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小學諺解 (소학언해) ◈
◇ 立敎第一 립교 뎨일 ◇
카탈로그   목차 (총 : 6권)   서문     처음◀ 1권 다음
조선 선조 20년
정구 등
1
쇼언 권지일 (편)
2
立敎第一 립교 뎨일
 
3
치 셰미니 례예 낫재라.
 
 
4
○ 子思子曰,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則天明, 遵聖法, 述此篇. 俾爲師者, 知所以敎. 而弟子知所以學
 
5
(子思子) [(子思) 오 일호 급(伋)이니 공(孔子)ㅅ 손라 아랟 자(子) ㄷ  존 말이라]ㅣ 샤 하히 (命)신 거 닐온 셩(性)이오 셩(性)을 조 차 닐온 도(道)ㅣ라 시니 하 근 거슬 법바며 인 ㅅ 법(法)을 조차 이 편(篇)을 가라 여곰 스되니로 칠 바 알에며 뎨로 홀 바 알에노라.
 
 
6
○ 列女傳曰, 古者, 婦人妊子, 寢不側. 坐不邊. 立不蹕. 不食邪味. 割不正不食. 席不正不坐. 目不視邪色. 耳不聽淫聲. 夜 則令瞽誦詩. 道正事. 如此則生子, 形容端正. 才過人矣.
 
7
렬녀뎐(列女傳) [녜 겨지븨 실 긔록 이라]에 로 녜 겨지비 식 여실졔 잘제 기우리디 아니며 안조매 지디 아니며 셔매  발츼 드디 아니며, 샤특 마 먹디 아니며 버힌 거시 (正)티 아니커든 안 아니며, 누네 샤특 비츨 보디 아니며 귀예 음란 소 듣디 아니 고 바미어든 쇼으로 여곰 모시 외오며 (正) 이 니더니라. 이러시 면 나흔 식이 얼굴이 단(端正) 며 죄 사의게 넘으리라.
 
 
8
○ 內則曰, 凡生子, 擇於諸母與可者, 必求其寬裕慈惠溫良恭敬 愼而寡言者, 使爲子師.
 
9
측(內則) [례긔편(禮記篇) 일홈이라]에 로 믈읫 식 나호매 모든 어미와 다 가(可) 이예 오 반시 그 어 위크고 누그러오며 고 인혜로오며 온화고 어딜며 슌고 조심며 삼가고 말져그니를 구야 여곰 식의 스을 사몰디니라.
 
10
子能食食敎以右手. 能言男唯女兪. 男鞶革, 女鞶絲.
 
11
식이 능(能)히 밥 먹거든 츄 올 손으로 게 며 능(能)히 말거든 나 리 답고 져집은 느즈기 답게 며 나  갓로 고 겨집의  실로 홀디 니라.
 
12
六年敎之數與方名.
 
13
여 어든 혬과 다 소 일후믈 칠디니라.
 
14
七年男女不同席, 不共食.
 
15
닐굽어든 문(門)과 호(戶)애 나며 드롬과 밋 돗 나아가며 음식(飮食)호매 반시 얼운의게 후에하야 비로소 기 칠디니라.
 
16
八年出入門戶及卽席飮食, 必後長者, 始敎之讓.
 
17
여듧 어든 문(門)과 호(戶)애 나며 드롬과 밋 돗 나아가며 음식(飮食)호매 반시 얼운의게 후에 야 비로소 양 기 칠디니라.
 
18
九年敎之數日.
 
19
아홉어든 날혜요 칠디니라.
 
20
十年出就外傅, 居宿於外, 學書計, 衣不帛襦袴, 禮帥初, 朝夕學幼儀, 請肄簡諒.
 
21
열어든 나 밧스의게 나아가 밧긔셔 이시며 자며 글쓰기며 산계 호며 오 기브로 환옷과 고의를 아니며 례(禮) 처엄 친 대로 조차 며 아 나조 져머셔 욜 례모 호 간이고 신실 일로 (請)야 니길디니라.
 
22
十有三年學樂誦詩, 舞勺, 成童舞象, 學射御.
 
23
열히오  세어든 음악을 호며 모시 외오며 쟉(勺)으로 춤츠고 아 일어든 (象) [쟉(勺象) 다 악(樂章)이라] 으로 춤츠며 활기와 어거기 홀디니라.
 
24
二十而冠, 始學禮, 可以衣裘帛, 舞大夏, 惇行孝悌, 博學不敎, 內而不出.
 
25
스믈히어든 가관야 비르소 례(禮) 호며 가(可)히  갓옷과 기블 니브며 대하(大夏) [악(樂章)이라]로 춤츠며 효도 홈과 슌호 도타이 (行)며 너비 호고 치디 아니 며 소개 두고 내디 아니홀디니라.
 
26
三十而有室, 始理男事, 博學無方, 孫友視志.
 
27
셜흔이어든 안해 두어 비르소 나 이를 다리며 너비 화 곧 업시며 버들 손슌히호 들 볼디니라. 四十始仕, 方物出謀發慮, 道合則服從, 不可則去. 마애 비르소 벼슬야 일에 마초와 계교를 내며 려를 베 퍼 도(道)ㅣ 맛거든 일 야 좃고 가(可)티 아니커든 나갈 디니라.
 
28
五十命爲大夫, 服官政, 七十致事.
 
29
쉰에 (命)으로 태위되여 구읫  맛다 고 닐흔에 이 도로 드릴디니라.
 
30
女子十年不出, 姆敎婉娩聽從, 執麻枲, 治絲繭. 織紝組紃, 學女事, 以共衣服, 觀於祭祀, 納酒漿籩豆葅醢, 禮相助奠.
 
31
겨집이 열어든 나나디 아니며 스어믜 치믈 유슌 히 드러 조며 삼과 삼을 잡들며 실과 고티를 다리며  디 깁며 다회  겨집의 이 화  의복(衣服)을 만며 졔(祭祀)에 보펴 술와 촏믈과 대그릇과 나모 그릇과 팀와 저 드려 례(禮)로 도와 버기리글 도올디니라.
 
32
十有五年而笄, 二十而嫁. 有故二十三而嫁.
 
33
열히오  다어든 빈혀 곳고 스믈히어든 남진브틀디니 연 고 잇거든 스믈 세힌예 남진브틀디니라.
 
34
聘則爲妻, 奔則爲妾.
 
35
(聘)례로 면 안해 되고 그저 가면 쳡(妾)이 되니라.
 
 
36
○ 曲禮曰, 幼子常視毋誑, 立必正方, 不傾聽.
 
37
곡례(曲禮) [례긔편(禮記篇) 일홈이라]예 로 어린 식을 녜 소기디 말오모로 뵈며 셔매 반시 소 (正)히며 기우려 듣디 아니케 홀디니라.
 
 
38
○ 學記曰, 古之敎者, 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
 
39
긔(學記) [례긔편(禮記篇) 일홈이라]예 로되 녜 치던 이 집의 슉(塾)이 이시며 (黨) [오(五百)집이 (黨)이라] 애 (庠)이 이시며 쥬(州) [이쳔오(二千五百)집이 쥬(州)ㅣ 니라]에 셔(序) [슉(塾)과 (庠)과 셔(序)  (學) 일 홈이라]ㅣ 이시며 나라 (學)이 잇더니라.
 
 
40
○ 孟子曰, 人之有道也, 飽食暖衣, 逸居而無敎, 則近於禽獸. 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 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41
(孟子) [일홈 가(軻)ㅣ오  여(子與)ㅣ라]ㅣ  샤 사이 도(道)ㅣ 이시매 먹기를 브 며 오 덥게 야 편안히 잇고 치미 업스면 곧 즘에 갓가오릴 인(聖人)이 시름홈을 두샤 셜(설) [슌(舜)의 신하의 일홈이라] 로 여곰 도(司徒) [치 벼이라] 이샤 츄 인륜(人倫)으로 시니 아비와 아이 친(親)홈이 이시며 님금과 신해 의(義)ㅣ 이시며 남진과 겨집이 요미 이시며 얼운과 져므니 례 이시며 벋이 믿븜이 이슈미니라.
 
 
42
○ 舜命契曰, 百姓不親, 五品不遜, 汝作司徒, 敬敷五敎, 在寬.
 
43
슌(舜) [우(虞)ㅅ 나라 님금 일홈이라]이 셜(설)을 (命)야 샤 (百姓)이 친(親)티 아니며 오품(五品) [부(父子)와 군신(君臣)과 부부(夫婦)와 유(長幼)와 우(朋 友) 다 가지라]이 슌티 아니릴 네 도(司徒)ㅣ 되옏 니 다 가지 쵸 야 베푸 어위 크매 이셔라.
 
44
命夔曰, 命汝典樂. 敎冑子, 直而溫, 寬而栗, 剛而無虐, 簡而無傲. 詩言志, 歌永言, 聲依永, 律和聲. 八音克諧, 無相奪倫, 神人以和.
 
45
기(夔) [신하 일홈이라]를 (命)야 샤 너 (命) 야 음악  알게 노니  아 쵸 곧 오 온화케 며 어그러오 싁싁게 며 (剛)호 모디디 말게 며 간(簡)호 오만티 말게 홀디니 시(詩) 을 닐온 거 시오 놀애 마 기리혀 거시오 소 기리혀믈 의지 거시오 률(律)은 소 고게  거시니 여듧 가지 소 [포토혁목금석쥭(匏土革木金石絲竹)이라] 히 골라 서르 례를 앗디 아니여 귀신(鬼神)과 사이  화(和)리 라.
 
 
46
○ 周禮, 大司徒以鄕三物, 敎萬民而賓興之. 一曰, 六德, 知仁聖義忠和. 二曰, 六行, 孝友睦婣任恤. 三曰, 六藝, 禮樂射御 書數.
 
47
쥬례(周禮) [쥬(周)ㄷ 적 례도 긔록 글월이라]예 대도(大 司徒)ㅣ (鄕) [만이쳔오(萬二千五百)집이 (鄕)이라]애 세가지 일로 만민(萬民)을 쳐 손례로 야 거쳔니, 낟재 온 여 가짓 덕(德)이니 디혜로옴과 인홈과 통달 홈과 이레 맛홈과 신홈과 화호미오, 재 온 여슷 가짓 실이니 부모 효도홈과 뎨 홈과  권 친히홈 과 이 권 친히홈과 버듸게 믿븜과 가난니 에엿비 너굠 이오, 셋재 온 여 가지 죄니 례졀과 음악과 활기와 어거기와 글쓰기과 산계홈이니라.
 
48
以鄕八刑, 糾萬民. 一曰, 不孝之刑. 二曰, 不睦之刑. 三曰, 不婣之刑. 四曰, 不弟之刑. 五曰, 不任之刑. 六曰, 不恤之刑. 七曰, 造言之刑. 八曰, 亂民之刑.
 
49
향(鄕)애 여듧 벌로 만민(萬民)을 고찰니 낟재 온 효도 아니 벌이오 둘재 온  권 친히 아니  벌이오 섿재 온 이 권 친히 아니 벌이 오 넷재 온 얼운의게 슌티 아니 벌이오 다재 온 버듸게 믿비 아니 벌이오 여슷재 온 가난니 어엿비 너기디 아니 벌이오 닐굽재 온 말지어내 벌이오 여듧재 온  어즈러이 벌이니라.
 
 
50
○ 王制曰, 樂正, 崇四術, 立四敎. 順先王詩書禮樂以造士. 春秋敎以禮樂. 冬夏敎以詩書.
 
51
졔(王制) [례긔편(禮記篇) 일홈이라]예 오 악(樂正) [벼 일홈이라]이 네가짓 슐(術)을 야 네가짓 쵸  셰여 션(先王) [녜 어딘 님금이라]의 모시와 셔와 례도 와 음악을 조차  션를 일워내요 봄과  례도와 음 악으로 치고 겨을과 녀름에 모시와 셔로 치 더니라.
 
52
弟子職曰, 先生施敎, 弟子是則, 溫恭自虛, 所受是極.
 
53
뎨직(弟子職)에 오 션(先生)이 치 베프거시든 뎨(弟子)ㅣ 이예 법바다 온화며 손야 스스로 허심 야 호 바 이예 극진히 홀디니라.
 
54
見善從之, 聞義則服, 溫柔孝弟, 毋驕恃力.
 
55
어딘 일을 보고 조며 맛 일을 드러든 며 온며 유화며 효도며 슌야 교만야 힘을 믿디 마롤디니라. 志毋虛邪, 行必正直, 游居有常, 必就有德. 을 거즛 오샤 곡히 말며 실을 반시 고 곧게며 니며 이쇼 덛 고 두 반시 덕(德)을 둔  나아 갈디니라.
 
56
顔色整齊, 中心必式. 夙興夜寐, 衣帶必飭.
 
57
낫빗 졔(整齊)면 속이 반시 니 일닐오 밤드러든 자옷과  반시 삼갈디니라.
 
58
朝益暮習, 小心翼翼. 一此不懈是謂學則.
 
59
아의 더 호고 나조 니겨 을 젹게야 홀디니 이예 티 여 게을리 아니홈이 이 닐온 호 법이니 라.
 
 
60
○ 孔子曰, 弟子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61
(孔子)ㅣ 샤 뎨(弟子)ㅣ 드러 곧 효도고 나 곧 슌며 삼가고 믿비며 모 사을 넙이 랑호 인(仁)니를 친(親)히 홀디니 (行)홈에 남 힘이 잇거든 곧  글을 홀디니라.
 
 
62
○ 興於詩, 立於禮, 成於樂.
 
63
시(詩)예 긔며, 례(禮)예 셔며, 음악애 이니라.
 
 
64
○ 樂記曰, 禮樂不可斯須去身.
 
65
악긔(樂記) [례긔편(禮記篇) 일홈이라]예 오 례(禮)와 악(樂) 가(可)히 져근덛 몸애 내디 몯 거시니라.
 
 
66
○ 子夏曰, 賢賢, 易色, 事父母, 能竭其力, 事君能致其身, 與朋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67
하(子夏) [셩(姓)은 복이오 일홈은 (商)이니 공(孔子)ㅅ 뎨라] ㅣ 오 어딘 일을 어딜이 너교 (色) 됴히 너 김으로 밧고아 며 부모(父母) 셤교 (能)히 그 힘을 다며 님금을 셤교 (能)히 그 몸을 리며 벋과 더브러 사괴요 말홈애 믿브미 이시면 비록 오 문을 몯엿 다 나 나 반시 문을 엿다 닐오리라.
【원문】立敎第一 립교 뎨일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한국고전〕
▪ 최근 3개월 조회수 : 931
- 전체 순위 : 56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9 위 / 22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9) 소학(小學)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소학언해(小學諺解) [제목]
 
  정구(鄭逑) [저자]
 
  1586년 [발표]
 
  언해(諺解)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참조 : 소학
목록 참조
참조:
【전문】소학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카탈로그   목차 (총 : 6권)   서문     처음◀ 1권 다음 한글(고어) 
◈ 小學諺解 (소학언해)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