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시조(時調)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시조 (時調)
고려 말부터 발달된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시 . 보통 초장(初章), 중장(中章), 종장(終章)의 3장으로 이루어지며, 그 기본 가락은 3ㆍ4조이다.
시조 (時調) 정의: 고려 말부터 발달한 고유 정형시 구성: 초장, 중장, 종장 3장 구성 기본 가락: 3·4조, 3장 45자 내외 명칭 유래: 영조 때 이세춘이 사용 종류 :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연시조 현대 시조: 형식 자유로움 현대 시조 특징: 내면 세계 탐구, 파격 시도
◈ 지식지도 관계
시조 (時調) 가사 (歌辭)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단가 (短歌) 사설 시조 (辭說時調) 엇시조 (--時調) 평시조 (平時調) 향가 (鄕歌) 연시조 (連時調) 가사 (歌詞) 가사 문학 (歌辭文學)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기호 학파 (畿湖學派) 내방 가사 (內房歌辭) 어부가 (漁父歌) 영남 학파 주리론 (主理論) 한국 문학 (韓國文學) 고대 가요 (古代歌謠) 이세춘 (李世春) 1360 맹사성 (孟思誠) 1501 이황 (李滉) 1903 이은상 (李殷相) 박효관 (朴孝寬) 1320 나옹 (懶翁)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구 (鄭逑) 1561 박인로 (朴仁老) 1587 윤선도 (尹善道) 1816 안민영 (安玟英) 강호사시가 고금가곡 (古今歌曲) 도산십이곡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1876 가곡원류 (歌曲源流) 가시리 고산구곡가 균여전 (均如傳) 도천수관음가 사모곡 (思母曲) 상춘곡 (賞春曲) 서동요 (薯童謠) 서왕가 (西往歌) 송강가사 (松江歌辭) 악장가사 (樂章歌詞) 원왕생가 (願往生歌) 제망매가 (祭亡妹歌) 처용가 (處容歌) 청산별곡 (靑山別曲) 풍요 (風謠)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1580 훈민가 (訓民歌)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700 모죽지랑가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89 작품) [모두보기]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시조 윤선도 (817) 강호사시가 江湖四時歌 시조 맹사성 (371)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시조 이황 (369) 우국가 憂國歌 시조 이덕일(李德一) (336) 만흥 漫興 시조 윤선도 (264) 어부단가 漁父短歌 시조 이현보 (262) 오우가 五友歌 시조 윤선도 (227) 고산구곡가 高山九曲歌 시조 이이 (220) 매화사 梅花詞 시조 안민영 (安玟英) (215) 견회요 遣懷謠 시조 윤선도 (180) 훈민가 訓民歌 시조 정철 (175) 사우가 四友歌 시조 이신의 (171)
◈ 참조 원문/전문
시조의 작법 근/현대 수필 안확 (24) 시조시학 時調詩學 근/현대 수필 안확 (17)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연시조 (65) 백과 윤선도 (27) 백과 청구영언 (15) 백과 가곡원류 (14) 백과 가사 (10) 백과 해동가요 (10) 백과 1642년 (8) 백과 가사 (7) 백과 도산십이곡 (7) 백과 안민영 (7) 백과 가곡 (6) 백과 박인로 (6) 백과 이현보 (6) 백과 이황 (6) 백과 1645년 (5) 백과 고산유고 (5) 백과 관동별곡 (5) 백과 권섭 (5) 백과 박효관 (5) 백과 산중신곡 (5) 백과 아악 (5) 백과 이이 (5) 백과 정철 (5) 백과 최남선 (5) 백과 경기체가 (4) 백과 고려 가요 (4) 백과 고산구곡가 (4) 백과 고전 문학 (4) 백과 맹사성 (4) 백과 시가집 (4) 백과 어부사시사 (4) 백과 오륜가 (4) 백과 향가 (4) 백과 강호사시가 (3) 백과 견회요 (3) 고금가곡 (3) 백과 김수장 (3) 백과 김천택 (3) 백과 만흥 (3) 매화사 (3) 백과 백수회 (3) 백과 사설 시조 (3) 백과 선석유고 (3) 백과 송강가사 (3) 백과 송순 (3) 백과 신계영 (3) 백과 오우가 (3) 백과 이중경 (3) 백과 장가 (3) 백과 장진주사 (3) 백과 정인보 (3) 백과 조존성 (3) 백과 조홍시가 (3) 백과 판소리 (3) 백과 하규일 (3) 백과 한국 문학 (3) 백과 향악 (3) 백과 호아곡 (3) 백과 훈민가 (3) 백과 1651년 (2) 백과 갑오개혁 (2) 백과 경기 민요 (2) 백과 고대 가요 (2) 백과 고대 소설 (2) 백과 고대 수필 (2) 백과 고유섭 (2) 백과 금옥총부 (2) 백과 기행가사 (2) 백과 김상용 (2) 백과 농악 (2) 백과 당악 (2) 백과 도산 서원 (2) 백과 무악 (2) 백과 무이구곡가 (2) 백과 민요 (2) 백과 발해 (2) 백과 범패 (2) 백과 비가 (2) 산조 (2) 백과 속악 (2) 백과 신흠 (2) 백과 안확 (2) 백과 어부가 (2) 백과 유배 가사 (2) 백과 이백 (2) 백과 이세춘 (2) 백과 이시 (2) 백과 이신의 (2) 백과 자유시 (2) 백과 잡가 (2) 백과 전가팔곡 (2) 조선 (2) 백과 평론 (2) 백과 평시조 (2) 백과 하준권 (2) 백과 해동악부 (2) 흥선 대원군 (2) 백과
◈ 참조 키워드
기녀문학 (12) 백과 고산유고 (11) 백과 가곡 (6) 백과 삼강 오륜 (6) 백과 탄로가 (4) 가사 (3) 백과 강호가도 (3) 백과 대나무 (3) 백과 매화 (3) 백과 안동시 (3) 백과 황진이 (3) 백과 (2) (2) 도연명 (2) 백과 면앙정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소나무 (2) 백과 어부 (2) 어부가 (2) 백과 우국충정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한국문학】고전문학
시조집
참조 : 가사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