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접기
|
1 장. 野猫盜雛(야묘도추)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들고양이 병아리를 훔치다. 일명 파적도(破寂圖,적막함을 깨뜨리는 그림) | 2 장. 江上會飮 (강상회음)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강상회음(江上會飮) | 3 장. 牧童午睡 (목동오수)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목동오수(牧童午睡) | 4 장. 密戯鬪牋 (밀희투전)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밀희투전(密戯鬪牋) | 5 장. 盛夏織屨 (성하직구)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한여름의 짚신삼기 | 6 장. 松下棋僧 (송하기승)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송하기승(松下棋僧) | 7 장. 冶匠鍛鍊 (야장단련)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대장장이의 쇠메질. | 8 장. 秋收打作 (추수타작)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추수타작(秋收打作) | |
|
|
목 차
|
1 장. 野猫盜雛(야묘도추)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들고양이 병아리를 훔치다. 일명 파적도(破寂圖,적막함을 깨뜨리는 그림) | 2 장. 江上會飮 (강상회음)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강상회음(江上會飮) | 3 장. 牧童午睡 (목동오수)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목동오수(牧童午睡) | 4 장. 密戯鬪牋 (밀희투전)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밀희투전(密戯鬪牋) | 5 장. 盛夏織屨 (성하직구)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한여름의 짚신삼기 | 6 장. 松下棋僧 (송하기승)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송하기승(松下棋僧) | 7 장. 冶匠鍛鍊 (야장단련)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대장장이의 쇠메질. | 8 장. 秋收打作 (추수타작) |
|
|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의 긍재풍속도첩에 실린 그림이다. 추수타작(秋收打作) |
|
|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
글쓰기
】
〔화첩〕
|
|
|
▪ 최근 3개월 조회수 :
24
|
- 전체 순위 : 1190 위 (2 등급)
|
- 분류 순위 : 100 위 / 218 작품
|
|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
▣ 참조 지식지도
|
▣ 기본 정보
|
|
|
◈ 기본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