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시조(時調)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시조 (時調)
고려 말부터 발달된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시 . 보통 초장(初章), 중장(中章), 종장(終章)의 3장으로 이루어지며, 그 기본 가락은 3ㆍ4조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시조 (時調) 단가 사설 시조 엇시조 평시조 연시조 기호 학파 문묘 영남 학파 장가 청백리 이기이원론 맹사성 이세춘 이은상 이황 기대승 김성일 김수장 김천택 박효관 송계연월옹 안민영 류성룡 윤선도 이언적 이이 정철 황희 신광수 정탁 황준량 문예 월간 진단 학회 가곡원류 강호사시가 고금가곡 도산십이곡 청구영언 해동가요 강촌별곡 고산구곡가 고산유고 권주가 노산 시조집 매화가 백구사 양양가 장진주사 춘면곡 팔도지리지 훈민가 퇴계전서 도산 서원 황계사
▣ 백과사전
고려 말부터 발달된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시 . 보통 초장(初章), 중장(中章), 종장(終章)의 3장으로 이루어지며, 그 기본 가락은 3ㆍ4조이다.
 

역사

시조의 발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신라 향가의 전통에서 나와 고려의 장가가 분장(分章 : 장이 나뉨)되어 그 형식이 정리되고, 고려 말에 와서 3장 12구체의 정형시로 굳혀진 것으로 믿어진다.
 
시조란 말은 고려 말엽부터 불리어 오던 단가(短歌)의 악곡(樂曲) 이름을 조선 영조 때 이세춘이 창악(唱樂)의 새 곡조 이름으로 시조라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처음에는 곡조의 이름으로 불리던 말이 뒤에 그러한 형식의 단가를 시조라 부르게 되었다.
 
신라의 향가, 고려의 가요, 조선의 시조는 우리 나라 각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의 한 형태들이다.
 

종류

시조의 기본 가락은 3ㆍ4조(調)이며, 초장­3ㆍ4ㆍ3ㆍ4, 중장­3ㆍ4ㆍ3ㆍ4, 종장­3ㆍ5ㆍ4ㆍ3의 3장 45자 안팎의 형식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 글자수는 종장의 첫째 구를 제외하고는 한두 자씩 더하거나 덜하기도 한다.
 
시조는 위와 같은 평시조(平時調)를 기본으로 하여 길고 짧음에 따라 엇시조와 사설시조(辭說時調)로 나뉜다.
평시조 : 초장, 중장, 종장이 각 15자 내외, 총 45자 내외의 단형(短型) 시조이다.
엇시조 : 평시조보다 초장, 중장 가운데 어느 한 장에 글자수가 제한 없이 길어지고, 종장에만 변화가 없는 중형(中型) 시조이다.
사설 시조 : 평시조보다 초장, 중장이 제한 없이 길고, 종장도 어느 정도 길어진 장형(長型) 시조로 사슬 시조라고도 한다.
 
이 밖에 한 제목 밑에 여러 수의 평시조를 엮어 나간 연시조(連時調)가 있다. 이를테면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이황의 「도산십이곡」과 같은 것이 그것이다.
 
또한 초장과 중장만으로 된 양장(兩章) 시조를 이은상이 시도했고, 평시조를 더욱 압축시켜 종장만으로 시조의 맛을 내려는 단장(單章) 시조가 시도되었으나, 이는 단순한 시도에 그쳤다.
 

현대 시조의 특징

① 어김없이 제목을 붙인다. 고시조에서는 연시조의 경우 몇몇 작품에만 제목이 붙어 있으나, 현대 시조에는 내용을 암시할 수 있는 제목을 반드시 붙이는 것이 상례이다.
② 시형의 배열이 비교적 자유롭다.
③ 연시조를 쓰는 경향이 많다.
④ 외면 세계를 다루거나 감정 처리를 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내면 세계로 파고들어 인성(人性)의 깊은 곳을 묘사하려고 한다.
⑤ 파격으로 된 예가 많다.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89 작품) [모두보기]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시조 윤선도 (1308) 강호구가 江湖九歌 시조 나위소(羅緯素) (1087) 십년을 경영하여 시조 송순 (799) 강호사시가 江湖四時歌 시조 맹사성 (673)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시조 이황 (636) 만흥 漫興 시조 윤선도 (507) 오우가 五友歌 시조 윤선도 (443) 어부단가 漁父短歌 시조 이현보 (399) 훈민가 訓民歌 시조 정철 (379) 고산구곡가 高山九曲歌 시조 이이 (341) 단가 육장 短歌 六章 시조 이신의(李慎儀) (242) 견회요 遣懷謠 시조 윤선도 (230)
◈ 참조 원문/전문
시조의 작법 근/현대 수필 안확 (75) 시조시학 時調詩學 근/현대 수필 안확 (44)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연시조 (57) 백과 윤선도 (18) 백과 1642년 (8) 백과 권섭 (5) 백과 박인로 (5) 백과 이현보 (5) 백과 1645년 (3) 백과 백수회 (3) 백과 선석유고 (3) 백과 송순 (3) 백과 신계영 (3) 백과 이중경 (3) 백과 정인보 (3) 백과 1651년 (2) 백과 고유섭 (2) 백과 김상용 (2) 백과 안확 (2) 백과 이시 (2) 백과 이신의 (2) 백과 정철 (2) 백과 평론 (2) 백과
◈ 참조 키워드
고산유고 (12) 백과 기녀문학 (12) 백과 삼강 오륜 (6) 백과 탄로가 (4) 강호가도 (3) 백과 대나무 (3) 백과 매화 (3) 백과 맹사성 (3) 백과 안동시 (3) 백과 청구영언 (3) 백과 한국 문학 (3) 백과 황진이 (3) 백과 (2) (2) 도연명 (2) 백과 면앙정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소나무 (2) 백과 어부 (2) 어부가 (2) 백과 연시조 (2) 백과 우국충정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