사원(Gandantegchenlin Monastery) 유적에 대해 안전과 보존상태를 점검하는 공동조사를 하기로 했다.【국립문화재연구원, 안전방재연구실】
|
|
|
|
2024.03.08
|
|
|
【문화】
폭설의 피해 몽골 조드에 대하여...
올해 겨울은 유난히 눈도 많이 내리고 추운 날이 많다. 한국도 눈이 많이 내렸지만, 눈이 잘 안 내리는 일본 도쿄와 간토 지역에도 2024년 2월 7일 대폭설이 내려 전철이 멈추고 하네다공항에 비행기가 30편이나 결항하는 등 도심이 혼란에 빠지고 대도시가 마비되었다. 3월 5일에도 폭설이 내렸다.
|
|
|
|
2023.12.17
|
|
|
【문화】
단잔 라브자의 정신적 유산을 지키는 타반 도키오는 과거 수도원의 모습을 차근차근 복원하고 있다. 샤인사드 도시 중심에는 단잔 라브자의 동상이 있다. 그런데 놀랍게 동상 어깨에 전갈이 기어가고 있고, 공중 부양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불교에서는 도력이 깊은 승려들은 대중 앞에서 깊은 내공을 보여준 사례가 여러 번 있다. 동국대 황순일 불교학 교수는 네팔에서 인도 고고학 자료를 통해 부처님의 공중 부양 유물을 알려주었다.
|
|
|
|
2023.12.16
|
|
|
【문화】
몽골 고비사막을 10일 동안 어렵게 통과하고, 몽골에서 가장 높은 타왕복드(4374m)산까지 갔다가 다시 10일 걸려 몽골 수도인 울란바토르로 돌아왔다. 비행기를 타고 인천공항으로 돌아오면서 다음에 방문할 몽골 동부 지도를 펼쳐보았다. 고비사막 동부에 있는 샤인사드(Sainshand)는 사막을 횡단하는 사람들이 거쳐 가는 도시로 한국의 자전거 여행가 이호선 씨와 이탈리아 등산가 라인홀트 메스너가 지나간 곳이다.
|
|
|
|
2023.10.02
|
|
|
【문화】
방카르의 털은 겨울에 매우 풍성하고 긴 경향이 있다. 털은 약 3-4인치(9cm)로 매우 두꺼운 속 털이 있다. 그러나 몽골의 광활함과 기후의 변화로 인해 방카르는 기후 조건에 유연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뜻한 지역에서는 그렇게 두꺼운 털을 자라지 않는다.
|
|
|
|
2023.10.02
|
|
|
【문화】
몽골 여행 중에 유목민 게르를 방문하거나, 슈퍼를 방문할 때면 입구에 몽골 전통견인 방카르(The Bankhar Dog, 덩치가 큰 개)를 만난다. 몽골 개는 이상하게도 반짝이는 눈동자 위에 두 개의 흰점이나 황색 점이 있어 마치 눈이 4개로 보인다.
|
|
|
|
2023.10.01
|
|
【문화】
우리나라에서 호양나무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학자는 부산대 약대를 졸업하고 국립순천대학교 한약자원개발학과 교수, 바이오한약자원학과에서 33년간 약초의 성분과 효능에 대해 강의하고 연구한 박종철 명예교수이다. 교수님은 호양나무를 조사하려고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간쑤성을 방문했다.
|
|
|
|
2023.09.30
|
|
|
【문화】
고비사막 주변 마을과 산에는 거대한 호양나무(Populus euphratica)들이 외롭게 혼자 우뚝 서 있기도 하고, 군락을 한 곳도 있었다. 호양나무는 사막의 건조하고 기온의 변화가 심한 곳과 염분 농도가 높은 곳에서도 잘 자라 이곳 사람들은 호양나무를 ‘사막의 척추’라고 불렀다.
|
|
|
|
2023.09.30
|
|
|
【문화】
푸르공을 타고서 바얀 작으로 달려갔다. 이곳은 바위와 붉은 모래와 작열하는 태양과 관목과 무시무시한 삭막함을 수반한 전형적인 황무지다. 바얀 작은 미국의 고생물학자 엔드류스(Roy Chapman Andrews, 1884-1960년)가 표현한 불타는 절벽(Flaming Cliffs)으로 이름을 지어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
|
|
|
2023.09.28
|
|
|
【문화】
〈몽골의 사슴돌 기념물 및 청동기 시대 유적지〉가 2023년 9월 유네스코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었다. 몽골의 사슴돌은 3,200년 전 유라시아 지역에 정주했던 고대인들의 의례 및 장례에 관련된 유물이다.
|
|
|
|
2022.11.29
|
|
|
【여행】
[동몽골여행 10] 몽골 야생양과 야생염소를 보호하는 '처이르 복드' 산
|
|
|
|
2022.11.23
|
|
|
【여행】
[동몽골여행기9] 몽골 전통 악기 마두금과 영혼의 소리 허어미
|
|
|
|
2022.11.12
|
|
|
【여행】
[동몽골여행기8] 봄은 유목민들에게 가장 어려운 시기
|
|
|
|
2022.11.02
|
|
|
【여행】
[동몽골여행기7] 늑대 포획엔 실패했지만 몽골인들도 보기 힘든 야생마 확인
|
|
|
|
2022.11.01
|
|
|
【여행】
[동몽골여행기6] 오보는 몽골의 대표적 풍물 중 하나. 다리강가 마을에서 1킬로미터쯤 떨어진 뒷산에는 몽골에서 가장 유명한 오보 중 하나인 알탕오보가 있다.
|
|
|
|
2022.10.21
|
|
|
【여행】
[동몽골여행기] 목이 잘린 석인상... 무관심한 현지인들
|
|
|
|
2022.10.05
|
|
|
【여행】
[몽골동부여행기1] 사람의 허벅지뼈로 만든 피리부터 두개골 법구까지
|
|
|
|
2022.09.15
|
|
|
【여행】
[몽골여행기20] 공산주의 시절 3만명의 승려가 학살 당하기도
|
|
|
|
2022.09.13
|
|
|
【여행】
[몽골여행기 19] 몽골 최초의 불교사원, 한때 승려 천 명이 거주했던 곳
|
|
|
|
2022.09.06
|
|
|
【여행】
[몽골여행기18] 세 번이나 인연 맺은 캠프장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