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오제본기
(보기 : 일자별구성)
(A) 지식 자료
오제본기 23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순(舜)
【저작】
(2017.10.18. 18:11) 
◈ 오제본기 23
순은 20세에 효도로써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30세에 요가 천자가 될 만한 인물이 있는가를 물었을 때, 사방 제후들이 모두 우순을 추천하며 그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목   차
[숨기기]
 

1. (원문)

舜年二十以孝聞。 三十而帝堯問可用者, 四嶽咸薦虞舜, 曰可。 於是堯乃以二女妻舜以觀其內, 使九男與處以觀其外。 舜居嬀汭, 內行彌謹。 堯二女不敢以貴驕事舜親戚, 甚有婦道。 堯九男皆益篤。 舜耕歷山, 歷山之人皆讓畔 ; 漁雷澤, 雷澤上人皆讓居 ; 陶河濱, 河濱器皆不苦窳。 一年而所居成聚, 二年成邑, 三年成都。 堯乃賜舜絺衣, 與琴, 爲築倉廩, 予牛羊。 瞽叟尙復欲殺之, 使舜上塗廩, 瞽叟從下縱火焚廩。 舜乃以兩笠自扞而下, 去, 得不死。 後瞽叟又使舜穿井, 舜穿井爲匿空旁出。 舜旣入深, 瞽叟與象共下土實井, 舜從匿空出, 去。 瞽叟、象喜, 以舜爲已死。 象曰 : “本謀者象。” 象與其父母分, 於是曰 : “舜妻堯二女, 與琴, 象取之。 牛羊倉廩予父母。” 象乃止舜宮居, 鼓其琴。 舜往見之。 象鄂不懌, 曰 : “我思舜正鬱陶!” 舜曰 : “然, 爾其庶矣!” 舜復事瞽叟愛弟彌謹。 於是堯乃試舜五典百官, 皆治。
 
 

2. (음역)

순년이십이효문。 삼십이제요문가용자, 사악함천우순, 왈가。 어시요내이이녀처순이관기내, 사구남여처이관기외。 순거규예, 내행미근。 요이녀불감이귀교사순친척, 심유부도。 요구남개익독。 순경역산, 역산지인개양반 ; 어뇌택, 뇌택상인개양거 ; 도하빈, 하빈기개불고유。 일년이소거성취, 이년성읍, 삼년성도。 요내사순치의, 여금, 위축창름, 여우양。 고수상복욕살지, 사순상도름, 고수종하종화분름。 순내이양립자한이하, 거, 득불사。 후고수우사순천정, 순천정위닉공방출。 순기입심, 고수여상공하토실정, 순종닉공출, 거。 고수、상희, 이순위이사。 상왈 : “본모자상。” 상여기부모분, 어시왈 : “순처요이녀, 여금, 상취지。 우양창름여부모。” 상내지순궁거, 고기금。 순왕견지。 상악불역, 왈 : “아사순정울도!” 순왈 : “연, 이기서의!” 순복사고수애제미근。 어시요내시순오전백관, 개치。
 
 

3. (국역)

순은 20세에 효도로써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30세에 요가 천자가 될 만한 인물이 있는가를 물었을 때, 사방 제후들이 모두 우순을 추천하며 그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요는 두 딸을 순의 부인으로 삼게 하여 가정적인 능력을 관찰하였으며, 9명의 아들로 하여금 함께 거처하게 하여 사회적인 능력을 관찰하였다. 순은 규예에 거주하면서 가정적으로 수양하며 더욱 공경하고 조심하며 지냈다. 요의 두 딸도 감히 신분이 고귀하다고 순의 친척을 섬기지 않을 수 없었으며, 더욱 부녀자의 도리를 준수하였다. 요의 9명 아들들도 모두 행실이 더욱 독실해졌다. 순이 역산에서 농사를 지면 역산 사람들은 밭두렁 경계를 양보했고, 뢰택에서 물고기를 잡으면 뢰택 사람들은 모두 고기 잡는 장소를 양보했으며, 하빈에서 토기를 구울 때는 하빈의 토기는 모두 거칠고 이지러지거나 흠이 없었다. 1년이 되자 순이 거처하는 곳은 취락이 되고, 2년째는 읍락이 되었으며, 3년째는 도읍이 되었다. 요는 그래서 순에게 칡의 섬유로 짠 갈포 옷과 거문고를 하사하였고, 곡식 창고를 지어주었으며 소와 양을 보내 주었다. 고수는 여전히 순을 살해하려고 하였는데, 순으로 하여금 곡식 창고에 올라가서 틈새를 메우게 시키고 고수는 아래에서 불을 질러 곡식 창고를 불태웠다. 순은 2개의 삿갓으로 스스로를 방어하면서 내려와 도망가서 죽지 않았다. 후에 고수는 또 순으로 하여금 우물을 파게 하였고, 순은 우물을 파면서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숨을 공간을 만들었다. 순은 이미 매우 깊게 팠고, 고수와 상은 함께 흙을 넣어서 우물을 메웠으며, 순은 숨을 공간을 통해서 빠져나왔다. 고수와 상은 매우 기뻐하며 순은 이미 죽었다고 여겼다. 상이 말하기를 “이 계획은 내가 꾸민 것입니다.” 상이 그 부모와 재산을 나누며 말하기를 “순의 아내인 요의 두 딸과 거문고는 내가 가지겠습니다. 소와 양과 창고는 부모님이 가지세요.” 상은 이에 순의 거처로 가서 거문고를 연주하였다. 순이 가서 그것을 보니, 상이 놀라서 기뻐하지 않으며 말하기를 “나는 순을 생각하며 마침 우울했다. ” 순이 말하기를 “그러냐. 너도 내가 너를 생각하는 마음과 거의 같구나.” 순은 다시 고수를 섬기고 동생을 아끼는 것이 더욱 공손하고 신중하게 하였다. 그래서 요는 순에게 5종 윤리 즉 부의(아버지는 의롭고), 모자(어머니는 자애롭고), 형우(형은 우애 있고), 제공(동생은 공경하고), 자효(자식은 효도하고)의 도리의 추진과 각종 관직을 담당하게 하여 순의 능력을 시험해 보았으며, 순은 모두 잘 다스렸다.
 

 
 

4. (주석)

1. 순(舜) - 1-016-주석8 참고.
 
2. 요(堯) - 1-012-주석3 참고.
 
3. 4악(四嶽) - 1-015-주석10 참고.
 
4. 규예(嬀汭) - 1-016-주석13 참고.
 
5. 미근(彌謹) - 더욱 삼감.
 
6. 역산(歷山) - 1-022-주석3 참고.
 
7. 반(畔) - 밭두둑, 경계.
 
8. 뇌택(雷澤) - 1-022-주석4 참고.
 
9. 하빈(河濱) - 1-022-주석5 참고.
 
10. 고유(苦窳) - 거칠고 이지러지거나 흠이 있음.
 
11. 취(聚) - 촌락.
 
12. 읍(邑) - 큰 마을.
 
13. 도(都) - 도읍으로 종묘와 군주의 사당이 있음.
 
14. 치의(絺衣) - 칡의 섬유로 짠 옷, 갈포(葛布) 옷.
 
15. 고수(瞽叟) - 1-020-주석3 참고.
 
16. 도(塗) - 흙을 발라서 틈새를 메움.
 
17. 입(笠) - 대나무를 엮어서 햇빛이나 비를 가리게 사용하는 모자이다.
 
18. 악(鄂) - 놀랄 악(愕)과 동일.
 
19. 상(象) - 1-021-주석3 참고.
 
20. 역(懌) - 기뻐할.
 
21. 울도(鬱陶) - 깊이 생각에 잠긴 모양.
 
22. 서(庶) - 거의 같다, 거의 되려 함.
 
23. 5전(五典) - 1-016-주석16 참고.
 
 

5. (참고)

순의 가족이 순을 살해하려는 이유 - 순은 나이 20에 효성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런데 그의 가족은 왜 순을 살해하려고 했을까? 자료에 상세하지는 않지만 대략 순의 이복동생을 편애하여 그에게 집안의 재산을 독점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순의 덕망이 높은 것은 이러한 환경에서도 효성으로 부모를 봉양하고 우애로 동생을 대우하였으며, 제위에 오른 후에도 자식의 도리를 다하고 동생을 제후로 책봉하는 등 진정성을 시종일관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순(舜)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오제본기 22
• 오제본기 23
• 오제본기 2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