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동대문구
자 료 실
마을 소식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참여 시민
(A) 상세카탈로그
예술작품
여행∙행사
안전∙건강
인물 동향
2019년 12월
2019년 12월 6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년 12월 3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년 11월
2019년 11월 28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년 11월 26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9년 11월 21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9년 11월 14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11월 12일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년 11월 10일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년 10월
2019년 10월 23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9년 10월 22일
더불어민주당 논평 · 브리핑
2019년 9월
2019년 9월 22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7월
2019년 7월 10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6월
2019년 6월 19일
울산광역시 보도자료
2019년 5월
2019년 5월 31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5월 30일
환경부 보도자료
2019년 5월 29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5월 7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4월
2019년 4월 5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9년 1월
2019년 1월 15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12월
2018년 12월 7일
경기도 보도자료
2018년 12월 2일
경기도 보도자료
2018년 11월
2018년 11월 21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8년 9월
2018년 9월 19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9월 13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5월
2018년 5월 8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2018년 3월 28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21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19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16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11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10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9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3월 5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8년 2월
2018년 2월 28일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2015년 11월
2015년 11월 1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5년 10월
2015년 10월 31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5년 10월 27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5년 10월 26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세종대왕 기념관 -전편- (2015. 10. 26)
(C) 동대문구의 마을

신설동
용두동
제기동
전농동
답십리동
장안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동
이문동
about 동대문구


내서재
추천 : 0
동대문구(東大門區) 세종대왕 기념관(世宗大王紀念館)
최근 3개월 조회수 : 0 (0 등급)
【여행】
(게재일: 2015.10.26. (최종: 2017.12.01. 10:28)) 
◈ 세종대왕 기념관 -전편- (2015. 10. 26)
지난 18일(일) 홍릉 숲을 다녀오면서 길 건너 세종대왕 기념관을 찾았다.
지난 18일(일) 홍릉 숲을 다녀오면서 길 건너 세종대왕 기념관을 찾았다. 한국인이 뽑은 1위의 군주는 세종대왕이시다. 세종대왕 기념관(世宗大王紀念館)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하며 조선 세종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여 이를 길이 보존하기 위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1970년 11월 준공하고 1973년 10월 한글날 개관하였다. 야외에 있는 세종대왕의 유믈 등을 둘러보고 마침 세종성왕기념탑과 구 영릉석물사이 야외의 전통혼례장에서 혼례가 있는 날이라 사진 몇 컷을 찍었다.
 
 
▼ 세종대왕 기념관 위치
 
▼ 배치도
 
▼ 세종 영릉(英陵)신도비
 
☞ 보물 제1805호, 1452년(문종 2)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6
☞ 총 높이 : 588㎝(1999년 새로 제작한 귀부 포함) 비신(이수 포함) 높이 : 450㎝
 
세종 영릉 신도비는 조선시대 문화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기를 튼튼히 다졌던 제4대 임금 세종의 생애와 업적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그의 일대기를 담아 1452년(문종 2)에 세운 비이다.
 
정인지(鄭麟趾, 1396~1478년)가 글을 짓고,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 이용(李瑢, 1418~1453년)이 글씨를 썼다.
 
비록 비신의 표면이 심하게 부식·박락되어 금석문의 내용을 거의 알아볼 수 없는 상태이지만 “···겸성균관대사성 신 정인(兼成均館大司成臣鄭麟)···”과 “···신 용 봉교서(臣瑢奉敎書)···”와 같은 중요한 부분이 남아 있어 가치가 높다.
 
또한 비신과 한 몸으로 제작된 이수(螭首)는 원형을 거의 간직하고 있어, 조선 초기 왕의 신도비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세워진 많은 신도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된다
 
 
 
 
▼ 비각 안의 비석은 담이 높아 보기 어렵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영릉은 1450년 6월 태종의 헌릉(獻陵) 서쪽 대모산(大母山)기슭에 조성되었다. 영릉신도비는 공조판서 정인지(鄭麟趾)와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김조(金銚)가 왕명을 받들어 각각 비문과 비음기(碑陰記, 비석 뒷면에 새긴 글)를 짓고 세종의 3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이 글씨와 전액을 써서 1452년(문종 2) 2월 능상(陵上) 아래에 건립하였다. 3월에는 비각이 완성되었다.
 
1469년(예종 1) 3월 풍수상 불길하다는 이유로 영릉을 여주(驪州)로 천릉(遷陵)하고 7월에는 구(舊) 영릉에 남아 있던 신도비와 잡상(雜像)을 땅에 묻었다. 1974년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신도비를 발굴하여 세종대왕기념관으로 옮겼다
 
정인지가 지은 비문은 총 4,886여자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다. 조선 초기 찬란한 문화를 이룩하여 이른바 ‘세종성시(世宗盛時)’라 칭송되던 세종 재위 기간의 주요 업적을 연대순으로 정리하였다. 정인지는 글의 말미에 “이십여 년 동안 대왕을 가까이서 모셨는데 참으로 지극히 광대하시어 정미하셨고 또 매우 고명하시어 중용하셨으니 실로 동방의 요순(堯舜)이셨다.”라며 세종을 평생 모신 감회를 기록하였다. 비음기는 김조(金銚)가 세종대의 명신 명단을 포함해서 지어 바쳤다고 기록에 전하지만 글의 전문(全文)은 남아 있지 않다
 
건원릉과 헌릉신도비가 귀부이수 양식이었던 만큼 영릉신도비도 전통을 계승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1974년 3월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옛 영릉 터를 발굴한 결과, 백색 대리석 한 덩어리를 다듬어 만든 비신과 이수만 발견하였을뿐 끝내 귀부는 찾지 못하였다.
 
이수 앞뒤에는 2마리의 용이 서로 마주보며 여의주를 다투는 쌍룡쟁주(雙龍爭珠)의 모습이 장식되어 있다. 중국 당나라 양식을 따른 건원릉과 헌릉신도비의 이수와는 다른 조선시대만의 고유한 양식이다. 조각 솜씨가 매우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생동감이 넘친다. 규모도 거대하여 이전의 왕릉신도비들을 압도한다. 건립 완료를 보고 받은 문종이 “신도비가 매우 커서 세우기가 매우 어려울 것 같아 자나깨나 걱정이었는데 이제 일을 무사히 마쳤다니 매우 기쁘다.”라고 언급할 정도로 어려운 역사(役事)였던 것이다.
 
영릉신도비의 비신과 이수 총 높이가 450㎝이고 건원릉신도비는 335㎝이며 헌릉신도비는 420㎝이니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만약 귀부가 있었다면 총 높이가 약 600㎝에 이르렀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 역대 왕릉신도비 중에서 제일 거대한 규모이다.
 
영릉신도비는 조선시대의 마지막 왕릉신도비다. 영릉신도비 이후로 왕릉신도비의 입석이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역대 왕릉신도비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고 조선시대의 고유한 양식이 반영된 최초의 왕릉신도비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높다. 1471년(성종 2) 건립된 원각사비(圓覺寺碑)도 거의 동일한 양식을 갖추고 있어 주목된다.
 
오랜 세월 땅 속에 매몰되어 비신 표면이 한 겹 떨어져 나갔으나 다행히 비문 글씨 몇 자와 전액은 확인된다. 비문과 전액 글씨를 쓴 안평대군은 송설체(松雪體)의 달인으로 조선 전기 사대명필(四大名筆)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진다. 비록 완전하지는 않지만 조선 전기 서예사(書藝史)와 금석학(金石學) 연구의 귀중한 유물로 평가된다
 
 
▼ 여주 세종대왕 영릉(소헌왕후와 합장릉)
 
 
- 여주의 또 따른 영릉(寧陵)은 17대 효종(재위 1649∼1659)과 부인 인선왕후(1618∼1674)의 무덤이다.
 
▼ 구 영릉 석물(舊 英陵 石物)
 
구 영릉(현재 서초구 내곡동 대모산) 봉분터 주위에서 나온 석물이다. 1446년(세종 28) 소헌 왕후(昭憲王后)가 승하하여 산릉(山陵)을 만들 때 15,000여 명을 동원하여 석실(石室) 등을 만들고 이를 세운 것이다.
 
돌은 강화산(江華産)이라 하며, 예종 원년(1469) 경기도 여주(驪州)로 천장할 때 천장 도감(遷葬都監)에서 석물을 옮기기로 하였으나 왕명에 의해 그 자리에 묻었던 것을 1973년 12월 ~ 1974년 3월에 걸쳐 발굴하여 같은 해 5월에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다.
 
 
▼ 땅속에 있었던 것으로 여주 영릉 석물보다 돌색이 밝다.
 
 
 
 
 
▼ 무인석
 
▼ 문인석
 
▼ 장명등
 
▼ 문인석
 
▼ 무인석
 
▼ 석마
 
 
▼석양
 
▼ 난간석
 
 
▼ 고석(鼓石)
 
 
 
★ 조선왕릉의 길잡이는 여기를 누르세요.
★ 구리 동구릉(건원릉 외)은 여기를 누르세요.
★​ 주변의 홍릉 숲 전편, 후편은 각각 누르세요.
 
(오류) 닫기 없음 ;\ba-'출처: 네이버지도, 민족문화대백과, 세종대왕기념회 홈페이지,서헌강 사진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 민국의 행정구역.
서울 특별시의 한 구(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체계
(C) 서울의 마을

종로구 (鍾路區)
중구 (中區)
용산구 (龍山區)
성동구 (城東區)
광진구 (廣津區)
동대문구 (東大門區)
중랑구 (中浪區)
성북구 (城北區)
강북구 (江北區)
도봉구 (道峰區)
노원구 (蘆原區)
은평구 (恩平區)
서대문구 (西大門區)
마포구 (麻浦區)
양천구 (陽川區)
강서구 (江西區)
구로구 (九老區)
금천구 (衿川區)
영등포구 (永登浦區)
동작구 (銅雀區)
관악구 (冠岳區)
서초구 (瑞草區)
강남구 (江南區)
송파구 (松坡區)
강동구 (江東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