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작품
지은이가 만년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가 한가로이 세월을 보낼 때 지은, 우리 나라 최초의 연시조로 총 4수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후기 작자가 30세 때 권신 이이첨(李爾瞻)의 횡포를 상소하였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시어(詩語)의 반복을 통해 의미와 운율을 동시에 강조했고, 작가의 강직한 삶의 태도가 잘 드러나고 있다.
이이가 1578년(선조 11)에 벼슬에서 물러난 후, 황해도 해주에 정사(精舍)를 짓고 은거할 때, 주희(주자)의 ‘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지은 총 10수의 연시조이다.
이황이 1565년(명종 20년)에 벼슬을 버리고서 도산서원에 후진을 양성할 때, 성리학을 닦는 마음의 의지를 노래한 총 12수의 연시조이다.
만흥(漫興) - 윤선도, 《고산유고》
1642년(인조 20) 윤선도가 병자호란 때 임금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영덕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해남의 금쇄동에 은거할 때에 지은 총 6수의 연시조이다.
비가(悲歌) - 이정환, 《송암유고》
모두 10수로 된 연시조로, 원제목은 ‘국치비가(國恥悲歌)’이다. 이는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여 비참한 국치를 당한 분노와 나라를 위해 죽지도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며 우국충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어부가(漁夫歌) - 이현보,《농암집》
고려 때부터 전해 오던 12장의 장가와 10장의 단가인 ‘어부가’를 이현보가 9장의 장가와 5장의 단가로 개작한 것이다.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윤선도, 《고산유고》
1651년(효종 2)에 윤선도가 전라남도 보길도 부용동에서 은거할 때 ‘어부가’의 영향을 받아 지은 연시조로, 사계절의 어부 생활과 어촌 풍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영매가(詠梅歌) - 안민영, 《아악부본》
총 8수의 연시조로, 일명 ‘매화사(梅花詞)’라고도 한다. ‘영매가’는 1870년(고종 7)에 안민영이 그의 스승 박효관이 가꾼 매화를 보고 지은 것이라고 한다.
오륜가(五倫歌) - 주세붕, 《무릉속집》
총 6수로 된 연시조로, 지은이가 1551년(명종 6)에 해주에 수양 서원을 짓고 백성에게 오륜의 규범을 널리 펴기 위해 지은 것이다.
오우가(五友歌) - 윤선도, 《고산유고》
1642년(인조 20)에 윤선도가 병자호란 때 임금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상북도 영덕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전라남도 해남의 금쇄동에 은거할 때 지은 총 6수의 연시조이다.
조홍시가(早紅柹歌) - 박인로, 《노계집》
총 4수의 연시조로, 1601년(선조 34)에 이덕형이 도제찰사로서 영천에 이르렀을 때에, 잘 익은 홍시를 보고 부모님을 생각하면서 지은 연시조이다.
호아곡(呼兒曲) - 조존성, 《청구영언》
총 4수의 연시조로, 초장의 첫구가 모두 ‘아야’로 시작하였으므로 ‘호아곡(아이를 부르는 노래)’이라고 한다.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강원도 백성을 교화하고 계몽하기 위하여 지은 16수의 연시조이다. 그러므로 유교적 윤리를 주제로 한 교훈가라고 할 수 있다.
전가팔곡(田家八曲)
1664년(현종 5) 이휘일(李徽逸)이 지은 시조. 국문필사본. 작자가 45세 때 지은 이 작품은 농촌의 풍경과 농민의 노고를 소재로 하여 8곡의 단가(短歌), 곧 평시조 8수가 연첩(連疊)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암(立巖) - 박인로, 《노계집》
입암이라는 곳에서 지은 22편의 시조인데, 다시 7편이 발견되어 모두 29편이다. 우뚝 솟아 있는 바위가 지닌 긍정적 속성에 주목하여 인간에게 주는 교훈을 찾고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