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임실문화원의 지식창고 임실독립운동사 (2005)
임실독립운동사 (2005)
(보기 : 목록별구성)
2018년 7월
2018년 7월 31일
부록
about 임실독립운동사 (2005)
내서재
추천 : 0
【저작】
(2018.07.31. 10:25) 
◈ 부록
獨立宣言書 / 오등(五等)은 자(玆)에 아조선(我朝鮮)의 독립국(獨立國)임과 조선인(朝鮮人)의 자주민(自主民)임을 선언(宣言)하노라.
목   차
[숨기기]
 

1. 부 록

 

1.1. 1. 3․1 獨立宣言書

 
오등(五等)은 자(玆)에 아조선(我朝鮮)의 독립국(獨立國)임과 조선인(朝鮮人)의 자주민(自主民)임을 선언(宣言)하노라.
 
차(此)로써 세계만방(世界萬邦)에 고(告)하야 인류평등(人類平等)의 대의(大義)를 극명(克明)하며 차(此)로써 자손만대(子孫萬代)에 고(誥)하야 민족자존(民族自存)의 정권(正權)을 영유(永有)케 하노라.
 
반만년역사(半萬年歷史)의 권위(權威)를 장(仗)하야 차(此)를 선언(宣言)함이며 이천만민중(二千萬民衆)의 성충(誠忠)을 합(合)하야 차(此)를 포명(佈明)함이며 민족(民族)의 항구여일(恒久如一)한 자유발전(自由發展)을 위(爲))하야 차(此)를 주장(主張)함이며, 인류적양심(人類的良心)의 발로(發露)에 기인(基因)한 세계개조(世界改造)의 대기운(大機運)에 순응병진(順應竝進)하기 위하야 차(此)를 제기(提起)함이니 시(是) 천(天)의 명명(明命)이며 시대(時代)의 대세(大勢)며 전일류공존동생권(全人類共存同生權)의 정당(正當)한 발동(發動)이라. 천하하물(天下何物)이던지 차(此)를 저지억제(沮止抑制)치 못할지니라.
 
구시대(舊時代)의 유물(遺物)인 침략주의 강권주의(侵略主義强權主義)의 희생(犧牲)을 작(作)하야 유사 이래(有史以來) 누천년(累千年)에 처음으로 이민족겸제(異民族箝制)의 통고(痛苦)를 상(嘗)한 지금(今)에 십년(十年)을 과(過)한지라. 아생주권(我生存權)의 박상(剝喪)됨이 무릇 기하(幾何)며 심령상발전(心靈上發展)의 장애(障礙)됨이 무릇 기하(幾何)며 민족적존영(民族的尊榮)의 훼손(毁損)됨이 무릇 기하(幾何)며 신예(新銳)와 독창(獨創)으로써 세계문화(世界文化)의 대조류(大潮流)에 기여보비(寄與補裨)할 기연(機緣)을 유실(遺失)함이 무릇 기하(幾何)뇨.
 
희(噫)라 구래(舊來)의 억울(抑鬱)을 선창(宣暢)하려하면 시하(時下)의 고통(苦痛)을 파탈(擺脫)하려하면 장래(將來)의 협위(脅威)를 삼제(芟除)하려하면 민족적양심(民族的良心)과 국가적염의(國家的廉義)의 압축소잔(壓縮銷殘)을 흥분신장(興奮伸張)하려하면 각개인격(各個人格)의 정당(正當)한 발달(發達)을 수(遂)하려하면 가련(可憐)한 자제(子弟)에게 고치적 재산(苦恥的 財産)을 유여(遺與)치 아니하려하면 자자손손(子子孫孫)의 영구완전(永久完全)한 경복(慶福)을 도영(導迎)하려하면 최대급무(最大急務)가 민족적독립(民族的獨立)을 확실(確實)케 함이니 이천만각개(二千萬各個)가 인(人)마다 방촌(方寸)의 인(刃)을 회(懷)하고 인류통성(人類通性)과 시대양심(時代良心)이 정의(正義)의 군(軍)과 인도(人道)의 간과(干戈)로써 호원(護援)하는 금일(今日) 오인(吾人)은 진(進)하야 취(取)하매 하강(何强)을 좌(挫)치 못하랴. 퇴(退)하야 작(作)하매 하지(何志)를 전(展)치 못하랴.
 
병자수호조규 이래(丙子修好條規以來) 시시종종(時時種種)의 금석맹약(金石盟約)을 식(食) 하얏다하야 일본(日本)의 무신(無信)을 죄(罪)하려 아니하노라. 학자(學者)는 강단(講壇)에서 정치가(政治家)는 실제(實際)에서 아조종세업(我祖宗世業)을 식민지시(植民地視)하고 아문화민족(我文化民族)을 토매인우(土昧人遇)하야 한갓 정복자(征服者)의 쾌(快)를 탐(貪)할 뿐이오. 아(我)의 구원(久遠)한 사회기초(社會基礎)와 탁락(卓犖)한 민족심리(民族心理)를 무시(無視)한다 하야 일본(日本)의 소의(少義)함을 책(責)하려 아니하노라. 자기(自己)를 책려(策勵)하기에 급(急)한 오인(吾人)은 타(他)의 원우(怨尤)를 가(暇)치 못하노라. 현재(現在)를 주무(綢繆)하기에 급(急)한 오인(吾人)은 숙석(宿昔)의 징변(懲辨)을 가(暇)치 못하노라. 금일(今日) 오인(吾人)의 소임(所任)은 다만 자기(自己)의 건설(建設)이 유(有)할 뿐이요, 결(決)코 타(他)의 파괴(破壞)에 재(在)치 아니하도다. 엄숙(嚴肅)한 영심(良心)의 명령(命令)으로써 자가(自家)의 신운명(新運命)을 개척(開拓)함이요, 결(決)코 구원(舊怨)과 일시적감정(一時的感情)으로써 타(他)를 질축배척(嫉逐排斥)함이 아니로다. 구사상구세력(舊思想舊勢力)에 기미(羈縻)된 일본 위정가(日本爲政家)의 공명적 희생(功名的犧牲)이 된 부자연우불합리(不自然又不合理)한 착오상태(錯誤狀態)를 개선광정(改善匡正)하야 자연우합리(自然又合理)한 정경대원(正經大原)으로 귀환(歸還)케 함이로다. 당초(當初)에 민족적요구(民族的要求)에서 출(出)치 아니한 양국병합(兩國倂合)의 결과(結果)가 필경(畢竟) 고식적위압(姑息的威壓)과 차별적불평(差別的不平)과 통계수자상(統計數字上) 허식(虛飾)의 하(下)에서 이해상반(利害相反)한 양민족간(兩民族間)에 영원(永遠)히 화동(和同)할 수 없는 원구(怨溝)를 거익심조(去益深造)하는 금래실적(今來實績)을 관(觀)하라.
 
용명과감(勇明果敢)으로써 구오(舊誤)를 확정(廓正)하고 진정(眞正)한 이해(理解))와 동정(同情)에 기본(基本)한 우호적신국면(友好的新局面)을 타개(打開)함이 피차간(彼此間) 원화소복(遠禍召福)하는 첩경(捷徑)임을 명지(明知)할 것 아닌가. 또 이천만함분축(二千萬 含憤蓄怨)원의 민(民)을 위력(威力)으로써 구속(拘束)함은 다만 동양(東洋)의 영구(永久)한 평화(平和)를 보장(保障)하는 소이(所以)가 아닐 뿐 아니라 차(此)로 인(因)하야 동양안위(東洋安危)의 주축(主軸)인 사억만지나인(四億萬支那人)의 일본(日本)에 대(對)한 위구(危懼)와 시의(猜疑)를 갈수록 농후(濃厚)케 하야 그 결과(結果)로 동양전국(東洋全局)이 공도종망(共倒同亡)의 비운(悲運)을 초치(招致)할 것이 명(明)하니 금일(今日) 오인(吾人)의 조선독립(朝鮮獨立)은 조선인(朝鮮人)으로 하여금 정당(正當)한 생영(生榮)을 수(遂)케하는 동시(同時)에 일본(日本)으로 하여금 사로(邪路)로서 출(出)하야 동양지지자(東洋支持者)인 중책(重責)을 전(全)케하는 것이며 지나(支那)로 하야금 몽매(夢寐)에도 면(免)하지 못하는 불안공포(不安恐怖)로서 탈출(脫出)케 하는 것이며 또 동양평화(東洋平和)로 중요(重要)한 일부(一部)를 삼는 세계평화인류행복(世界平和人類幸福)에 필요(必要)한 계단(階段)이 되게 하는 것이라. 이어찌 구구(區區)한 감정상문제(感情上問題)리오.
 
아아 신천지(新天地)가 안전(眼前)에 전개(展開)되도다. 위력(威力)의 시대(時代)가 거(去)하고 도의(道義)의 시대(時代)가 래(來)하도다.
 
과거전세기(過去前世紀)에 연마장영(鍊磨長養)된 인도적정신(人道的精神)이 바야흐로 신문명(新文明)의 서광(曙光)을 인류(人類)의 역사(歷史)에 투사(投射)하기 시(始)하도다. 신춘(新春)이 세계(世界)에 래(來)하야 만물(萬物)의 회소(回蘇)를 최촉(催促)하는도다. 동빙한설(凍氷寒雪)에 호흡(呼吸)을 폐칩(閉蟄)한 것이 피일시(彼一時)의 세(勢)라하면 화풍남양(和風暖陽)에 기맥(氣脈)을 진서(振舒)함은 차일시(此一時)의 세(勢)이니 천지(天地)의 복운(復運)이 제(際)하고 세계(世界)의 변조(變潮)를 승(乘)한 오인(吾人)은 아모 주저(躊躇)할 것 없으며 아모 기탄(忌憚)할 것 없도다.
 
아(我)의 고유(固有)한 자유권(自由權)을 호전(護全)하야 생왕(生旺)의 락(樂)을 포향(飽享)할 것이며 아(我)의 자족(自足)한 덕창력(獨創力)을 발휘(發揮)하야 춘만(春滿)한 대계(大界)에 민족적정화(民族的精華)를 결뉴(結紐)할지로다. 오등(吾等)이 자(玆)에 분기(奮起)하도다.
 
양심(良心)이 아(我)와 동존(同存)하며 진리(眞理)가 아(我)와 병진(倂進)하는도다. 남녀노소(男女老少) 없이 음울(陰鬱)한 고소(古巢)로서 활발(活潑)히 기래(起來)하야 만휘군상(萬彙群象)으로 더불어 흔쾌(欣快)한 부활(復活)을 성수(成遂)하게 되도다. 천백세조령(千百世祖靈)이 오등(吾等)을 음우(陰佑)하며 전 세계 기운(全世界機運)이 오등(吾等)을 외호(外護)하나니 착수(着手)가 곧 성공(成功)이라. 다만 전두(前頭)의 광명(光明)으로 맥진(驀進)할 따름이다.
 
 
공약삼장(公約三章)
 
―, 금일(今日) 오인(吾人)의 차거(此擧)는 정의(正義), 인도(人道), 생존(生存), 존영(尊榮)을 위(爲)하는 민족적요구(民族的要求)니 오직 자유적정신(自由的情神)을 발휘(發揮)할 것이요 결(決)코 배타적감정(排他的感情)으로 일주(逸走)하지 말라.
 
―, 최후(最後)의 일인(一人)까지 최후(最後)의 일각(一刻)까지 민족(民族)의 정당(正當)한 의사(意思)를 쾌(快)히 발표(發表)하라.
 
―, 일체(一切)의 행동(行動)은 가장 질서(秩序)를 존중(尊重)하야 오인(吾人)의 주장(主張)과 태도(態度)로 하여금 어디까지든지 광명정대(光明正大)하게 하라.
 
朝鮮建國四千二百五十二年三月 日
 
조선민족대표(朝鮮民族代表)
 
손병희(孫秉熙) 길선주(吉善宙) 이필주(李弼柱) 백용성(白龍城)
김완규(金完圭) 김병조(金秉祚) 김창준(金昌俊) 권동진(權東鎭)
권병덕(權秉悳) 라용환(羅龍煥) 라인협(羅仁協) 영전백(梁甸伯)
양한묵(梁漢黙) 유여대(劉如大) 이갑성(李甲成) 이명룡(李明龍)
이승훈(李昇薰) 이종훈(李鍾勳) 이종일(李鍾一) 임례환(林禮煥)
박준승(朴準承) 박희도(朴熙道) 박동완(朴東完) 신홍식(申洪植)
신석구(申錫九) 오세창(吳世昌) 오화영(吳華英) 정춘수(鄭春洙)
최성모(崔聖模) 최 린(崔 麟) 한용운(韓龍雲) 홍기조(洪基兆)
홍병기(洪秉箕)
 
 
 

1.2. 2. 獨立有功者 中 勳章 未 受領 現況

 
국가보훈처에서는 1995년도에 국가유공자들 중 정부의 기록문서에 근거를 하여 유공자로 확인된 분들은 일제히 훈장 등을 추서하였으며, 후손이 없어 찾아가지 않고 보훈처에서 관리번호를 부여하여 보관중인 훈장 및 포장 증은 광복60주년을 맞이하여 찾아주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표된 임실군 내 미 수령자 명단을 보면,
 
 
의병활동을 하시다가 순국하신 분들 중에 덕치면 덕치 강한용, 신덕면 오궁리에 김경섭, 임실읍 중당리 김기만, 덕치면 원치리에 김막동, 덕치면 상두동에 김상천, 관촌면 고덕리에 김상칠, 관촌면 병암리에 김화서, 운암면 마치리 김현집 등이 있으며, 3․1 운동으로 훈장 미 수령자는 운암면 지천리에 한영태 선생과 오수면에 심상용, 양태환 등이다.
 
 
기록은 있어도 아직까지 포상하지 않은 분들을 보면
 
의병활동을 하신 분들 중 덕치면에 김형기, 관촌면 슬치리에 차석록, 신덕면에 최선경, 강진면 내동에 김종삼, 임실군으로 표기된 분들은 노경련, 문경환, 등이 있다.
 
국내 항일운동을 하신 분 중에는 김영식, 3․1 운동을 하신 분중에는 성준섭, 학생운동을 하신 분은 이기수, 한종수, 이재연 등이 있다.
 
註 : 국가보훈처 광복60주년 맞아 훈장 찾아주기운동 부서
 
 
 

1.3. 3. 항일 독립운동사 참고자료

 
(한말 의병활동)
 
 
 
 
 
(3·1 독립만세운동)
 
 
 
 
 
 
(국내 항일운동)
 
 
 
(의병 및 기타 국내 항일운동)
 
 
註 1. 본 자료는 한국독립동지회 전북지부에서 제공한 자료임.
2. 빈 란은 조사가 되지 않은 사항이나 본문에는 자세하게 기록된 경우도 있음.
3. 본 자료와 본문 내용과는 차이가 있을 수도 있으며 본문 내용에 없는 분도 있음.
 
 
 

1.4. 4. 독립유공자 포상 규정 안내문

 
참조 : 【연결】국가보훈처 홈페이지
 
 
 

1.5. 5. 人名 찾아보기

 
 
강계대(姜啓大) 261
강사과(姜司果) 194
강선칠(姜善七) 262
강성구(姜成九) 194
강재천(姜在天) 194
강한용(姜漢用) 195
곽병민(郭秉珉) 263
곽병희(廓秉禧) 263
곽자의(郭子儀) 72
김경련(金京連) 196
김경삼(金京三) 196
김경섭(金敬燮) 81
김경호(金景浩) 147
김공실(金公實) 76
김교민(金敎民) 361
김교승(金敎升) 361
김기룡(金基龍) 82
김기만(金基萬) 83
김기만(金琪萬) 196
김낙필(金洛必) 197
김동관(金東觀) 111
김동구(金東九) 198
김동식(金東植) 84
김막동(金莫同) 198
김백옥(金白玉) 85
김병두(金秉斗) 199
김병주(金炳周) 147
김사범(金士範) 69
김사원(金士元) 78
김사청(金士淸) 199
김상천(金祥千) 200
김상칠(金相七) 86
김성로(金成魯) 201
김성룡(金成龍) 203
김성율(金成慄) 78
김성학(金成學) 67
김암우(金岩宇) 87
김여집(金汝集) 111
김영앙(金泳昻) 264
김영원(金榮遠) 333
김영필(金永弼) 264
김용식(金容湜) 264
김운서(金雲瑞) 68
김인식(金仁植) 147
김인식(金寅植) 201
김일봉(金一奉) 265
김재문(金在文) 349
김정기(金正基) 266
김정업(金正業) 267
김제룡(金濟龍) 267
김종삼(金鍾三) 203
김종식(金鍾湜) 268
김종윤(金鍾閏) 269
김종창(金鍾暢) 269
김종태(金鍾泰) 270
김찬오(金贊五) 271
김춘화(金春華) 112
김치삼(金致三) 112
김태순(金泰順) 271
김필수(金必洙) 87
김학도(金學道) 113
김학문(金學文) 80
김학수(金學洙) 148
김학우(金學愚) 352
김행즙(金幸楫) 271
김현집(金玄執) 203
김형기(金炯基) 204
김화서(金化瑞) 88
 
 
 
남기영(南奇永) 204
노경련(魯敬連) 205
노병욱(魯炳旭) 89
노유원(盧有源) 272
 
 
 
덕 홍(德 弘) 114
 
 
라학용(羅學用) 273
 
 
 
문경환(文景煥) 90
문명근(文明根) 273
문성술(文聖述) 274
 
 
 
박가오(朴柯吳) 205
박가우(朴可又) 205
박갑쇠(朴甲釗) 73
박계홍(朴溪洪) 206
박금동(朴金東) 79
박달천(朴達天) 114
박덕주(朴德柱) 274
박만화(朴萬華) 64
박명로(朴明魯) 206
박문국(朴文局) 79
박문길(朴文吉) 206
박복금(朴卜金) 207
박성근(朴成根) 274
박성무(朴成武) 74
박성수(朴聖洙) 90
박성숙(朴成淑) 207
박성식(朴成植) 275
박성택(朴成澤) 207
박영렬(朴永烈) 208
박용근(朴龍根) 208
박용식(朴庸植) 276
박운서(朴雲瑞) 115
박원충(朴源忠) 363
박인완(朴仁完) 116
박준수(朴俊洙) 276
박준승(朴準承) 343
박준창(朴準昌) 277
박철규(朴哲圭) 117
박치근(朴致根) 208
박태엽(朴台燁) 277
박판덕(朴判德) 278
박학봉(朴學奉) 209
배성집(裵成執) 209
백성칠(白成七) 91
봉 수(鳳 洙) 114
 
 
 
서상열(徐相烈) 117
서성일(徐聖一) 118
성경삼(成景三) 118
성준섭(成俊燮) 353
소귀남(蘇貴男) 279
소윤명(蘇允明) 210
소팔백(蘇八伯) 91
송성학(宋性學) 279
송인택(宋仁澤) 210
송진행(宋鎭行) 91
송판구(宋判九) 65
신성운(申成雲) 92
심상용(沈尙龍) 279
심진규(沈鎭奎) 364
심한경(沈漢卿) 364
 
 
 
안관서(安寬瑞) 92
안성섭(安成燮) 281
안영오(安潁五) 149
안자정(安子精) 149
양경삼(楊敬三) 119
양길웅(梁吉雄) 365
양성도(楊成道) 281
양영만(梁永萬) 93
양준필(梁俊弼) 93
양태환(梁太煥) 282
양학수(梁學洙) 210
엄길영(嚴吉永) 283
여주목(呂柱穆) 69
오기열(吳琦烈) 80
오병선(吳秉善) 120
오병용(吳秉鎔) 283
우성오(禹成五) 284
유인수(柳寅秀) 150
유장열(柳璋烈) 211
유종해(柳鍾海) 211
윤명선(尹明善) 70
윤병준(尹秉俊) 75
윤정오(尹正五) 121
이강세(李康世) 285
이경구(李京九) 285
이경하(李景夏) 151
이광삼(李光三) 71
이규진(李圭鎭) 151
이기섭(李起燮) 286
이기송(李起松) 286
이기우(李起堣) 287
이기택(李起澤) 365
이남용(李南用) 94
이만의(李萬儀) 288
이맹호(李猛虎) 370
이병열(李秉烈) 289
이병춘(李炳春) 290
이병행(李秉行) 94
이상대(李相大) 212
이석용(李錫庸) 41
이성의(李聖儀) 291
이송의(李松儀) 291
이영보(李永甫) 292
이영의(李英儀) 292
이용의(李容儀) 212
이용의(李鎔儀) 293
이원세(李原世) 294
이원영(李元泳) 366
이윤의(李倫儀) 294
이재의(李宰儀) 295
이정우(李鼎宇) 296
이정의(李正儀) 296
이존철(李存哲) 369
이종열(李宗烈) 212
이주의(李柱儀) 297
이준명(李俊明) 298
이중혁(李重赫) 298
이창준(李昌俊) 298
이초래(李初來) 212
이춘만(李春萬) 299
이춘풍(李春風) 213
이치만(李致萬) 94
이태우(李太宇) 299
이하의(李夏儀) 300
이학선(李學善) 300
이현승(李賢承) 369
이홍길(李弘吉) 213
이홍섭(李弘燮) 370
이회근(李晦根) 301
이회열(李會烈) 302
임계홍(林溪洪) 213
임국현(林國玄) 95
임성규(林成奎) 214
임성숙(林成淑) 214
임성택(林成澤) 214
임영기(任永基) 95
임종문(林宗文) 73
 
 
 
전석기(全錫基) 215
전성학(全成鶴) 71
전해산(全海山) 72
정가섭(鄭家涉) 96
정군삼(鄭君三) 122
정기태(鄭基泰) 303
정남쇠(丁南釗) 216
정노현(鄭盧鉉) 216
정성현(鄭聖鉉) 216
정종섭(鄭宗涉) 96
정종수(呈宗洙) 304
정진희(鄭鎭喜) 151
정찬석(鄭贊錫) 152
정필조(鄭弼朝) 304
조기성(曺基成) 217
조성민(趙成珉) 152
조성서(趙成西) 96
조성팔(趙成八) 97
조영국(趙榮國) 81
조영선(趙泳善) 152
조우식(趙愚植) 153
조희제(趙熙濟) 370
진만조(陳萬祚) 304
 
 
 
차석록(車錫錄) 97
최경호(崔京鎬) 305
최극삼(崔極三) 305
최덕일(崔德逸) 65
최덕중(崔德中) 217
최만년(崔萬年) 218
최병섭(崔秉燮) 375
최병심(崔秉心) 153
최병태(崔炳泰) 306
최봉갑(崔鳳甲) 218
최봉상(崔鳳商) 307
최산흥(崔山興) 219
최상학(崔相鶴) 308
최석봉(崔石奉) 219
최선경(崔善京) 97
최세호(崔洗鎬) 309
최승우(崔承雨) 309
최영기(崔永琪) 313
최영열(崔英烈) 314
최원호(崔元鎬) 314
최일권(崔一權) 123
최자운(崔子雲) 154
최제학(崔濟學) 154
최종기(崔宗箕) 315
최종수(崔宗洙) 318
최종엽(崔宗燁) 376
최종택(崔宗澤) 318
최종호(崔宗鎬) 320
최창열(崔滄烈) 157
최판준(崔判俊) 98
 
 
 
하영록(河永錄) 220
하용기(河龍基) 320
한경서(韓京西) 98
한계석(韓桂錫) 220
한광언(韓光彦) 221
한규정(韓圭井) 80
한기수(韓淇洙) 322
한도수(韓道洙) 323
한돈석(韓敦錫) 323
한득주(韓得周) 123
한사국(韓士國) 72
한성원(韓聖元) 98
한수길(韓壽吉) 99
한영태(韓榮泰) 324
한인석(韓麟錫) 326
한일성(韓日成) 221
한일수(韓一洙) 376
한자선(韓子先) 222
한정교(韓正敎) 326
한주석(韓柱錫) 99
한판교(韓判敎) 327
한흥삼(韓興三) 222
허 간(許 幹) 158
허 근(許 根) 327
허 박(許 樸) 327
허 봉(許 鳳) 329
허 섭(許 燮) 330
허 업(許 業) 159
허윤조(許允照) 124
허주(許柱) 159
허천석(許天錫) 117
홍성원(洪成元) 222
홍윤무(洪允武) 75
황성문(黃成文) 99
황성영(黃成瑛) 331
황성진(黃成瑱) 331
황중룡(黃重龍) 100
황쾌동(黃快童) 331
황해수(黃海水) 332
【저작】 임실독립운동사 (2005)
• 책을 엮고 나서
• 부록
• 제4편 日帝時代 任實의 抗日運動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