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강호구가(江湖九歌) ◈
카탈로그   본문  
나위소(羅緯素)
1
강호구가(江湖九歌)
 
 
2
1
 
3
어버이 나으시고 임금이 먹이시니
4
나은 덕(德) 먹인 은혜[恩] 다 갚으려 하였더니
5
숙연(焂然)히 七十(칠십)이 넘으니 할일없어 하노라
 
 
6
2
 
7
어와 성은(聖恩)이야 망극(罔極)할샤 성은(聖恩)이다
8
강호(江湖) 안로(安老)도 분수[分] 밖의 일이거든
9
하물며 두 아들 봉양[專城榮養]은 또 어이인가 하노라.
 
 
10
3
 
11
연하(煙霞)에 깊이 들어 병약(病藥)이 효험(效驗) 없어
12
강호(江湖)에 버려진 지 십년(十年)이 되었으라
13
그러나 이제 못 죽음도 성은(聖恩)인가 하노라
 
 
14
4
 
15
전 나귀 바삐 몰아 다 저문 날 오신 손님
16
보리피 궂은 밥에 반찬[饌物]이 아주 없다
17
아희야 배 내어 띄워라 그물 놓아 보리라
 
 
18
5
 
19
달 밝고 바람 자니 믈결이 비단이다
20
작은 배[短艇]를 비껴 놓아 오락가락 하는 흥(興)을
21
白鷗(백구)야 하 즐겨 마라 세상(世上) 알까 하노라.
 
 
22
6
 
23
모래 위에 자는 白鷗(백구) 한가(閑暇)할샤
24
강호(江湖) 풍취(風趣)를 네 것인가 내 것인가
25
석양(夕陽)에 돌아오는 흥[半帆歸興]은 너도 말로 못하리라.
 
 
26
7
 
27
가는 비 비낀 바람 낚싯대 맨 저 할아비
28
네 생애(生涯) 언제 마치랴 수고도 수고로다
29
생애(生涯)를 위(爲)함이 아니라 어부 흥[漁興]을 즐기노라.
 
 
30
8
 
31
피소주(燒酒) 무겉저리 우습구나 어른 대접(待接)
32
남들이 이르기를 초라[草草]하다 하건마는
33
두어라 이도 내 분수[分]이니 분내사(分內事)인가 하노라
 
 
34
9
 
35
벼슬(食祿)을 마친 후(後)에 낚시[漁釣]로 살아가니
36
생각없는 아해들은 괴롭다 하건마는
37
두어라 강호한적(江湖閑適)이 이 내 분수[分]인가 하노라
【원문】강호구가(江湖九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시조〕
▪ 분류 : 시조
▪ 최근 3개월 조회수 : 49
- 전체 순위 : 1191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41 위 / 82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강호구가 [제목]
 
  # 나위소 [저자]
 
  시조(時調) [분류]
 
  연시조(連時調)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시조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강호구가(江湖九歌)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11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