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지구의 자전축의 남쪽 끝인 남위 90° 지점을 이르는 말. 남극점이라고도 한다.
넓은 뜻으로는 남극점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는 남위 60° 이남 지역인 1,361만㎢의 넓은 대륙을 가리키는데, 이를 남극 대륙이라고도 한다.
|
|
|
지식 : 자연과학 > 우주과학.지구과학
지구의 자전축의 남쪽 끝인 남위 90° 지점을 이르는 말. 남극점이라고도 한다.
넓은 뜻으로는 남극점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는 남위 60° 이남 지역인 1,361만㎢의 넓은 대륙을 가리키는데, 이를 남극 대륙이라고도 한다.
대륙은 대부분 얼음으로 덮여 있으며 얼음 두께는 1,800~4,300m나 된다.
남극에서는 오늘날 과학 관측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으며, 풍부한 광물 자원과 해양 생물 자원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8년 2월 남극 킹조지섬에 각종 자원, 해양, 지질, 생태계 연구를 위해 건설된 남극 세종 기지를 세웠다.
지형
남극은 동남극과 서남극으로 나뉘는데, 동남극 연안이나 내륙에는 높이 2,000~3,000m의 산지가 있고, 중앙부에는 높이 4,000m에 이르는 고원이 펼쳐져 있다.
서남극의 중앙부는 높이가 1,500m 정도로 동남극에 비해 지형이 낮다.
기후
남극의 기후는 매서운 한랭 기후와 끊임없이 몰아치는 세찬 바람이 특징이다.
대륙 연안의 기온은 가장 높을 때가 0℃ 이하이고, 가장 기온이 낮을 때에는 -42℃까지 내려간다.
한편 내륙의 연평균 기온은 -56℃이고, 가장 추울 때는 -68℃(최하 -88.3℃)에까지 이른다.
강수량은 관측하기 어려우며, 중심부가 100mm 이내이고 연안이 200~500mm 정도이다.
생물
남극 대륙 연안이나 남극해에 살고 있는 동물로는 펭귄류, 고래류, 바다표범, 물개 및 10여 종의 조류 등이 있다.
식물은 남극 반도 북부에서 2종의 종자식물이 발견되었고, 그 밖에 조류(藻類), 지의류 등이 있다.
탐험의 역사
1772년에서 1775년 사이에 영국의 쿡이 남극 대륙 둘레를 항해한 이래 바다표범과 고래잡이가 활발해졌다.
그 뒤 1820년에는 영국의 브란스필드가 대륙을 발견했고, 1841년에 영국의 로스(Ross, J.C.)가 유빙대를 돌파하고부터 과학적인 탐험 시대로 접어들었다.
1911년 12월 14일에 아문센이, 1912년 1월 17일에는 스콧이 남극점에 도달했고, 1929년에는 미국의 버드가 극점 비행에 성공하기도 했다.
1945 ~ 1950년에는 노르웨이, 영국, 스웨덴의 공동 탐험대가 파견되었고, 1957~1958년의 국제 지구 관측년에는 세계 각국의 탐험 조사대가 파견되어 각종 학술 조사가 실시되었다.
1984년 12월에는 소련 관측대에 의하여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된, 40억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광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1990년 1월 현재 남극에는 17개국에서 파견한 44개의 과학 기지가 건설되어 있으며, 남극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는 25개국으로 구성된 남극 조약 협의 당사국(ATCP)이다.
|
|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
|
◈ 참조 원문/전문
|
|
|
|
◈ 조회순
|
|
2025.01.18
|
|
|
【문화】
중국의 66° Expedition Cruise가 2024년 9월 9일 광저우에서 극지 크루즈 상품 ‘66° 탐험 크루즈(66度探险部轮, 66° Expedition Cruises)’를 출범시켰다. 이는 중국 극지탐험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중국 문화관광 기업들이 세계의 끝이라 불리는 극지 탐험에 맞춤형 경험을 통해 극지방 관광에 진출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가 있다.
|
|
|
|
2025.01.28
|
|
|
【문화】
내셔널 지오그래픽-린드블라드 탐험대
남극 여행을 처음 개발한 린드블라드의 아들 스벤 올로프 린드블라드(Sven Olof Lindblad)는 가족의 유산을 이어받아 린드블라드 탐험대(Lindblad Expeditions)를 설립하고 아버지가 구상한 혁신적인 여행 경험을 확장했다.
|
|
|
|
2025.01.05
|
|
|
【문화】
"한 여인이 100kg의 무거운 썰매를 끌고 남극에서 홀로 걸어가고 있습니다."
2014년 11월 14일 SRT기차에서 본 SRT잡지 첫장을 펼쳐보다가 발견한 〈영하 30도의 남극, 100kg의 썰매 1,700km를 횡단하다〉의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광고 문안이다.
|
|
|
|
2025.01.27
|
|
|
【문화】
남극 생태 관광의 아버지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
남극 생태 관광을 처음 시작한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Lars-Eric Lindblad, 1927~1994)’는 1927년 1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 북쪽의 솔나(Solna)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와인 전문가였고, 어머니는 캐비닛 제작자의 딸이었다.
|
|
|
|
2025.01.06
|
|
|
【문화】
뉴질랜드 민족생물학자이며 환경생물학자인 프리실라 웨히(Priscilla M. Wehi) 박사는 “남극 대륙은 한반도 면적의 60배 크기로 7세기에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이 처음 발견했다.”라고 2021년 뉴질랜드 왕립학회 저널 논문에서 주장했다.
|
|
|
|
2025.01.12
|
|
|
【문화】
탐험가 김영미는 영하 30도 강추위 속에서도 목적지인 레버렛 빙하(Leverett Glacier)를 향해 쉬지 않고 걸어가고 있다. 그녀는 1,141km가 넘는 광활한 설원을 49일 3시간 동안 걸어서 지난 2024년 12월 27일 오후 6시 44분에 남극 횡단의 반환점인 남위 90° 남극점(남위 90°, 날씨 영하 25도, 표고 2,835m)에 도달해 보급품 식량 25kg을 처음 지원받았다.
|
|
|
|
2025.01.08
|
|
|
【문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기관 극지연구소(KOPRI, 신형철 소장)는 2024년 4월 연구소 개소 20주년을 맞아 “극지가 미래”라는 표어를 선정하고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
|
|
|
2025.01.16
|
|
|
【문화】
남극의 신사로 불리는 황제펭귄 서식지인 남극 해빙(바다 얼음)이 급격히 녹아 사라지면서 황제펭귄의 번식이 실패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
|
|
◈ 최근등록순
|
|
2025.01.28
|
|
|
【문화】
내셔널 지오그래픽-린드블라드 탐험대
남극 여행을 처음 개발한 린드블라드의 아들 스벤 올로프 린드블라드(Sven Olof Lindblad)는 가족의 유산을 이어받아 린드블라드 탐험대(Lindblad Expeditions)를 설립하고 아버지가 구상한 혁신적인 여행 경험을 확장했다.
|
|
|
|
2025.01.27
|
|
|
【문화】
남극 생태 관광의 아버지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
남극 생태 관광을 처음 시작한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Lars-Eric Lindblad, 1927~1994)’는 1927년 1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 북쪽의 솔나(Solna)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와인 전문가였고, 어머니는 캐비닛 제작자의 딸이었다.
|
|
|
|
2025.01.18
|
|
|
【문화】
중국의 66° Expedition Cruise가 2024년 9월 9일 광저우에서 극지 크루즈 상품 ‘66° 탐험 크루즈(66度探险部轮, 66° Expedition Cruises)’를 출범시켰다. 이는 중국 극지탐험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중국 문화관광 기업들이 세계의 끝이라 불리는 극지 탐험에 맞춤형 경험을 통해 극지방 관광에 진출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가 있다.
|
|
|
|
2025.01.16
|
|
|
【문화】
남극의 신사로 불리는 황제펭귄 서식지인 남극 해빙(바다 얼음)이 급격히 녹아 사라지면서 황제펭귄의 번식이 실패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
|
|
|
2025.01.12
|
|
|
【문화】
탐험가 김영미는 영하 30도 강추위 속에서도 목적지인 레버렛 빙하(Leverett Glacier)를 향해 쉬지 않고 걸어가고 있다. 그녀는 1,141km가 넘는 광활한 설원을 49일 3시간 동안 걸어서 지난 2024년 12월 27일 오후 6시 44분에 남극 횡단의 반환점인 남위 90° 남극점(남위 90°, 날씨 영하 25도, 표고 2,835m)에 도달해 보급품 식량 25kg을 처음 지원받았다.
|
|
|
|
2025.01.08
|
|
|
【문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기관 극지연구소(KOPRI, 신형철 소장)는 2024년 4월 연구소 개소 20주년을 맞아 “극지가 미래”라는 표어를 선정하고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
|
|
|
2025.01.06
|
|
|
【문화】
뉴질랜드 민족생물학자이며 환경생물학자인 프리실라 웨히(Priscilla M. Wehi) 박사는 “남극 대륙은 한반도 면적의 60배 크기로 7세기에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이 처음 발견했다.”라고 2021년 뉴질랜드 왕립학회 저널 논문에서 주장했다.
|
|
|
|
2025.01.05
|
|
|
【문화】
"한 여인이 100kg의 무거운 썰매를 끌고 남극에서 홀로 걸어가고 있습니다."
2014년 11월 14일 SRT기차에서 본 SRT잡지 첫장을 펼쳐보다가 발견한 〈영하 30도의 남극, 100kg의 썰매 1,700km를 횡단하다〉의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광고 문안이다.
|
|
|
|
2019.11.15
|
|
|
【문화】
부산시 해양자연사박물관(관장 정승윤)은 11월 21일부터 내달 29일까지 1관 2층 특별전시실에서 『2019 극지체험전시회 “열렸다 북극의 문, 찾았다 남극의 비밀』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해양자연사박물관 - 박성근 (051-550-8828)】
|
|
|
|
2019.07.08
|
|
|
【--】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 극지연구소(소장 윤호일)는 7월 1일부터 11일까지 체코 프라하에서 열리는 제42차 남극조약 협의당사국회의(이하 남극회의)에서 우리나라, 중국, 이탈리아가 공동으로 신규 남극특별보호구역 지정을 7월 8일 오전 10시(현지시각)에 공식 제안한다고 밝혔다.【자연생태정책과 - 김유리 (044-201-7237)】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 참조정보
▣ 분류정보 (상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