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월 9일, 국방대학원 창설.
18일,
독도에 영토 표지판 설치(5.1. 민간수비대 파견).
21일, 반공포로 인수, 28일, 친공포로 인도 완료.
30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족.
5월 20일,
제3대 민의원 선거 실시(의장 이기붕, 부의장 최순주˙곽상훈).
6월 15일, 진해에서 제1회 아시아민족대회 개최(~21일).
11월 14일, 수복지구 행정권 인수받음.
불교의 대처승과 비구승 간 분쟁 격화.
29일, 국회, 개헌안 사사오입(四捨五入)이론을 적용, 통과 처리.
12월 7일, 국회, 초대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개헌안(9.8. 정부가 제안) 부결.
10일, 국보 3,400점을 부산 용두산 화재로 소실.
20일, 정부기구를 12부 1설 1원으로 개편.
동양
3월 1일. 미국의 비키니섬
수폭실험에 의해 일본의 어선 등 피해.
4월 26일. 한국 및 인도차이나 문제 등을 제네바 국제회의에서 토의.
5월 7일.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디엔비엔푸가 함락.
6월 28일. 인도
네루와 중국
주은래 회담을 갖고 '평화 5원칙'을 확인.
7월 20일.
제네바회의 종료. 인도차이나 휴전협정 조인.
8월 5일. 이란 석유협정 성립. 국제합병회사 설립.
9월 20일. 중국이 진먼섬[金門島]·마쭈섬[馬祖島] 등에 대한 포격을 개시.
9월 8일. SEATO(
아시아태평양조약기구) 성립.
20일. 중국 제1기 전인대(第一期全人代) 제1회 회의,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을 채택.
12월 2일. 미국·자유중국 간 상호방위조약 체결.
세계
4월 17일, 이집트에서 나기브 사임, 나세르가 수상에 취임.
4월 26일~7월 21일,
제네바극동평화회의.
7월 20일. 인도차이나 휴전협정 조인.
6월 18일. 과테말라에서 쿠데타, 구스만 친공정권 쓰러짐.
8월 24일. 미국에서 공산당통제법 성립.
브라질 대통령 발가스 자살.
10월 3일, 런던 9개국 협정 조인.
서독의 재무장·NATO 및 서구연합 가맹을 승인.
10월 19일. 영국·이집트 간 협정성립으로 영국군 수에즈에서 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