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가사
가사
자 료 실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17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16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낙산사유람가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2019년 6월
2019년 6월 25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2019년 6월 24일
가사∙개화가사
about 가사


내서재
추천 : 0
1921년 낙산사(洛山寺) 내방 가사(內房歌辭) # 가사 # 기행가사 # 낙산사유람가
최근 3개월 조회수 : 1 (5 등급)
【학습】
(게재일: 2019.07.16. (최종: 2019.07.16. 17:23)) 
◈ 낙산사유람가
내방기행가사로 1921년 전의 이씨가 지은 것으로 작자는 1855(철종 6)에 주문진읍 향호리 호벌가의 선전관댁에서 출생하여, 명주 군구정면 여찬리의 교관댁으로 출가한 여인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여류시가 중에서 가장 긴 장편으로, 길이면에서 최장편의 양반가사로 알려진 김인겸의 일동장유가에 비견된다.
목   차
[숨기기]
 

1. 요점 정리

• 요점정리
• 연대 : 1921년
• 작자 : 전의이씨
• 형식 :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약 3천여구에 해당하는 장편 내방기행 가사
• 주제 : 낙산사 유람
 
 

2. 내용 연구

 
 
 

3. 이해와 감상

내방기행가사로 1921년 전의 이씨가 지은 것으로 작자는 1855(철종 6)에 주문진읍 향호리 호벌가의 선전관댁에서 출생하여, 명주 군구정면 여찬리의 교관댁으로 출가한 여인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여류시가 중에서 가장 긴 장편으로, 길이면에서 최장편의 양반가사로 알려진 김인겸의 일동장유가에 비견된다.
 
체제는 먼저 작품의 가사를 싣고, 그 다음에발사를 첨가하였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약 3천여구에 해당하는장편이며, 음수율에서는 4·4조가 주축이지만 3·4조. 4·3조, 3·3조 등등의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자수로 보면 2만 2894자이고, 가사 끝에 나온 발사까지를 넣고 계산하면 2만3456자이다. 내용은 강원도명주군 여찬리로부터 양양군 낙산사까지의 21일. 290리의 노정과, 노정을통하여 보고 느낀 것 등의 3단으로 나뉘어 있다.
 
제1단인 서사는 여행의 동기와 출발로 되어있다. 여필종부로 사회적 가정적으로 자유롭게 살지 못하였던 당시였지만, 비교적 좋은 가문의 노령의 아낙이 가족의 염려를 뒤로 하고 낙산사로유람을 떠난다.
 
제 2단인 본사는, 여찬리를 출발하여 낙산사에이르는 노정과 그 노정에서 보고 느낀 것으로 되어 있따. 노정은 남성다리로부터오죽헌 경포대 명암정 쌍한전 교향리 호매교 관정평 독송정 등등을 거쳐낙산사에 이르는 과정이며, 이 노정에 포함된 산수의 몇소들은 물론이고, 다리의 명칭이 소상히 적혀 있다. 또한 안동댁 임존우의 딸들에게 들은, 산신의 태몽으로 이들을 보게 된 설화도 삽입되어 있다. 동시에 향토민들의융숭한 대접, 당시의 풍물과 구수한 인심, 효열비각을 통하여 교훈하는모습, 그리고 일본 순사의 횡포와 학정의 실태도 묘사되어 있다. 이작품은 작품성이 뛰어나지는 않으나 작자의 성격과 인생관이 소박하고진솔하게 잘 표현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제3단인 결사는 낙산사로부터 돌아오는 과정과집안식구와의 해후로 되어 있다. 또한, '두어라' '긋처라'등의 문장투어를본사에 넣어, 시조의 종장 제1구의 감탄사나 탄사의 기능을 하게 한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며 김선풍이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韓國詩歌의 民俗學的硏究(金善淵, 螢雪出版社, 1977).(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심화 자료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 동음이어
우리 나라의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 가사체로 된 긴 사설을 정해진 곡조에 올려 부르는 노래이다.
(용어) 가정 생활을 꾸려 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일.
조선 초기에 나타나 조선 말기까지 짓고 불렸던 시가의 한 형식. 형식은 3·4조 또는 4·4조의 외형률로 되어 있고, 시조와는 달리 장가형이다.
(용어) 겉으로 보기에는 숨도 안 쉬고 심장도 멈춰 죽은 것같이 보이나 뒤에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상태.
(용어) 중이 입는 법의.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치는 옷이다.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